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전통건축
-
경기도 안성군 관아, 고려 주심포양식이 남아 있는 안성객사
안성시에는 남아 있는 조선시대 안성군 관아의 중심이 되는 객사(客舍)와 중등교육기관인 향교가 옛 관아의 흔적으로 남아 있다. 객사는 국왕의 궐패를 모시고,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중앙관리가 잠시 머무는 숙소역할을 하는 곳으로 각 지역마다 해당 지역의 규모에 걸맞는 규모의 객사를 갖추고 있었는데, 안성은 전국에서 평균 정도 규모의 객사를 갖추고 있었다. 원래 안성읍내에 있던 것을 이곳저곳 옮겨다니다 1995년 수리.해체를…
-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보물), 왕실 종친을 관리하던 관청
서울 종로구 삼청로에 있는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보물)’이다. 건물은 정청인 경근당과 별채인 옥첩당, 그리고 두 건물을 연결해 주는 복도로 이루어져 있다. 정청 건물인 경근당은 앞면 7칸으로 관청건물 중에서는 상당히 규모가 큰 규모로 의정부나 삼군부 청사와 비슷한 규모이다. 경근당에는 국왕의 어진 등을 보관했던 것으로 보이며, 실제 사무공간은 별채인 옥첩당에서 했던 것으로 보인다. 낙산 서울성곽 동쪽과 육사교정으로 옮겨진…
-
삼군부 총무당과 청헌당, 조선시대 최고 군사기구였던 삼군부 청사
삼군부 건물은 조선시대 중앙부처 관아 건물 중 하나로 정청인 총무당(總武堂), 그 좌우에 보조건물격인 청헌당(淸憲堂)과 덕의당(德義堂)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한말인 고종때 지어진 삼군부 청사는 약 100년이 조금 넘은 건물로 건축문화재로서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볼 수 있지만, 조선시대 최고 행정기구인 의정부와 함께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관아로서 의정부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어 당시 관아건물 형태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
강화 용흥궁, 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았던 잠저
강화읍 관청리에 소재한 조선 25대 철종이 강화도 유배시절에 살았던 잠저(潛邸)인 강화 용흥궁이다. 용흥궁은 원래 초가였던 것을 철종이 즉위한지 4년이 되던해에 강화유수 정기세가 현재와 같은 건물을 지었다고 한다. 관아가 있던 지역이라 좁은 골목안에 대문을 세우고 일반 민가처럼 사랑채, 안채, 문간채를 지었는데, 이를 별전, 내전, 외전이라고 부른다. 조선시대 잠저는 인조, 철종, 고종처럼 정상적으로 왕세자를 거쳐서 왕위에 오른…
-
경복궁 편전, 국왕의 집무공간인 사정전 일원
경복궁 편전 영역인 사정전(思政殿) 일원은 정전인 근정전(勤政殿) 뒷편에 자리잡고 있다. 이궁(離宮)으로 처음 세워졌다가 임진왜란 이후 법궁(法宮) 역할을 했던 창덕궁은 편전인 선정전(宣政殿)이 협소하여 침전이었던 희정당(熙政堂)을 편전으로 같이 사용했던 반면, 경복궁은 법궁으로 국왕의 집무공간인 편전을 제대로 갖추고 있다. 경복궁 편전은 중앙에 사정전을 두고 양쪽에 부속건물이 온돌방이 있는 만춘전과 춘추전을 두고 있다. 사정전(보물)은 태조가 경복궁을 창건할 때 편전…
-
경복궁 침전(寢殿) 강녕전과 교태전, 국왕과 왕비의 생활공간
조선시대 궁궐은 삼조제도(三朝制度)에 따라 신하들이 업무를 보는 공간인 외조(外組), 국왕이 정무를 보는 공간인 정전(正殿)을 중심으로 한 치조(治朝), 국왕과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연조(燕朝)로 나눈다. 상왕이 거처할 이궁(離宮)으로 세웠던 창덕궁이 자연지세에 순응하여 유연한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면,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法宮)으로 삼조제도를 엄격히 따르고 있는 궁궐이다. 정문인 광화문에서 출발하여 정전인 근정전, 집무공간인 사정전(思政殿), 국왕의 침전이 강녕전(康寧殿), 왕비의 처소인 교태전(交泰殿)이 일렬로…
-
경복궁 태원전 일원, 태조의 어진을 모신 전각
경복궁 제일 뒷편으로 걸어들어가면 새로 복원한 궁궐 전각을 볼 수 있는데,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셨던 태원전이다. 구한말 경복궁을 중건할 때 국왕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태원전을 지었다고 한다. 태원전은 평상시에는 태조의 어진을 모시는 곳이지만, 실제로는 국장이 있을때 빈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건물이다. 실제로는 태안전을 세워진 후 그 목적에 맞게 사용한 기간은 많지 않았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왕실가족이 거주하지…
-
경희궁 외조, 흥화문과 금천교
경희궁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여러 궁궐들을 중건하는 과정에서 세워진 궁궐로 1623년(광해군15)에 완공하였다. 이곳은 원래 인조의 아버지인 정원군이 살았던 곳으로 왕의 기운이 서렸다고 하여 광해군이 이를 빼앗아 궁궐을 지었다고 한다. 원래는 경덕궁이라 불렀는데 영조가 1760년 경희궁으로 고쳐 불렀다. 1829년(순조29) 화재로 인하여 대부분 소실된 것을 중건하였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경복궁을 복원하지 않고 창덕궁을 정궁으로 삼았던 조선후기에 이궁(離宮)으로…
-
덕수궁 침전, 국왕 거처인 함녕전(보물)
함녕전(보물)은 덕수궁의 침전으로 고종황제가 마지막으로 거처하고 사용하던 건물이다. 경복궁이 왕비의 영역인 내전을 별도로 두고 있는데 비해서 왕비의 침실을 같이 두고 있는 창덕궁 대조전과 비슷한 형태이다. 이는 덕수궁이 대한제국의 궁궐로 정해진 후 증축하는 과정에서 지어졌는데 당시는 중전인 명성황후가 시해된 이후로 왕비의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함녕전은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덕수궁을 정궁으로 삼았던 1897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