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보물)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봉암사 경내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옛 주불전인 금색전 앞 마당에 자리잡고 있다.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것으로 기단부가 1층으로 되어 있는 지역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석탑이다. 상륜부 머리장식이 온전히 남아 있어 동시대 석탑의 기준이 된다고 한다. 단층 기단이기는 하지만 기단과 탑신의 비례에서 보여주는 조형미와 조각수법이 뛰어난 석탑이다. 김천 직지사로 옮겨진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
김천 직지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불전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불전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이 불전은 조선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조선후기 불전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건물은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내.외부에 많은 벽화와 단청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내부에는 석가여래, 약사여래, 아미타여래가 모셔져 있다. 불상을 모시는 불단(보물), 후불탱화(보물 )와 함께 조선후기 불교건축과 문화를 잘…
-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직지사 대웅전 앞으로 옮겨온 두개의 탑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대웅전 경내 서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문경시 산북면 웅창마을 도천사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비로전 앞 삼층석탑과 함께 3기의 석탑이 모두 같은 양식을 하고 있다. 기단을 받치는 넓직한 바닥돌이 기단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단과 탑신 1층 몸돌을 높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보물), 직지사로 옮겨온 통일신라 삼층석탑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비로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문경시 산북면 웅창마을 도천사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을 받치는 넓직한 바닥돌이 기단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단과 탑신 1층 몸돌을 높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경쾌한 느낌을 주고 있다. 상륜부는 직지사로 옮겨올 때 옛 모습을 추정하여…
-
담양 객사리석당간(보물), 홍수 예방의 풍수지리적 의미를 가진 석당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 절터에 남아 있는 석당간(보물)이다. 당간과 당간지주가 함께 남아 있는 보기드문 유물이다. 당간은 화강석을 다듬어 만든 긴석재 3개를 연결하여 만들었다. 연결부위에 철로 만든 띠로 장식했으며, 상륜부에는 바퀴모양 장식이 있다. 절이 폐사되었지만 당간은 구한말 헌종 때 중건되었다. 이 석당간은 담양읍치와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풍수지리적으로 지역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어 절은 없어졌지만 구한말에…
-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보물),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해 만든 고려시대 석탑
전남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부여 정림사지오층석탑으로 모방해서 만든 것으로 보이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1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려 놓고 있으며, 머리장식은 남아 있지 않다. 기단이 1층이기는 하지만 탑신과 기단의 비례가 적절하여 안정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통일신라 이후 석탑은 석탑자체의 독특한 조형미를 가지는데 비해 이 석탑은 석재를 이용하여 목탑처럼 쌓았다. <담양…
-
남원 광한루(보물), 호남을 대표하는 관아 누각
전북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광한루(廣寒樓, 보물)이다. 남원도호부 관아에서 공식적인 연회를 베푸는 장소로 사용하기 위에 경치가 좋은 곳에 세운 누각이다. 조선 세종 때 황희가 처음 세웠으며 현재의 건물은 인조 4년(1626)에 고쳐 지었으며, 부속건물은 정조 때 세웠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4칸으로 지방 관아에서 운영했던 누각 중에서도 상당히 큰 규모이다. 소설 『춘향전』에서 이몽룡이 광한루에 올라 멀리 그네를 타고…
-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보물)가 남아 있는 옛 절터
경주시 탑동에 있는 남간사지(南澗寺址)이다.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 탄생신화가 있는 경주 나정에서 남산 북쪽 남산신성이 있는 해목령으로 들어가는 길에 위치하고 있다. 남간사의 창건이나 내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는 거의 없으나 신라 애장왕때 관련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그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절터가 있었던 자리에는 마을이 들어서 있어서 그 흔적을 찾기는 쉽지 않고 당시 절에서…
-
경주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보물), 다른 형식을 하고 있는 2개의 탑
경북 경주시 남산동 옛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 석탑(보물)이다. 절터는 감은사지 이후 통일신라 사찰의 전형적인 가람배치였던 2탑 1금당식 가람배치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절터에는 형식이 다른 2개의 탑이 세워져 있는데 불국사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형식이다. 통일신라 전성기가 끝나가는 9세경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데, 동탑은 모전석탑 형식이 남아 있는 특이한 형태이며, 서탑은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