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특별전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신안해저선은 중국 경원항을 출발하여 일본 하카타항으로 향하던 무역선이었다. 배는 최대 길이 약 34 m, 중량 200톤 급의 당대 최대 규모의 선박이었다. 출토된 유물 중 물품의 화물표라 할 수 있는 목간에는 물건을 주문한 사람이나 기관의 이름 및 상품명이…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차.향.꽃 문화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차를 마시는 다도(茶道), 꽃을 꽂아 장식하고 감상하는 꽃꽂이, 향을 피우는 문화는 중국에서 당나라 때 성행하여 한반도와 일본에 전해졌다. 특히 일본에서는 선종 사찰과 막부의 고위층과 상급무사, 귀족층들에 인기를 끌었으며 오늘날 일본을 대표하는 문화로 여겨지기도 한다. 원나라에서 일본으로 향하던…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고려의 공예문화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신안해저선 유물에서 살펴볼 수 있는 차,향,꽃과 관련된 문화는 고려시대 상류층 문화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 본격적으로 유교질서의 기본 중 하나인  예약(禮樂) 제도가 받아들여져 제도화되었으며 중국 고대의 청동 예기들이 제기로서 자리잡게 된다. 또한 선종 불교의…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차, 꽃꽂이, 향은 지금도 일본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분야이다. 중국과 교류가 활발했던 당나나라 때부터 선종 불교와 함께 일본 상류층에 큰 영향을 주었던 부분으로 가마쿠라 막부의 고위 인사, 상급 무사, 선종 사찰과 상류 귀족층에 크게 유행하였다. 신안해저선에서는 이와 관련된…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신안해저선에는도자기가 가장 많고 금속기를 비롯하여 당시 일본 상류층에서 선호했던 다양한 중국산 물품들이 실려 있었다. 이들 중에는 식생활에 사용되었던 용기들이 많지만, 향로 등 향과 관련된 용기, 차문화를 보여주는 찻잔, 주전자 등의 그릇과 화병 등 꽃꽂이와 관련된 용기들도 상당수…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전시개요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2016년 여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신한해저선 발굴4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2016년 7월26일 ~ 9월 4일)을 개최하였다. 전시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첫번째는당시 유행했던 한국, 중국, 일본의 문화적 취향을, 2번째는 중국과 일본과 무역활동을, 3번째는 신안해저선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신림동 청춘] 고시촌 너머 신림동

    신림동은 관악산 기슭에 자리잡고 서울 외곽의 작은 촌락으로 의성김씨 집성촌이었던 곳이다. 해방이후 한국전쟁까지는 사람이 많이 살지 않은 평범한 시골마을이었다. 이후 산업화과정에서 도심에서 밀려난 빈민들이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한 서울 외곽의 빈민촌 중 하나였다. 1970년대 서울대학교가 이곳에 터를 잡으면서 고시생들이 꿈을 찾아 모여든 고시촌이자, 서울대학생들의 생활공간으로 청춘들이 만들어내는 독특한 문화를 형성한 지역이다. 2000년 이후 로스클 도입과…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신림동 청춘] 고시촌

    2015년 가을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신림동 청춘’이라는 제목으로 열렸던 특별전시회이다. 서울 관악구 신림동 일대에 형성되었던 고시촌 문화, 서울대학교와 함께 했던 민주화운동, 도시빈민들이 터를 잡고 살았던 판자집 등 여러 형태의 삶과 문화가 신림동이라는 공간에 담겨 있다. 특별전에서는 신림동이란 지역이 형성과 변천된 과정을 바탕으로 한국 특유의 고시문화를 조명해 보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스쿨제도의 도입과 함께 바뀔 것으로 보이는 고시촌의…

  •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유리 제작의 기원과 중세

    1. 유리 제작 기원과 중세, 2. 체코의 기독교문화, 3. 르네상스와 매너리즘, 4. 바르크와 로코코, 5. 19세기 보헤미아 유리, 6. 유리 장신구, 7. 20세기 유리공예, 8. 현대 체코의 유리공예 동유럽에 위치한 체코공화국은 북서쪽과 서쪽에는 독일, 남쪽은 오스트리아, 동쪽과 동남쪽은 슬로바키아, 북쪽과 북동쪽은 폴란드와 접하고 있다. 인구 천만명 정도로 크게 서부에 보헤미아(Bohemia, 체코어 Čechy), 동부는 모라비아, 폴란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