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보물), 들판 가운데 마주보고 서 있는 불상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리에 있는 석조여래입상(보물)이다. 익산 토성과 쌍릉에서 왕궁리 유적지로 가는 길에 있는 농경지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높이 2.24 m의 거대불상으로 2구의 불상이 작은 농수로를 사이에 두고 200 m 떨어져 마주보고 있다. 사다리꼴 모양의 돌기둥에 얼굴, 몸체, 대좌 등을 표현하고 있다. 머리에는 4각형의 높은 관을 쓰고 있으며, 얼굴에는 눈, 코, 입이 간략하게 표현되어 있다.…
-
순천 선암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다포계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불전
전남 순천시 선암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석가여래를 모신 불전으로 강당건물인 만세루와 마주보고 있다. 대웅전 앞 마당에는 통일신라 때 조성된 동.서삼층석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건물은 정유재란을 비롯하여 여러차례 전란과 화재 등으로 불타버린 것으로 19세기에 새로 지은 것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공포를 만드는 수법이 섬세하면서도 화려하며 장식성이 돋보이는 건축물이다.…
-
순천 선암사 승선교(보물), 계곡에 놓여 있는 아름다운 돌다리
전남 순천시 선암사 계곡에 놓여진 돌다리인 승선교(보물)이다. 조선후기에 만들어진 다리로 잘 다듬은 돌로 아치형 홍예를 쌓은 돌다리이다.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아 거의 반원에 가깝게 홍예를 쌓은 것으로 조선시대에 쌓은 아치형 돌다리 중에서는 가장 우수한 편이다. 다리를 중심으로 개울 양쪽으로 석축을 쌓아 전체적으로 하나의 공간을 만들고 있다. 이 다리는 임진왜란 이후 승병으로 성곽을 쌓는 큰 역할을 했던…
-
김제 금산사 석등(보물)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 대장전 앞에 세워져 있는 석등(보물)이다. 이 석등은 3단의 받침돌과 화사석, 지붕돌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대칭되게 새겼으며, 가운데받침돌은 기둥모양을 하고 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에는 4면에 창을 만들었으며 창문을 달았던 구멍이 남아 있다. 지붕돌은 귀통이마다 귀꽃을 조각해 놓았다. 전체적인 구성이는 세부적이 조각수법 등을 고려해 볼 때…
-
김제 금산사 석련대(보물), 하나의 돌로 만든 거대한 석조대좌
전북 김제시 금산사 경내에 있는 석련대(石蓮臺, 보물)이다. 일종의 석조대좌로 불상을 올려놓는 받침대이다. 높이가 1.52 m, 둘레 10 m에 이르는 상당히 큰 규모의 석조물이다. 전체가 하나의 돌로 만들었지만 여러개이 돌로 만든것처럼 보인다. 아래받침돌 위치에는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가운데받침돌 위치에는 육각형 꽃무늬를 새겼다. 윗받침돌부분에는 불상을 올려 놓았던 것으로 보이는 구멍이 있고 연꽃이 불상을 받치는 형태로 조각해 놓았다. 전체적으로…
-
김제 금산사 노주(보물), 용도를 알 수 없는 석조유물
전북 김제사 금산면 금산사 경내에 있는 석조물인 노주(露柱, 보물)이다. 이 석조물은 그 형태가 특이하며 실제 어떤 용도로 사용했는지 알 수 없는 유물이다. 노주는 석조대좌처럼 바닥돌 위에 3단의 받침돌이 있고 그 위에 꽃봉우리 모양의 석조물이 올려져 있다. 아래받침돌에는 안상과 연꽃무늬가, 윗받침돌에도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가운데 받침돌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조각에서 보여지는 양식이나 수법 등으로 볼 때…
-
부여 무량사 석등(보물)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 오층석탑 앞에 세워져 있는 석등(보물)이다. 이 석등을 8각형 평면으로 3단의 기단위에 화사석과 지붕돌, 머리장식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아래 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이 조각되어 있으며,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 기둥모양을 하고 있다. 화사석은 4면에 불을 밝히는 창이 뚫려 있으며 지붕돌은 모통이를 살짝 들어올렸다. 전체적으로 지붕돌을 크게 만들기는 했지만 가볍고 경쾌한…
-
논산 관촉사 석등(보물),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거대한 석등
충남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앞에 세워진 석등(보물)이다. 거대한 불상에 걸맞은 높이 5.45 m의 4각형 평면을 하고 있는 거대한 석등이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은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가운데받침돌은 굵고 둥근 기둥처럼 만들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상하 2층으로 되어 있는데 1층 4개의 기둥이 지붕돌을 받치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불상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균형미는 조화롭지 못하지만, 지방 호족 세력의 힘을…
-
공주 갑사 동종(보물), 조선중기를 대표하는 범종
충남 공주시 계룡산 갑사에 남아 있는 동종(보물)이다. 높이 131 cm, 입지름 91 cm 규모의 범종이다. 꼭대기에는 소리가 울려퍼지는 음통이 없으며, 종을 매다는 용뉴에는 2마리의 용을 생동감있게 표현하고 있다. 종의 어깨에는 꽃무늬를, 그 아래에는 연꽃무늬와 글자를 새겼다. 몸통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4곳 두었으며, 그 사이에는 지장보살이 표현되어 있다. 조선중기 선조 때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몸통에 새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