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백제

  •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목탑을 모방해서 만든 백제 석탑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미륵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국보)이다. 일부가 무너져 일제강점기에 시멘트로 보강하여 반쪽만 남아 있던 것으로 2000년대 이후 해체.수리가 진행중이다. 해체되기 이전에 6층까지 남아 있었는데 높이 14.24 m로 현존하는 석탑 중 가장 큰 규모이다. 또한 미륵사가 창건되었던 7세기 백제 무왕 때 이 석탑도 같이 세워졌던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석탑이기도 하다. 목탑을 충실하게…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물), 201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물)이다. 왼다리를 내리고 두 손가락을 뺨에 대고 앉아 생각하는 모습의 반가사유상이다. 얼굴과 몸을 가늘고 길게 표현하고 있다. 얼굴에는 미소가 없으며 옷주름을 단순하게 표현하는 등 현대미술에서 볼 수 있는 추상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보살상에 비해 대좌를 크게 만들어 안정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선과 면이 분명하고 잘 다듬어져 조작수법이 세련되었으며, 조형미 또한 뛰어난 편이다.…

  •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보물), 201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백제 마지막 도성이었던 부여 군수리 절터 심초석에서 출토되었다. 무른 재질의 곱돌을 깎아서 만든 12.5 cm의 작은 불상이다. 민머리위에 상투모양의 작은 머리가 있으며, 지그시 감은 눈과 얼굴의 미소 등 부드럽고 온화한 느낌을 주고 있다. 4각형의 높은 대좌에 앉아 참선을 하고 있는 석가여래를 표현하고 있다. 몸에 비해 머리와 손을 크게 만드는 등 불교가…

  •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국보), 관음보살을 표현한 백제 금동불상

    국립공주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금동보살입상(국보)이다. 있다. 공주시 의당면 송정리 절터에서 출토되었다. 얼굴에 약간의 미소를 머금고 있으며 삼면보관을 쓰고 있어 관음보살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체나 복식 등의 표현, 배꼽 부분의 구슬장식 등은 북제~수나라 때 유행하던 양식이라 한다. 삼국시대 7세기 백제에서 만들었음을 추정하고 있다. 삼국시대 백제를 대표하는 금동불상 중 하나로 조각수법이 뛰어난 작품이다. 반가사유상처럼 정형화된 형식으로는 발전되지…

  • 무령왕릉 청동거울 (국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점의 청동거울(국보)로 청동신수경, 의자손수대경, 수대경이다. 왕쪽에서 청동신수경과 의자손수대경이, 왕비쪽에서 수대경이 출토되었다. 청동신수경은 ‘방격규구신수경(方格規矩神獸鏡)’이라는 중국 후한의 거울을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의자손수대경(宜子孫獸帶鏡)은 중국 한대의 수대경을 본떠 만든 것이다. 꼭지를 중심으로 9개의 돌기가 있고, 안에는 크고 작은 원과 7개의 돌기가 솟아있다. 수대경(獸帶鏡) 역시 한나라 때 동물 문양을 새겨 넣은 수대경을 본받아 만들어진 것이다. <의자손수대경과 수대경> 중국…

  • 무령왕비 베개(국보)와 무령왕 발받침(국보)

    무령왕릉에 출토된 무령왕비 베개(국보)와 무령왕 발받침(국보)이다. 무령왕릉 발굴 당시 머리부분과 발부분에 놓여 있었다. 무령왕 베개는 크게 손실되어 그 형체를 알 수 없었으며 왕비 베개는 그 형체를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남아 있었다. 발받침은 왕과 왕비의 것이 온전히 남아 있었다. 왕비 베개는 나무에 주칠을 한뒤 금박등으로 구획을 나누어 그 속에 비천상, 봉황, 어룡 등 각종 그림을…

  • 무령왕비 금목걸이(국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비 금목걸이(국보)이다. 무령왕릉 발굴 당시 왕비 머리 부근에서 2점이 함께 출토되었으며 주변에는 금구슬이나 금제 장식들이 있었다고 한다. 하는 9마디, 다른 하나는 7마디로 되어 있다.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된 금막대마다 고리를 만들고 마무리를 하였다. 몸에 걸기 위한 고리 외에는 다른 장식을 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를 하고 있다. 단순한 형태이기는 하지만 상당히 세련된 디자인을 하고 있다.…

  •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

    무령왕릉에 출토된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이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5쌍의 금귀걸이 중 무령왕비 머리 부근에서 발견된 2쌍의 귀걸이다. 그 중 1쌍은 2개의 장식이 달려 있는데 하나는 탄환모양을 하고 있고, 다른 하나는 하트모양을 하고 있다. 다른 1쌍은 하트모양의 장식만 달려 있다.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 2개의 장식이 달려 있는 귀걸이> 하트모양에는 옥이 달려 있다.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하트모양 장식> <무령왕릉 발굴 당시 모습을…

  • 무령왕 금제뒤꽂이(국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 금제뒤꽂이(국보)이다. 무령왕 관장식과 머리부분에서 발견된 유물로 관모를 장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뒤꽂이는 머리에 꽂아 머리모양을 흐트러지지 않게 해주는 실용적인 기능과 함께 뒤꽂이 자체의 장식으로 머리를 더욱 화려하게 꾸며주는 장신구이다. 전체적으로 새가 날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위쪽에는 2개의 꽃무늬가 있고, 아래쪽에는 당초문이 새겨져 있어 사산조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관모에 새의 깃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