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다층석탑

  • 고창 선운사 육층석탑, 2009년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 선운사 대웅전 앞마당에 육층석탑이다. 단층 기단위에 6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는데 원래는 9층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는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처마를 살짝 들어오려 경쾌한 멋을 주고 있다. 복발형태의 머리장식은 원형이 잘 남아 있는 편이다.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안정감이나 조형미는 떨어지는 편이며, 지붕돌 등에서 백제 석탑의 양식이 일부 남아…

  • 김제 금산사 육각다층석탑(보물), 검은색 점판암으로 만든 다층석탑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 경내에 있는 육각다층석탑(보물)이다. 금산사 소속 봉천원(奉天院)에 있던 것을 금산사로 옮겨왔다. 일반적인 석탑과는 달리 벼루를 만든 흑색인 점판암으로 만들었다. 육각형의 탑신을 쌓은 현재 높이 2.18m의 11층 석탑이다. 원래 11층인지 알 수 없기때문엔 다층석탑이라 부른다. 기단에는 연꽃무늬를 새겨놓고 있다. 탑신은 원래 각층마다 몸돌이 있었으나 지금은 위쪽 2개층만 몸돌이 남아 있다. 몸돌과 지붕돌에 새겨진…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국보), 고려 특유의 양식이 잘 반영된 석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국보)이다. 고려중기 이전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일제강점기에 경기도 개성 부근 남계원터에 남아 있던 것을 탑신부만 경복궁으로 옮겼다. 이후 기단부도 발굴되어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 탑은 2층의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신라 석탑에 비해서 1층기단은 약간 높아졌고, 2층 기단은 약간 낮아져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국보), 대리석조각이 화려한 고려를 대표하는 석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도서관 로비에 전시되어 있는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국보)이다. 원래 경기도 개풍군 보소산에 있던 경천사(敬天寺) 절터에 있던 고려시대 석탑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무단 반출되었던 것을 반환받았다. 탑신 1층에 새겨진 내용에 따르면 고려말 충목왕 때(1348년)에 원나라 황제을 위해 세웠다고 한다. 당시 원나라에는 고려출신 기황후가 있었던 시기로, 친원세력의 권세를 잘 보여주고 있다. 법회장면 등을 불교적인 내용을 표현하고 있지만…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 백탑이라 불렸던 대리석으로 만든 조선시대 석탑

    서울 종로구 종로2가 탑골공원에 남아 있는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이다. 조선왕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한 이래 오랜 세월 도성 한가운데 우뚝 솟아 있던 석탑으로 지금은 유리보호각 속에 있다. 대리석으로 만든 높이 12m 정도 석탑으로 하얀색의 외관떄문에 백탑이라고도 불렸다. 기단부는 3단으로 되어 있으며 亞자 형태를 하고 있다. 기단에는 여러가지 용, 사자, 연꽃무늬를 비롯하여 다양한 장식을 조각해 놓고 있다. 탑신은…

  •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보물), 고려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조선초기 다층석탑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낙산사에 있는 칠층석탑(보물)이다. 낙산사를 창건한 통일신라 때 삼층석탑을 조선초 세조가 중건하면서 칠층석탑으로 만들었다. 중국의 영향을 받은 고려 석탑 양식이 적용된 석탑이다. 기단부는 정사각형으로 지대석이 놓여 있는데 윗면에 겹연꽃 무늬를 장식하고 있으며, 탑신부는 조선시대 다층석탑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상륜부에는 청동 복발.보륜 등을 장식하고 있다. 상륜부 형식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라마탑과 닮은 장식들의…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대리석으로 만든 화려했던 석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다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극락보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는 높이 3m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다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석탑이나 고려시대 경천사지 석탑 등에 비하면 아담해 보인다. 중국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도교풍의 장식이 많은 경천사지 석탑의 특징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세종대왕 영릉의 원찰 역할을 부여받으면서 불전들을 새로 지었던 성종 때 같이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서울 탑골공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