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삼국시대

  • 합전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보물)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합전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보물)이다. 대가야 지배층 무덤인 합천 옥전고분군(사적) M28호 무덤에서 출토된 한쌍의 금귀걸이다. 가야의 긴 사슬장식 금귀걸이 중 화려하고 보존상태과 양호하다. 5세기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로 당시의 금속공예 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다. <출처>

  •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보물)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보물)’이다. 삼국시대 백제 지방세력의 무덤 유적인 전북 고창군 봉덕리 고분군(사적)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금동신발은 장례 대 의례용으로 만들어진 신발로 백제적인 형식과 문양을 보여주는 금속공예품이다. 이 금동신발은 현재까지 확인된 19점의 금동신발 중 형태나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여겨진다. 백제 중앙에서 지방세력에게 내려준 ‘위세품’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도 비슷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금동신발…

  •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국보)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국보)’이다. 이 불상은 1976년 경북 선산읍 봉한동에서 공사를 하던 중 금동여래입상(국보)과 함께 출토된 2점의 금동보살입상 중 하나이다. 보살상은 머리에 꽃으로 장식된 관을 쓰고 있다. 조각수법이 섬세하면서도 화려한 편으로 중국의 영향을 받은 복잡하고 화려한 장신구의 표현이 특이한 보살상으로 삼국시대인 7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살,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신라 7세기, 구미…

  •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국보)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국보)’이다. 이 불상은 1976년 경북 선산읍 봉한동에서 공사를 하던 중 금동여래입상(국보)과 함께 출토된 2점의 금동보살입상 중 하나이다. 보살상은 연꽃무늬가 새겨진 대좌 위에 무릅을 약간 구부린 채 서 있는 자세이다. 신체는 날씬한 편으로 균형이 잘 맞으며, 옷은 몸에 얇게 밀착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사실적이며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조각수법이 뛰어나다. 삼국시대 후기…

  •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보물)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보물)’이다. 고령 지산동 고분들을 발굴, 조사하는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무덤에서 같이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 5세기 대가야에서 만들어진 것임이 확인되었다. 불상 광배모양의 솟은 장식 양쪽으로 작은 연봉오리모양의 장식이 하나씩 있다. 관테의 안쪽에 천이나 가죽을 덧대어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대가야 관모와 금속공예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사적)은 대가야 지배층의 무덤으로…

  •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보물)

    경남 김해시 김해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보물)’이다. 삼국시대 가야 무덤인 부산 복천동고분군(사적) 11호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깨지거나 훼손된 부분이 없이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통형 그릇받침 위에 목이 낮은 도기 항아리가 놓여져 있다. 그릇받침과 항아리의 규모가 크고 조형미를 갖추고 있으며, 그릇받침 표면에 유약이 발라져 있다. 그릇받침은 11단으로 나누어 투창을…

  • 의성 탑리 출토 금동관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금동관이다. 의성군 탑리 일대 조문국 무덤이라고 전해지는 고분군 중 지배계층 무덤에서 출토되었다. 띠모양의 테두리 위에 새의 깃털모양으로 만든 3개의 세움장식이 부착되어 있다.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은관의 깃털장식과 비슷하며 고구려 관장식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금동관은 삼국시대 신라와 가야의 무덤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다. 지방세력이 사용했던 금동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금동관, 의성 탑리, 삼국시대> <옆에서…

  • 토우장식 장경호(국보), 삼국시대 신라의 민간신앙을 표현하고 있는 유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토우장식 장경호(국보)이다. 경주 대릉원 계림로 30호 무덤과 노동동 11호 무덤에서 출토된 2점의 토우장식 목항아리를 말한다. 2점의 목항아리는 밑이 둥글고 윗부분은 밖으로 약간 벌어진 채 세워져 있다. 목부분과 몸체에 개구리, 새, 거북, 사람, 뱀 등 다양한 형상의 토우를 장식하고 있다. 토우는 생산, 풍요, 귀신을 물리치는 민간신앙을 표현하고 있다. 노동동 11호 무덤에서 출토된 목항아리에는…

  • 도기 바퀴장식 뿔잔 (보물),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기 바퀴장식 뿔잔'(보물)이다. 뿔잔에 수레바퀴가 붙은 높이 18.5cm의 도기이다. 받침은 동시대 가야 굽다리접시 양식을 하고 있다. 받침 위에 뿔잔을 얹어 놓고 있으며 그 위에 고사리모양 장식을 했다. 바뀌는 축을 중심으로 6개의 창을 뚫어 바퀴살을 표현하고 있다. 삼국시대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로 캐릭터나 상징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출토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수레바퀴장식 뿔잔, 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