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보물)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 능역 내에 있는 숭릉 정자각(보물)이다. 이 정자각은 조선왕릉 정자각 중 유일하게 남은 팔작지붕 정자각이다. 기존 정자각과는 달리 정전 5칸, 배위청 3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숭릉을 조성하던 시기와 효종 영릉을 여주로 천장하는 시기가 겹치면서 임시 빈전을 짓지 않고 정자각을 임시빈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기존 정자각보다 크게 만들었다. 이런 형태의 정자각은 숭릉을 비롯하여 익릉,…
-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조선후기 유행한 소조불상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청룡사 주불전인 대웅전에 모셔진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이다. 석가여래를 본존불로 왼쪽에 보현보살상이, 오른쪽에 문수보살상이 배치된 삼존불상이다. 임진왜란 이후 소조불상이 유행하던 시기에 조성된 불상이다. 복장에서 발견된 조성원문에 따르면 1603년에 조성되었으며 6명의 화원이 참여했다고 한다. 곡선적이면서 투박한 조선후기 이후 소조불상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안성 서운산 자락에 위치한 청룡사는 고려시대(원종6)인 1265년에 처음 세워진 사찰로 고려말 이름난…
-
안성 청룡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전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청룡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4칸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지붕을 받치는 처마는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기둥은 전혀 가공하지 않은 원목을 사용하고 있어, 소박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멋이 있다. 조선 선조 이전에 지어졌다고 하나 건물의 형태나 건축수법으로 볼 때 조선후기에 크게 중수하면서 새로 지은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에는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이 모셔져…
-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보물)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봉업사지 절터에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고려초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며 ‘봉업사’라 적힌 청동제 반자가 발견되어 봉업사지 오층석탑이라 부른다. 이 석탑은 단층 기단위에 5층 탑신이 올려져 있는 정형화된 고려시대 오층석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을 크게 만들어져 기단의 역할을 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나 탑신 몸돌에 특별한 장식이 없으며,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겨 놓고…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보물)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칠장사 경내에 있는 혜소국사비(보물)이다. 고려시대 승려 혜소국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서 세운 비석이다. 현재 받침돌인 귀부와 몸돌, 머릿돌이 따로 떨어져 있는 상태로 있다. 혜소국사의 행적이 새겨진 몸돌은 흑대리석으로 만들었으며, 옆면에는 길게 두마리의 용을 새겨놓고 있다. 비몸 일부가 파손되기는 했지만 글씨가 선명하게 남아 있다. 고려 문종 14년(1060)에 혜소국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앞 석등(보물)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 앞에 세워진 석등(보물)이다. 전체적으로 화강석으로 만들어져 졌으며, 팔각형 평면을 기본으로 한 목조건축물 형태의 석등이다. 기단 하대석, 상대석에는 연꽃무늬를, 간주석에는 안상을 새겨 놓았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조각을 하기에 좋은 납석을 사용하고 있다. 화사석에는 비천상, 용을 새긴 기둥 등 다양한 조각상을 새겨 놓아 화려한 느낌을 주고 있다. 고려후기를 대표하는 석등 중…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비(보물)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보제존자 석종비(보물)이다. 고려말을 대표하는 승려로 신륵사에서 입적한 나옹선사 승탑 옆에 세워져 있다. 신륵사에서 입적한 나옹선사 승탑과 영정을 모신 진당을 조성한 내력을 적어 놓았다. 거북받침돌, 몸돌, 용이 조각된 머릿돌로 구성된 당나라 비석 형태의 기존 비석과는 달리 단순한 사각형 받침돌과 몸돌, 지붕모양 머릿돌로 구성된 형태를 하고 있다. 고려말 이후 새로운 비석 형식이다.…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보물), 고려말 승려 나옹선사 승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보제존자 석종(보물)이다. 고려말을 대표하는 승려로 신륵사를 크게 중창시킨 나옹선사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이다. 통일신라 이래로 정형화된 목조 건물 형태 승탑과는 달리 인도의 승탑인 스투파와 비슷한 형태이다. 종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석종형부도’라 불리며 사각형으로 생긴 넓은 기단 위에 화강석으로 만든 승탑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 정면과 좌.우에 계단이 놓여 있다. 장식성이 강하고 화려한…
-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보물), 고려말 이색이 대장각을 세운 내력을 적은 비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대장각기비(大藏閣記碑, 보물)이다. 남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신륵사 경내 동쪽편 언덕에 세워져 있다. 고려말 유학자이자 조선의 건국에 반대했던 목은 이색이 공민왕과 부모의 명복을 빌기 위해 대장경을 인쇄하고 보관하기 위해 대장각을 세우면서 그 내력을 적은 비석이다. 연꽃무늬를 새긴 대석위에 글씨를 적은 비몸을 세우고 양쪽에 기둥을 댄 다음 그위에 지붕을 놓은 형태로 조선초기 비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