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중국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당삼채와 자기

    당나라를 대표하는 공예품 중 하나인 당삼채(唐三彩)는 납유약을 발라 저온에서 구운 도기이다. 가마에서 구위지는 과정에 유약이 흘러내려 색의 융합을 촉진하다. 표면 색상이 노랑, 녹색, 청색이어서 당삼채라 부른다. 당나라 시기의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로 주로 무덤 부장품으로 만들어 졌으며 건물이나 실내 장식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주요 기형으로는 일반적인 그릇을 비롯하여, 인물상, 신상, 진묘수, 말, 낙타 등이 있다. 당시…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금속공예

    수당(隋唐)시대 수공예는 고대 중국에서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 공예제작 수준은 시장 수요 증가에 따라 급격히 향상되었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공방과 개인 공방 모두 번창하였다. 정교하게 만들어진 비단, 금은기(金銀器), 당삼채, 자기, 청동거울 등은 수당시대의 뛰어난 공예 수준을 보여준다. 수공업(手工業, Handicraft) The handicrafts of the Sui and the Tang dynasties reached a peak in ancient China. The skills of…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농업과 목축업의 발전

    수당(隋唐) 시기 농업은 급속히 발전했다. 경작지는 크게 확장되었으며 인구는 증가했으며 이주정책은 더욱 진보했다. 철쟁기나 수차 등 획기적으로 개량된 농기구들은 곡목 수확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중국 북서부의 넓은 지역은 목초지로 바뀌었다. 당 고종(高宗) 때 기록에 따르면 전성기에 70여만마리의 말이 사육되고 있었다고 한다. 수나라 때 건설한 대운하의 영향으로 강남지역과 물자, 사람 등의 교류가 활발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전 시대에…

  • [섬서역사박물관] 수당(隋唐), 장안성 궁궐과 황릉

    수당(隋唐)시대는 중국 역사상 가장 번성했던 시기로 여겨진다. 수도 장안(長安, 현 시안시)은 동시대 셰계에서거 가장 크고 번성했던 대도시였다.수당(隋唐)왕조의 정치,경제, 문화는 다른 문명과의 넓은 교류속에서 발전했으며 수당시기 유물들은 시대의 포용성, 혁신과 창의성을 통해 성취했던 빛나는 업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수당(隋唐, The Sui and Tang dynasties, 581 ~ 907년) The Sui and the Tang dynasties are the most…

  • [섬서역사박물관]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일상생활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 여러 민족의 융합은 사화와 문화의 발전을 새로운 단계로 올라서게 하였다. 섬세한 수공에품이나 “위비(魏碑)”의 힘찬 글씨체, 생동감 넘치는 무용을 보여주는 인형들이 이 시기를 대표하는 예술품들이다. 조각, 서예, 음악과 무용 등 여러 분야에서의 성취는 수당(隋唐)시대 문화적 번영의 토대가 되었다. 다채생활(多彩生活, colorful life) The merging of different nationalities during the Wei, J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 [섬서역사박물관]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충돌과 융합

    중국은 한(漢)이 붕괴된 이후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220 ~ 581년) 시대라 불리는 끊임없는 전쟁이 이어진 혼돈과 불확실의 시기를 겪었다. 중국 북쪽 유목민(흉노, 선비, 강, 저, 갈 등)이 국경을 넘어 관중지방에 정착하면서 농업문화와 유목문화가 융합되었으며, 실크로드를 통한 동.서교역은 여전히 번성했다. 인도에서 유래한 불교가 동쪽으로 전래되면서 새로운 문화와 예술의 발전을 촉진하였다. 북방유목민의 침입에 의한 혼란의 시기로 볼 수도 있지만…

  • [섬서역사박물관] 한(漢), 대외교류

    흉노를 제압하기 위해 한무제(漢武帝)는 장건을 2번에 걸쳐 서역으로 파견하였다. 실질적인 동맹을 이끌어내지는 못했지만 장건의 파견은 실크로드를 개척하고 중국과 서방세계의 교류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漢)은 중국의 문화와 창의성을 서구에 소개했으며, 서구 문명을 본격적으로 흡수하였았다. 한대 이후 중국은 모든 면에서 서구 문명의 특징들이 반영되었으며 중국의 문화는 세계 문명의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다. 흉노와 국경이라 할 수 있었던 만리장성…

  • [섬서역사박물관] 한(漢), 사회 모습과 기술의 발전

    한(漢)대 중국인들은 부를 축적하면서도 섬세하면서도 다채로운 삶을 추구했다. 이들은 다양한 일상 용품 등을 생산했으며 출토된 유물을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지혜와 관심사를 살펴볼 수 있다. 종이, 지진계 및 마취약 등의 발명은 당시 중국이 과학 기술 분야에서도 다른 지역에 비해 발달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사회도경(社會圖景, social life) People of the Han Dynasty created a great fortune…

  • [섬서역사박물관] 한(漢), 산업의 발전

    한(漢)은 전성기 로마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존재으며, 당시 중국은 여러 분야에서 주도적 위치에 있었다. 한무제가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동.서교역로인 실크로드가 개척되기 이전에 많은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전 세대와는 달리 서역의 영향을 받은 유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 중국은 풍부한 재료와 앞선 기술로 다양하면서 뛰어난 수공예품들이 많이 제작되었다.당시 만들어졌던 수공예품들 실용적일 뿐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