[태그:] 향교
-
안동향교(安東鄕校), 안동도호부 중등교육기관
안동시 외곽 안동대학교 부근 송천동에 위치한 안동향교이다. 안동향교는 대설향교(大設鄕校)로 성균관에 버금가는 규모로 명륜동(현 안동시청)에 있었는데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88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복원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건물과 함께 소장 서적.문서 등이 모두 소실되었다. 한국전쟁 때 소실되고 그 자리에 시청이 들어섰는데 이 과정에서 안동지방 유림들의 반대가 많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 공민왕11년(1362) 춘 정월조에 ‘복주향교(福州鄕校)라는 기록이 있어…
-
단양향교(丹陽鄕校), 단양군
충북 단양군 단성면에 위치한 단양향교이다. 단양향교는 조선초 태종 때인 1415년 처음 세워졌으며 퇴계 이황이 단양군수로 재직하던 명종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건물은 위쪽에 제향공간을, 아래쪽에 강학공간을 두고 있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제향공간은 공자와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동.서무가 있다. 강학공간은 서쪽에 강당인 명륜당을, 동쪽에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부속건물들이 들어서 있다. 향교의 규모는 크지 않은…
-
강릉향교(江陵鄕校), 강릉도호부
강릉 도심 강릉역 뒷편 화부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강릉향교이다. 영동지방을 대표하는 옛 강릉도호부 관아에서 운영했던 교육기관답게 전국 향교들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에 속하는 향교이다. 고려 충선왕 때인 1313년에 처음 세워졌으며 화재 등으로 여러차례 수리가 있었으며, 인조 때에 크게 중수하여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영동지방에는 서원이 많지 않아 향교의 교육기능이 없어진 조선후기와 구한말에도 그 기능을…
-
강릉향교 대성전(보물)
강릉향교 제향공간의 중심건물인 대성전(보물)이다. 이 건물은 조선초인 1413년(태종13)에 처음 지었으며 여러차례에 걸쳐 수리하였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5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공포는 간결한 주심포 방식을 하고 있다. 건물 내부 바닥에는 판석을 깔았으며, 천장은 연등천장을 하고 있다. 전국 향교의 대성전 건물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5성(五聖)과 뛰어난 제자인 공문십철, 송나라때의 뛰어난 인물인 송조육현 등을…
-
안성 양성향교, 양성현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조선시대 경기도 양성현(陽城縣)에 설치.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인 양성향교 (陽城鄕校)이다. 이 향교는 비교적 늦은 시기인 1530년(중종25)에 세워졌으며, 조선후기에 1774년(1774)에 중수하였다.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공자와 선현들을 모시는 대성전을 뒤에 두고 있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향교의 교육기능이 없어지고 제사기능만 남아 있던 영조대에 지어져서 그런지 강당 건물은 규모가 왜소하여 유생들이 공부하기에 좁아보이며,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도 남아 있지 않다. 강당건물은 유생들이…
-
안성향교, 안성군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옛 안성군(安城郡)에서 설치.운용했던 중등교육기관인 안성향교(安城鄕校)이다. 이 향교는 비교적 늦은 시기인 조선 중기 중종 27년(1532)에 처음 지어졌다. 이후 중수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고, 1932년과 1980년대에 크게 중수하였다고 한다. 안성 시가지와 평야지대가 내려다 보이는 안성시 명륜동 언덕에 세워졌다.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명륜당은 앞면5칸, 대성전이 앞면3칸 규모이며, 출입문으로 앞면 11칸짜리의…
-
안성 죽산향교, 죽산도호부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옛 죽산도후 읍치였던 안성시 죽산면 소재지에 위치하고 있는 조선시대 중등교육기관인 죽산향교(竹山鄕校)이다. 조선초인 태종 13년에 처음 건립되었다고 하며, 여러차례 중수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한다.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제향공간인 대성전과 동.서무를 뒤체 둔 전학휴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죽산도호부는 종3품 부사가 고을 수령이 큰 고을이었기때문에 원래는 현재보다 큰 규모였으며, 임진왜란 이후 현재의 위치로 옮길때 그 규모가 작아진…
-
하남 광주향교, 광주부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남한산성을 관할했던 옛 광주부(廣州府)에서 설치.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인 광주향교(廣州鄕校)이다. 광주향교는 창건연대는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비교적 이른 시기에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 광주부 옛 읍치가 서쪽편에 있던 것을 숙종대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경기도의 다른 향교에 비해서 규모도 큰 편이다. 평지에 위치하고 있지만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를 앞에, 제향공간인 대성전과 동.서무를 뒤에 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광주부 관아는…
-
고양향교, 고양군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옛 고양군(高陽郡) 관아에서 운영했던 조선시대 중동교육기관인 고양향교(高陽鄕校)이다. 비교적 늦은 시기인 숙종대에 처음 지어졌으며, 그 이후의 내력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강학공간인 앞쪽 자리잡고, 뒷편에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두고 있는 전학후묘의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대성전을 제외한 대부분 건물들이 한국전쟁 때 불에 타 최근에 새로 지었다. 향교의 규모는 크지 않으며 제사기능만 남은 전형적인 조선후기 향교의 형태를 하고 있다. <고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