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삼국시대
-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국보)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국보)’이다. 이 불상은 1976년 경북 선산읍 봉한동에서 공사를 하던 중 금동여래입상(국보)과 함께 출토된 2점의 금동보살입상 중 하나이다. 보살상은 머리에 꽃으로 장식된 관을 쓰고 있다. 조각수법이 섬세하면서도 화려한 편으로 중국의 영향을 받은 복잡하고 화려한 장신구의 표현이 특이한 보살상으로 삼국시대인 7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살,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신라 7세기, 구미…
-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보물)
경남 김해시 김해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보물)’이다. 삼국시대 가야 무덤인 부산 복천동고분군(사적) 11호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깨지거나 훼손된 부분이 없이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통형 그릇받침 위에 목이 낮은 도기 항아리가 놓여져 있다. 그릇받침과 항아리의 규모가 크고 조형미를 갖추고 있으며, 그릇받침 표면에 유약이 발라져 있다. 그릇받침은 11단으로 나누어 투창을…
-
토우장식 장경호(국보), 삼국시대 신라의 민간신앙을 표현하고 있는 유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토우장식 장경호(국보)이다. 경주 대릉원 계림로 30호 무덤과 노동동 11호 무덤에서 출토된 2점의 토우장식 목항아리를 말한다. 2점의 목항아리는 밑이 둥글고 윗부분은 밖으로 약간 벌어진 채 세워져 있다. 목부분과 몸체에 개구리, 새, 거북, 사람, 뱀 등 다양한 형상의 토우를 장식하고 있다. 토우는 생산, 풍요, 귀신을 물리치는 민간신앙을 표현하고 있다. 노동동 11호 무덤에서 출토된 목항아리에는…
-
도기 바퀴장식 뿔잔 (보물),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기 바퀴장식 뿔잔'(보물)이다. 뿔잔에 수레바퀴가 붙은 높이 18.5cm의 도기이다. 받침은 동시대 가야 굽다리접시 양식을 하고 있다. 받침 위에 뿔잔을 얹어 놓고 있으며 그 위에 고사리모양 장식을 했다. 바뀌는 축을 중심으로 6개의 창을 뚫어 바퀴살을 표현하고 있다. 삼국시대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로 캐릭터나 상징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출토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수레바퀴장식 뿔잔, 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