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한옥
-
경주 양동마을 동호정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이는 정자인 동호정(東湖亭)이다. 이언적의 손자 이의잠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정자로 수졸당 고택 맞은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앞면 4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데 가운데 2칸은 넓은 대청마루가, 양쪽에는 1칸씩 온돌방이 있다. 집안 모임을 갖거나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보인다. <마을에서 보이는 모습> <동호정 출입문> <동호정> <대청마루> <온돌방> <동호정에서 내려다 보이는 안골> <출처> 안내문,…
-
경주 양동마을 두곡고택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두곡고택(杜谷古宅)이다. 조선후기 영조 떄 이언적 후손이 분가하면서 세운 집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아래채가 튼 ‘ㅁ’자 평면을 하면서 주위에 부속건물들을 배치하였다. 마을 안쪽 언덕 높은 곳에 위치한 오래된 종가와는 달리 낮은 평지에 자리잡고 있는 큰 규모의 대저택이다. 조선후기 경제적으로 성공한 후손들이 분가하면서 지었던 대저택의 규모나 입지조건을 보여주고 있다. <경주 양동마을 두곡고택>…
-
경주 양동마을 낙선당 고택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낙선당(樂善堂) 고택이다. 입향조 손소의 셋째 아들인 손숙돈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으로 조선중기 중종 때 처음 지어졌다. 사랑채가 대문채, 아래채와 함께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오른쪽에 행랑채와 안채가 ‘ㅁ’자형 본채를 이루고 있다. 집주인이 천석꾼이었다고 하며 많은 곳간을 두고 있다. 마을에서도 가장 큰 규모의 저택에 속하지면 기난을 낮게 하고 건물들은 소박하게 지어졌다. 안채…
-
경주 양동마을 송첨종택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송첨종택(松簷宗宅)이다. 조선중기에 경주손씨 마을 입향조인 손소가 지은 집으로 아들 손중돈과 외손자 이언적이 태어난 유서깊은 고택이다. 이 집터에서 세명의 현인이 태어났다고 해서 풍수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건물은 ‘-‘자형 대문채가 있고 그 안에 안채, 사랑채, 행랑채가 ‘ㅁ’자형을 하고 있다. 사랑채 뒷편에 사당이 있다. <경주 양동마을 송첨종택> <대문채> <사랑채> <안채와 안마당>…
-
경주 양동마을 상춘헌 고택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상춘헌(賞春軒) 고택이다. 양동마을 안골 입구 경치좋은 언덕에 위치한 고택으로 조선후기 영조 때 지어졌다. 마을에서 일반적인 건물 형태인 ‘ㅁ’자형 주택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ㄷ’자인 안채와 사랑채가 하나의 건물이고 앞쪽에 ‘-‘자형 행랑채가 연결되어 있다. 경사진 언덕에 꽃나무 등을 심어 정원을 적절히 조성해 놓고 있다. <경주 양동마을 상춘헌 고택> 상춘헌은…
-
경주 양동마을 근암고택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근암고택(謹庵古宅)이다. 양동마을 안골 입구 경치좋은 언덕에 위치한 고택으로 조선후기 정조 때 지어졌다. 건물은 대문채, 안채,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는 다른 고택들과 마찬가지로 ‘ㅁ’자형이었는데 20세기 초에 집을 크게 수리하면서 사랑채를 안채와 분리하여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조선후기에 분가한 후손들이 터를 잡고 살았던 주택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근암고택 사랑채> <대문채> <안채와 안마당>…
-
경주 양동마을 수졸당 고택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수졸당(守拙堂) 고택이다. 이언적의 손자인 수졸당 이의잠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으로 종가인 무첨당 뒷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ㄱ’자형 안채, ‘-‘자형 아래채, 사랑채, 대문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뒷편에 사당이 있다. 건물은 17세기 초 광해군 때 처음 지어 졌으며 영조 때(18세기) 사랑채를 늘려 지었다. 대문채는 지붕을 사랑채보다 낮게 하여 격식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
경주 양동마을 관가정(보물)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고택인 관가정(觀稼亭, 보물)이다. 형산강과 기계천이 흐르는 안강평야의 넓은 벌판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위에 자리잡고 있다. 조선중기에 이언적과 함께 마을을 대표하는 인물인 손중돈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ㅁ’자형 건물배치를 하면서도, 왼쪽으로 누마루가, 오른쪽으로는 살림집이 확장되었다. 뒷편에는 손소를 모신 사당이 있으며, 대문과 담은 원래는 없었다. 건물이 들어선 입지나 건축적인 면에서 향단(보물)과 함께 마을에서 가장 좋아…
-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보물)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고택인 무첨당(無忝堂, 보물)이다. 이 건물은 회재 이언적 종가의 별채이다. 앞면 6칸, 옆면 2칸에 누마루를 달아내어 ‘ㄱ’자형을 하고 있는 건물이다.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1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다. 조선중기에 지어진 건축물로 제사를 지내고 손님접대를 위해 사용되었던 상류층 주택의 별당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보물)> 무첨당은 종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