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사찰

  • 상주 천주산 북장사, 상주지방의 유력 사찰

    경북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천주산 중턱에 있는 북장사(北長寺)이다, 통일신라 때 승려 진감선사가 833년 창건하였다 전한다. 창건 이래 여러 암자를 거느린 큰 사찰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완전히 소실되어 옛 흔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았다. 조선후기 인조 때 중국에서 온 승려 10여명이 중건하였다고 한다. 이후 여러차례 화재와 중건을 거듭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 중 오랜 내력이 있는 건물은…

  • 충주 백운암, 구한말에 창건된 작은 암자.

    충북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 백운산에 있는 작은 암자인 백운암이다. 구한말인 1886년 무당이었던 진령군 파평윤씨가 창건한 사찰이었다. 윤씨는 명성황후가 임오군란으로 충청도로 피난왔을 때 곧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 예언했다가 임오군란 이후 진령군이라는 벼슬을 받았다. 원래는 요사채과 불당이 한 건물에 있는 작은 암자였는데 최근에 요사채와 삼성각을 세우면서 사찰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대웅전에는 통일신라 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 영암 월출산 도갑사, 통일신라말 도선국사가 머물렀던 사찰

    전남 영암군 군서면 월출산 자락에 있는 사찰인 도갑사이다. 통일신라 때 도선국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삼국시대 백제 때 유물 등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삼국시대 이래 사찰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초 세조 때 승려 신미와 수미가 크게 중건하여 966칸에 이르는 전각과 많은 부속암자를 거느린 큰 사찰로 번창하였다. 정유재란, 한국전쟁 등 여러 차례의 전란과 화재…

  • 김제 모악산 금산사(사적), 통일신라 법상종 근본도량이었던 사찰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에 있는 큰 사찰인 금산사(사적)이다. 금산사는 화엄종과 함께 통일신라 불교를 이끌어왔던 법상종의 근본도량이다. 삼국시대 백제 무왕 때 처음 창건되었으며, 통일신라 때 진표가 미륵존불을 모시는 장륙전을 세우는 등 사찰을 크게 중창하였다. 이후 후삼국시대 견훤이 이곳에 유배되기도 했다. 고려 문종 때 왕사인 혜덕이 다시 중창하였는데 금강계단(보물 ), 오층석탑(보물) 현존하는 석조유물들은 이 때 조성되었다. 이후…

  • 강진 월출산 무위사, 수륙재로 유명했던 사찰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출산 자락에 있는 사찰인 무위사(無爲寺)이다. 조선전기 불교건축을 대표하는 주불전인 극락보전(국보)으로 유명한 사찰이다.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통일신라말 선각대사가 중창하였으면 보림사와 함께 지역을 대표하는 선종사찰이었다. 조선초 태종이 전국 사찰을 군현중심으로 재편할 때 천태종 17자복사 중 하나가 되면서 지역을 대표하는 사찰로 자리잡았다. 조선시대에는 죽은이의 영혼을 위로하는 수룍재가 유명한 사찰이었다고 한다. 한때는 건물이 58동에 이르는 큰…

  • 강진 백련사, 고려중기 불교개혁 백련결사를 이끌었던 사찰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있는 사찰인 백련사(白蓮社)이다. 남해안 강진만이 내려다 보이는 만덕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유서깊은 사찰이다. 통일신라 때 처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고려중기 원묘국사가 크게 중창하였다. 고려중기 불교개혁운동 백련결사를 이끌었던 사찰로 수신결사를 이끌었던 지눌의 송광사와 함께 불교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사찰이다. 고려중기 이후 8명의 국사를 배출하였으나 고려말 왜구의 피해를 입어 거의 폐사되었다고 세종 때 효령대군의…

  • 여수 향일암, 일출이 아름다운 남해안 관음성지

    전남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금오산에 있는 향일암이다. 삼국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작은 암자로 임진왜란 때 승병들이 머물렀던 곳이라고 한다. 사찰의 이름은 책륙암, 영구암 등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조선후기 숙종 때 인묵대사가 현 위치로 옮기면서 일출경관이 빼어나 향일암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남해 보리암, 강화 보문사, 양양 낙산사와 함께 대표적인 관음신앙 성지로 여겨지는 곳이다. 전각들은 최근에 중건한 것으로…

  • 여수 영취산 흥국사, 전라좌수영과 함께 했던 호국사찰

    전남 여수시 중흥동 영취산 자락에 있는 사찰인 흥국사이다. 고려중기 불교개혁을 이끈 지눌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호국의 염원을 담아 흥국사라 이름지어졌던 남해안 변방의 작은 사찰이었다. 고려말 왜구의 침입과 조선초 불교 탄압으로 폐허화 되었던 것을 조선중기 명종 때 법수화상이 중창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이끌고 참전하면서 전라좌수영의 지원을 받아 호국사찰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중기 인조 때 계측대사가 사찰을 크게…

  • 순천 조계산 송광사(사적), 고려중기 불교개혁 이후 한국 불교를 이끌어 온 승보사찰

    전남 순천시 조계산 자락에 위치한 송광사(松廣寺, 사적)이다. 양산 통도사, 합천 해인사와 함께 3대사찰로 여겨지며 수행을 중시하는 승보사찰로 불리우고 있다. 이곳에는 통일신라 때 창건된 길상사라는 작은 사찰이 있었는데, 고려중기 보조국사가 불교개혁 운동인 정혜결사의 중심지로 삼으면서 송광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통일신라 때 창건된 유서깊은 사찰에서 볼 수 있는 석탑이나 불상같은 조형미가 뛰어난 불교 예술품들은 많지 않은 반면, 고승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