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보물), 당나라 장수의 공적을 새긴 비석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당유인원기공비(보물)이다. 이 비석은 당나라 장수 유인원의 공적을 기록한 비석이다. 유인원은 당나라 장군으로 소정방과 함께 백제를 멸망시키고 흑치상지를 중심으로 일어난 백제 부흥운동을 평정하였다고 한다. 원래 부소산성에 세조각으로 깨어져 흩어져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복원하였다. 몸돌과 머리돌을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머릿돌에는 당나라 전기 조각수법을 보여주는 여섯마리의 용이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비문은 몸돌 앞.뒷면에 새겨져…
-
부여 사택지적비(보물),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비석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 중인 사택지적비(보물)이다. 백제 의자왕 때의 귀족 사택지적이 남긴 비석으로 부여 부소산성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화강암 한면 한면을 다듬어 네모모양의 칸을 만들고 그 안에 글씨를 새겼다. 비석의 오른쪽에 봉황(혹은 삼족오)이 새겨져 있다. 현재 전하는 백제의 유일한 비석이다. 비문은 사택지적이 늙어가는 것을 탄식하며 금당과 탑을 세운 동기 등이 기록되어 있다. 글의 양식은 두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따로…
-
부여 석조(보물), 백제 왕궁에서 연꽃을 심었던 곳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석조(보물)이다. 이 석조는 사비기 백제 왕궁터로 추정되는 부여 관북리 유적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부여현 관아 동헌 앞에 놓여 있었다. 사찰 입구에 놓여 있던 손을 씻고 샘물을 받아 먹던 석조와는 형태나 용도가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工형 받침 위에 둥근 꽃봉오리가 형태를 하고 있는데 장식은 없지만 풍만하면서 깔끔한 곡선미를 보여 주고 있다. 궁궐 내…
-
부여 외리 문양전(보물), 산경치.용.봉황 등 도교적인 그림이 새겨진 무늬벽돌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무늬벽돌(보물)이다. 이 벽돌들은 충남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 있는 절터에서 출토되었다. 파편을 포함하여 모두 140여점 출토된 이 무늬벽돌은 산수문전.산수봉황문전,연대귀문전.반용문전.와운문전.연화문전의 8가지 무늬로 구성되어 있는데 얕은 부조형식으로 무늬를 새겨놓고 있다. 당시 백제인을 사로잡았던 도교적인 풍경이 잘 표현하고 있는데 회화성이 매우 뛰어나며 백제의 예술과 건축, 종교와 사상적인 측면까지 살펴 볼 수 있다. 백제와 교류가 많았던…
-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보물), 목탑터 심초석에서 출토된 불상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금동보살입상(보물)이다. 일제강점기인 1936년 부여 군수리 절터 목탑터 부근에서 출토되었다. 머리에는 화려하게 장식된 관을 쓰고 연꽃대좌 위에 서 있는 보살상을 표현하고 있다. 둥글고 원만한 얼굴에는 풍만한 미소를 짓고 있으며, 옷을 입고 있는 몸통에는 양감을 적절히 표현하고 있다. 옷모양, 손모양, 얼굴의 미소 등에서 6세기 백제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군수리사지(사적)는 사비도성 내에 있던…
-
금동정지원명 석가여래삼존입상(보물)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금동정지원명 석가여래삼존입상(보물)이다. 이 불상은 광배 뒷면 정지원이 죽은 아래를 위해 불상을 조성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본존불은 얼굴이 갸름하면서도 눈.코.입의 윤곽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광배의 양쪽에는 합장하고 있는 협시보살을 표현하고 있다. 각양식이나 표현 수법이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국보)과 비슷하며 중국 북위시대에 유행한 불상양식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에서 만든 금동계미명삼존불(국보)과 같은 양식이지만 조각수법이 약간 떨어지고 간략하게…
-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보물)
전북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 절터 입구에 세워져 있는 당간지주(보물)이다. 미륵사지 절터 2기의 석탑 앞쪽에 하나씩 세워져 있다. 백제 무왕이 미륵사를 건설할 당시부터 있던 것은 아니고 통일신라 중기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전형적인 통일신라 당간지주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바깥쪽에 띠를 새겨두고 기단부에 안상 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장식이 많지 않으며 단정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영주 부석사나 숙수사지(소수서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