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조선시대

  • 아산 외암마을, 외암 종손댁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외암마을에 있는 고택인 송화댁이다. 조선후기 학자 외암 이간의 종손이 살고 있는 종갓집이다. 마을을 대표하는 종갓집이기는 하지만 그 규모가 크지 않고 건물도 ‘ㄱ’자형 안채만 남아 있다. 종갓집 답게 불천위로 제수된 외암 선생의 사당이 안채 옆에 있다. 건물 배치 등으로 볼 때 사랑채와 부속 건물 등은 없어지고 골목길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외암마을은 관아가…

  • 아산 외암마을, 송화댁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외암마을에 있는 고택인 송화댁이다. 건물은 ‘」’자 모양의 사랑채를 ‘「’자 모양 안채, 중문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이 집은 사랑채 앞에 넓은 마당을 두고 있는데 마을을 지나는 물길이 마당 가운데를 흐르고 있으며, 소나무를 비롯한 다양한 나무를 심어 별장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다. 외암마을은 관아가 있던 온주 읍치에서 남쪽으로 4 km 정도 떨어진 곳에…

  • 아산 외암마을, 참봉댁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외암마을에 남아 고택인 참봉댁이다. 구한말인 19세기에 지어진 한옥으로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나란히 ‘二’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는 ‘-‘자형 건물인데 사랑방, 창고, 중문 등이 한 건물에 같이 있다. 안채도 ‘-‘자형을 하고 있으며 대청마루, 온돌방, 부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청마루 한쪽편 높게 만들어 누마루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19세기 중부지방의…

  • 예산 추사고택, 궁궐 한옥 양식이 있는 고택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는 김정희 선생 고택이다. 증조부인 김한신이 원래 서울 통의동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지었다고 한다. 건물은 53칸 규모였으나 지금은 사랑채와 안채만 남아 있다. 건물은 사랑채가 동쪽에, 안채가 서쪽에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는 ‘ㄱ’자형으로 남향을 하고 있는데 가운데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온돌방이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 앞 마당에는 김정희가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해시계 역할을 했다는…

  • 예산 이성만 형제 효제비, '의좋은 형제' 일화의 배경이 된 비석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옛 대흥관 관아 앞에 세워져 있는 ‘이성만 형제 효제비’이다. 이 비석은 인근 ‘개방이다리’ 옆에 있었는데, 예당저수지가 생기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예전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실렸고, 농심라면 광고 모티브로 사용되었던 ‘의좋은 형제’ 이야기의 배경이 되었던 일화가 비석에 새겨져 있다. 대흥호장이었던 이성만.순 형제의 우애와 효행을 비석에 새겨 후세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도록 연산군 때 조정에서…

  • 충청도 대흥군 관아, 동헌과 관아 아문

    대흥군(大興郡)은 충남 예산군 대흥면.응봉면.광시면.신양면 일대에 있었던 옛 조선시대 군현이다. 삼국시대 백제 임존성이 있었던 지역이며, 고려는 대흥군을 두었다. 조선 태종 때 현감이 고을 수령인 대흥현이 되었다가 숙종때 대흥군으로 승격되었다. 임존성은 봉수산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둘레 2,500 m의 대형 산성이며 읍치는 산성 아래 교통로에 자리잡고 있다. 또한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왔던 ‘의좋은 형제’ 일화의 무대로 동헌 앞에는 비석과…

  • 아산 맹씨 행단 (사적), 조선초 청백리 맹사성 일가가 살았던 곳

    충남 아산시 배방면 중리에 있는 맹씨 행단(사적)이다. 맹씨행단은 조선초 세종때 청백리로 잘 알려진 맹사성 일가가 살던 고택과 그가 심은 수령 600년 이상된 은행나무를 말한다. 고택은 1330년에 최영 장군 부친이 처음 지었으며, 최영 장군도 살았던 곳이라 전해진다. 고려말 위화도 회군으로 최영이 죽은 후 맹사성의 아버지 맹희도가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맹씨 일가가 이 곳에 터를 잡게 되었다고 한다.…

  • 아산 맹씨 고택, 고려말 건축양식이 남아 있는 사실상 가장 오래된 한옥

    충남 아산시 배방읍 중리 맹씨 행단(사적)에 있는 맹씨 고택이다. 이 집은 고려시대(1330년) 최영 장군의 부친인 최원직이 처음 지었으며, 실제 최영 장군이 거처했던 집이다. 위화도 회군 이후 맹사성 일가가 이곳에 옮겨 살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工’자형 평면구조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주심포 방식에 가까운 공포, 고택 가구부에 남아 있는 고부재와 창호 등에서 당시 건축양식을 볼 수…

  • 부여 홍산현 관아(사적),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 온전히 남아 있는 곳

    충남 부여군 홍한면 남촌리 홍산면 소재지에 있는 홍산현 관아(사적)이다. 이 곳은 백마강 서쪽에 있는 고을인 옛 홍산현 관아가 있었던 곳으로 동헌, 객사와 하급관리들이 근무하던 형방청이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객사는 한양의 위치를 고려하여 남향을 있으며, 동헌과 형방청 등은 지형조건을 고려하여 동향을 하고 있다. 조선시대 관아 건물들은 구한말 대한제국을 선포할 때 행정개편으로 객사는 주로 초등학교로, 동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