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불전
-
양산 통도사 용화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용화전이다. 미륵보살을 모시는 불전으로 통도사 두번째 영역인 중로전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개의 불전 중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조선후기 영조 때 중건한 것으로 앞면 3칸 규모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내부에는 석조미륵불상이 모셔져 있으며, 벽면에는 서유기의 주요 내용이 벽화로 그려져 있다. 용화전 앞에는 봉발탑(보물)이 세워져 있는데, 석가모니의 옷과 밥그릇을…
-
양산 통도사 관음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관음전이다.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중로전 영역 3개의 불전 중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후기 영조 때 중건한 건물로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이다. 건물내부에 기둥을 세우지 않아 공간을 넓게 쓰고 있다. 관세음보살상을 모셨으며, 여러 형태의 관세음보살상을 표현한 벽화들이 있다. 불전 앞에는 큰 석등이 세워져 있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
양산 통도사 약사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약사전이다. 약사여래를 모신 불전으로 하로전 영역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영산전, 극락보전과 함께 19세기 초에 크게 중건한 건물이다. 앞면 3칸, 옆면 1칸의 작은 건물로 다포계공포에 맞배지붕을 사용하고 있다. 공포를 앞면과 뒷면에만 사용하고 있다. 내부에는 약사여래불상만 모셔져 있으며, 뒷면에 약사후불탱화가 있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손꼽히는…
-
양산 통도사 극락보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극락보전이다. 아마타여래를 모신 불전으로 하로전 영역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고려말 공민왕 때 처음 지어졌다고 전해지면 19세기 초에 크게 중건한 건물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다포계공포에 팔작지붕을 사용하고 있다. 약간 작은 규모의 건물이나 전체적으로 짜임새가 있으며, 18세기 후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
양산 통도사 영산전(보물), 하로전 영역 주불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영산전(보물)이다. 통도사의 첫번째 영역인 하로전(下爐殿) 영역의 주불전이다. 조선후기 숙종 때 화재로 불타버린 것을 중건하였다. 내부에는 석가모니의 일생을 표현한 팔상도가 모셔져 있으며, 내부 벽면에는 다보탑을 표현한 <견보탑벽화>를 비롯하여 총 50점의 벽화(보물)가 그려져 있다. 건물은 앞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화련한 단청과 공포로 장식하고 있다. 영산회상탱(보물), 팔상도(보물)가 이곳에 모셔져…
-
속초 신흥사 명부전, 지장보살을 모신 불전 중 비교적 오래된 불전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신흥사 명부전이다. 주불전인 극락보전 옆에 있는 지장보살을 모시는 불전이다. 조선후기 영조 때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내부에는 17세기에 조성된 지장보살삼존상(보물)이 모셔져 있다. 건물은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익공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앞쪽에만 문이 있는데 양쪽 문을 낮게 만들어 고개를 숙이고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지장전으로도 불리는 명부전은 사찰에서 죽은이 명복을 비는…
-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보물),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전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신흥사 주불전인 극락보전(보물)이다. 아미타여래(보물)를 중심으로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모셔져 있다.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건물은 앞면 3칸 규모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화려한 다포계 공포, 문에 사용한 꽃살 문양과 빗살문양, 조각상이 새겨진 돌계단 등 화려하면서 장식적인 면을 강조한 조선후기 불전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조선후기 인조 때 처음 지어졌으며, 인조…
-
예산 수덕사 대웅전(국보), 고려시대에 지어진 목조건축물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에 있는 수덕사 대웅전(국보)이다. 1937년 해체.수리 과정에서 발견된 묵서에 따르면 1308년(고려 충렬왕 34)에 처음 지어졌다. 고려시대에 만든 건축물로 당시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부석사 무량수전, 봉정사 극락전과 함께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수덕사는 충청지역에 자리잡고 있어 백제의 건축양식이 많이 남아 있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3칸,…
-
부여 무량사 극락전(보물),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2층 불전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 주불전인 극락전(보물)이다. 삼국시대 경주 황룡사나 익산 미륵사 등에 있었던 금당과 비슷하게 2층으로 지어진 불전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이며 기단은 그리 높지 않다. 지붕을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1층과 2층에 화려한 공포로 장식하고 있는 다포계 건축물이다.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대웅전 등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건물 또한 비슷한 시기에 세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