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조선시대
-
아산 맹씨 행단 (사적), 조선초 청백리 맹사성 일가가 살았던 곳
충남 아산시 배방면 중리에 있는 맹씨 행단(사적)이다. 맹씨행단은 조선초 세종때 청백리로 잘 알려진 맹사성 일가가 살던 고택과 그가 심은 수령 600년 이상된 은행나무를 말한다. 고택은 1330년에 최영 장군 부친이 처음 지었으며, 최영 장군도 살았던 곳이라 전해진다. 고려말 위화도 회군으로 최영이 죽은 후 맹사성의 아버지 맹희도가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맹씨 일가가 이 곳에 터를 잡게 되었다고 한다.…
-
아산 맹씨 고택, 고려말 건축양식이 남아 있는 사실상 가장 오래된 한옥
충남 아산시 배방읍 중리 맹씨 행단(사적)에 있는 맹씨 고택이다. 이 집은 고려시대(1330년) 최영 장군의 부친인 최원직이 처음 지었으며, 실제 최영 장군이 거처했던 집이다. 위화도 회군 이후 맹사성 일가가 이곳에 옮겨 살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工’자형 평면구조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주심포 방식에 가까운 공포, 고택 가구부에 남아 있는 고부재와 창호 등에서 당시 건축양식을 볼 수…
-
부여 홍산현 관아(사적),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 온전히 남아 있는 곳
충남 부여군 홍한면 남촌리 홍산면 소재지에 있는 홍산현 관아(사적)이다. 이 곳은 백마강 서쪽에 있는 고을인 옛 홍산현 관아가 있었던 곳으로 동헌, 객사와 하급관리들이 근무하던 형방청이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객사는 한양의 위치를 고려하여 남향을 있으며, 동헌과 형방청 등은 지형조건을 고려하여 동향을 하고 있다. 조선시대 관아 건물들은 구한말 대한제국을 선포할 때 행정개편으로 객사는 주로 초등학교로, 동헌과…
-
부여 무량사 극락전(보물),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2층 불전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 주불전인 극락전(보물)이다. 삼국시대 경주 황룡사나 익산 미륵사 등에 있었던 금당과 비슷하게 2층으로 지어진 불전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이며 기단은 그리 높지 않다. 지붕을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1층과 2층에 화려한 공포로 장식하고 있는 다포계 건축물이다.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대웅전 등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건물 또한 비슷한 시기에 세워졌다.…
-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지(사적)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절터 뒷편 강당터 옆에 세워져 있다. 불상은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고, 코을 비롯한 얼굴부분은 특히 심하게 훼손되어 일부는 시멘트로 메꾸어 놓고 있다.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불상은 처음부터 잘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어떤 연유로 인해 효험이 좋다는 미신이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 다른 석조불상에 비해 얼굴 부분 훼손이 심하며, 시멘트로…
-
전라도 여산도호부 관아, 여산 동헌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옛 여산도호부 관아 건물터이다. 다른 지방의 옛 관아터와 마찬가지로 시골마을 면소재지에 자리하고 있다. 관아건물 중에는 고을 수령이 근무하던 동헌 건물과 수령이 수백년이 지난 느티나무들이 이곳에 관아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헌건물은 계단식으로 조성된 건물터에 자리잡고 있는데 구한말에 중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헌 옆에는 객사가 있었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에 초등학교 건물이 들어서 있다.…
-
곡성 태안사 일주문
전남 곡성군 태안사 입구에 세워져 있는 일주문이다. 사찰 출입문을 대표하는 형식으로 지금은 대부분의 사찰에서 일주문을 두고 있지만 오래된 건물은 많지 않은 편이다. 태안사 일주문은 원래부터 있었다고 하지만 조선후기 숙종 때 고쳐지으면서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앞면 1칸의 2개의 기둥에 맞배지붕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태안사(泰安寺)는 곡성군 동리산(桐裏山)에 있는 사찰로 통일신라 때…
-
순천 선암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다포계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불전
전남 순천시 선암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석가여래를 모신 불전으로 강당건물인 만세루와 마주보고 있다. 대웅전 앞 마당에는 통일신라 때 조성된 동.서삼층석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건물은 정유재란을 비롯하여 여러차례 전란과 화재 등으로 불타버린 것으로 19세기에 새로 지은 것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공포를 만드는 수법이 섬세하면서도 화려하며 장식성이 돋보이는 건축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