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조선시대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문인문화의 유행

    1. 조선왕실과 백자, 2. 백자에 담긴 출생과 죽음, 3. 지방의 백자, 4. 문인문화의 유행, 5. 백자의 제작, 6. 무늬로 보는 상징과 의미, 7. 문양이 된 문자, 8. 문양에 보이는 교류와 유행,  백자는 유교사회를 추구했던 조선의 지배층인 사대부의 취향에 잘 맞아 떨어졌다. 조선전기에는 사대부 취향의 백자와 서민취향의 분청사기가 같이 만들어졌으나 사옹원 산하 관요에서 수준높은 백자를 만들게 되면서 민간에서도 백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조선후기에는…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지방백자

    1. 조선왕실과 백자, 2. 백자에 담긴 출생과 죽음, 3. 지방의 백자, 4. 문인문화의 유행, 5. 백자의 제작, 6. 무늬로 보는 상징과 의미, 7. 문양이 된 문자, 8. 문양에 보이는 교류와 유행,  조선중기 사옹원 산하 관요인 분원이 세워지기 이전에는 전국 각지에는 많은 가마들이 있었으며, 공물의 형태를 도자기를 만들어 왕실에 납품했다.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걸작도자기인 분청사기가 주로 지방의 가마에서 만들어졌다. 관요가 설치되면서 왕실과 관청의 요구에…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백자에 담긴 출생과 죽음

    1. 조선왕실과 백자, 2. 백자에 담긴 출생과 죽음, 3. 지방의 백자, 4. 문인문화의 유행, 5. 백자의 제작, 6. 무늬로 보는 상징과 의미, 7. 문양이 된 문자, 8. 문양에 보이는 교류와 유행,  조선시대 관요에서 만들어진 백자는 주로 왕실에 납품하였다. 백자는 그릇이라는 원래의 용도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만들어졌다. 오늘날 왕실에서 사용했던 다양한 백자들이 남아 있는데 국가 의례에 사용되었던 제기를 비롯하여, 왕실가족의 태를 묻었던 태항아리,…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조선왕실과 백자

    1. 조선왕실과 백자, 2. 백자에 담긴 출생과 죽음, 3. 지방의 백자, 4. 문인문화의 유행, 5. 백자의 제작, 6. 무늬로 보는 상징과 의미, 7. 문양이 된 문자, 8. 문양에 보이는 교류와 유행,  백자는 분청사기와 함께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도자기이다. 순수와 절제가 돋보이는 백자는 유교사회를 추구했던 조선시대 지배층인 사대부의 취향에 잘 맞아 떨어졌다. 조선전기에는 사대부 취향의 백자와 서민…

  •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삼방불 중 서방세계를 관할하는 아미타여래를 형상화한 불상

    조선후기(17~18세기)에 조성된 목조여래좌상이다. 조선후기 사찰 주불전인 대웅전에 모셔졌던 삼방불 중 하나인 서방 극락정토를 관할하는 아마타여래로 추정하고 있다. 신체에 비해 머리를 크게 표현하고 있으며, 얼굴이나 신체를 단순하면서 간략하게 표현하고 있다. 고개를 앞으로 숙인 모습을 하고 있는데 불전에서 기도를 올리는 신도들이 불상의 얼굴을 올려다 볼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불전 내에서 석가모니여래, 약사여래와 함께 성스러운 공간으로 조성되어…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조선시대 금속공예 (2015년)

    조선시대에는 사리엄장구나 공양구같은 불교공예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었기때문에 고려시대에 비해서 금속공예 기술이 발전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불교공예품 대신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일상용품이나 사치품이 주로 만들어졌다. 화장그릇이나 촛대, 담배합이나 필통 등과 같은 문방구류들이 금속공예품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공예품을 장식하는 문양또한 불교적인 내용보다는 부귀.장수.복을 비는 도교적 성격의 십장생, 신선, 수복(壽福)무늬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의 금속공예에서 보여주는 화려함보다는 단순하면서…

  • [고궁박물관] 궁중음악과 무용

    조선사회에서 궁중음악은 예악(禮樂)을 실천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보았다. 조선 시대 궁중음악은 조상에 제례를 올리는 종묘제례를 중심으로 한 제례음악과 조회나 연회때 연주하는 예식음악, 왕이 행차할 떄 연주하는 행차음악이 있다. 고궁박물관에는 편종,편경,특종,특경,운라, 쇠대금 등 궁중음악에 사용된 악기들을 볼 수 있다. 궁중음악에 사용된 악기는 유교사상에 근거하여 쇠, 돌, 줄, 대, 나무, 가죽, 바가지, 흙 등 만물의 기본 물질을 대표하는…

  • [고궁박물관] 왕실의 행차, 가마와 의장

    왕실의 행차는 국왕이 주로 궁궐밖으로 나가는 경우를 말하는데 종묘나 선농단 등에 제례를 올릴때나 왕릉을 참배할 때가 대부분이다. 왕실의 행차는 목적과 의장의 수량에 따라 크게 대가노부.법가누부.소가노부의 3종류가 있다. 국왕이 행차하는 어가행렬은 국왕이 탄 가마를 중심으로 수많은 군병이 호위를 하고 문무백관들이 따르게 하여 국왕의 위엄을 드높이고 민간에 왕실의 모습을 보여주는 기회를 갖게 한다. 고궁박물관에는 국왕의 행차에 쓰였던…

  • 영월 창절사(彰節祀), 사육신을 비롯하여 10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창절사(彰節祀)이다. 조선전기 단종 복위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육신과 김시습.남효온.박심문.엄홍도 등 10명의 위패를모신 사당이다. 원래는 단종의 장릉 능역 내에 세워졌던 사육신을 모신 육신사에서 시작되었다. 숙종때 단종이 복위되면서 왕릉 밖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이후 ‘창철사’라는 사액을 받으면서 김시습, 남효온, 박심문, 엄홍도가 추가로 배향되었다. 고종 때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국 47개 서원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