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고려시대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크기는 작은편이지만 각부분의 비례가 적절하고 안정적인 조형미가 돋보인다. 간결한 흑백상강기법으로 구름 사이로 나르는 학을 표현하고 이다. 고려시대 12~13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유려한 곡선미와 비색 하늘을 배경으로 무늬들이 베풀어졌다. 고려청자에…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93)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바람에 흔들리는 매화와 대나무, 그 사이에 3마리의 학들을 그렸다. 흑백상감기법으로 대상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매화.대나무.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경남 하동군 출토, 보물 추위를 견뎌내고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매화와 사계절…

  •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국보)이다. 몸통 앞.뒤로 모란이 한 줄기씩 장식되어 있는데, 모란꽃을 아주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꽃은 흰색으로, 잎은 검은색으로 상감하여 색이 대비되는 효과를 주고 있다. 손잡이는 별도로 만들어 붙이는 것으로 사자가 입을 벌려 물고 있는 형상을 묘사하고 있다. 고려청자를 대표하는 문화재 중 하나이다. 이 항아리는 사자모양 손잡이가 달린 물동이처럼 생겼는데 중국 한대(韓代)…

  •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보물)”이다. 목이 짧고 각진 아가리를 가졌으며, 직선적인 느낌의 곡선미를 주고 있는 매병이다. 퇴화(堆花)기법으로 인삼잎 무늬를 그렸다. 검은색에 가까운 철채와 흰색으로 표현인 인삼잎이 대비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철채퇴화기법으로 만든 자기는 그 수가 많지 않으나, 전남 강진에서 일부 발견되는 것으로 볼 때 그곳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시대 12세기 작품이다. 퇴화청자(堆花靑磁,…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국보)이다. 이 향로는 고려청자 전성기를 대표하는 걸작 중 하나로 투각(透刻)기법으로 칠보문을 장식하고 있는 향로이다. 음각.양각.투각.상감.첩화 등 다양한 장식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뚜껑은 향이 피어오르도록 뚫어서 장식한 구형 부분과 받침부분으로 되어 있다. 몸체엔 꽃잎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굽다리부분에는 향로를 등에 얹고 있는 토끼 세마리가 있다. 이 향로는 고려청자 중에서도 특이한 작품으로 다양한…

  •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보물)이다. 고려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 34.6cm의 매병이다. 몸통의 3면에 모란을 크게 상감한 후 꽃잎에 구리 안료를 덧칠하여 불게 피어나는 느낌을 주고 있다. 어깨가 풍만하고 허리곡선이 매끄러운 고려청자 매병의 조형미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전체를 3부분으로 나누고 밑부분에 연꽃잎을 두르는 것은 12세기 전반 순청자 매병의 특징이다. 청자 상감.동화 모란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 백자 상감모란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백자 상감모란문 매병'(보물)”이다. 고려시대에 만든 백자 중 문화재로 지정된 흔치 않은 문화재이다. 두툼한 아가리를 하고 있으며, 팽배한 어깨부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급격 줄어든다. 몸체는 참외모양으로 6등분하였다. 각면에는 마름모 모양의 선을 상감기법으로 처리하고 그안에 청자 태토로 메우고 붉은색 자토와 흰색백토로 모란, 갈대, 버드나무 등을 상감하였다. 몸체의 기형은 중국 북송의 영향을 받았으며 볼륨감있는 고려 청자…

  • 청자 어룡형 주전자(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어룡형 주전자'(국보)이다.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상형청자 주전자이다. 용의 머리와 물고기 몸을 가진 동물 모양을 하고 있다. 물을 따르는 부리는 용머리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얼굴의 털이나 지느러미 등을 매우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몸체에는 비늘이 양각되어 있으며, 앞.뒤로 갈퀴모양의 옆 지느러미가 표현되어 있다. 상상의 동물을 표현한 상형청자로 세밀한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청자 어룡모양 주자,…

  • 청자 구룡형 주전자(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청자 구룡형 주전자'(국보)이다. 청자로 만들어진 이 주전자는 고려청자 전성기인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연꽃위에 앉아 있는 거북 형상을 하고 있는데 물을 넣는 수구(水口), 물을 따르는 부리, 몸통,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비석받침돌에 사용되었던 거북과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다. 얼굴은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뿔과 수염, 비늘 등을 정교하게 새겨놓고 있다. 유약은 회청색으로 은은한 윤기가 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