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백자
-
백자 병형 주전자(국보)
서울 관악구 호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병형 주전자 (白磁 甁形 注子, 국보)”이다. 높이 32.9cm의 백자로 만든 주전자이다. 아가리는 약간 벌어져 있으며, 짧은 목 아래로 서서히 벌어져 아랫부분이 풍만한 형태이다. 뚜껑에는 연꽃봉오리 모양이 꼭지가 있어 손잡이에 있는 고정시킬 수 있다. 제작기법 등으로 볼 때로 15~1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조선초기 백자 중 걸작으로 손꼽힌다. 경기도 광주지역 가마에서 만든…
-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보물)이다. 높이 26.7cm 백자 항아리로 몸체를 뚫음새김하였다. 안쪽과 바깥에 항아리가 이중으로 있는 구조이다. 바깥 항아리는 뚫음새김으로 모란꽃, 줄기, 잎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안쪽 항아리에는 문양이 없다. 외형은 일반적인 항아리와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8세기 후반 경기도 광주에 있는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백자 투각 청화 모란 넝쿨무늬 항아리, 조선 18세기,…
-
백자 항아리(보물)
부산 남구 부산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항아리 (白磁 大壺, 보물)”이다. 높이 52.6cm 큰 백자 항아리이다. 조선후기에 제작된 문양이 없는 둥근 형태를 하고 있다. 형태는 약간 비대칭이나 자연스럽고 안정된 느낌을 준다. 조선후기 관요의 백자 제작기술이 완숙한 단계를 보여주는 유물이다. <백자 대호, 조선 17세기 말 ~ 18세기 초, 부산박물관, 현수명 회장 기증, 보물> <옆에서 본 모습> <뒤에서…
-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보물)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서울 淸進洞 出土 白磁壺, 보물)”이다. 아무런 문양이 없는 순백자 항아리이다. 2009년 서울 종로구 피맛길에서 3점이 출토되었다. 전형적인 조선 전기 항아리의 모습을 하고 있다. 3점중 2점은 높이 55.5cm, 36.2cm로 크기와 형태가 비슷하고 나머지 1점은 높이 28cm 정도의 둥근 형태이다. 뚜껑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원래 뚜껑이 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백자 태항아리(보물)
서울 관악구 호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태항아리 (白磁 胎壺, 보물)”이다. 내항아리와 내항아리가 남아 있다. 외항아리는 높이 42.5cm이고, 내항아리는 높이 27.6cm이다. 이름과 생년월일 등이 기록된 태지석은 남아 있지 않다. 태항아리는 왕실 자녀가 태어났을 때 태를 담아서 보관하는 용도로 제작되었다. 15세기까지는 분청사기로 만들었으며 16세기부터는 백자로 태항아리를 만들었다. 경기도 광주지역 가마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백자 태호 중 내호, 조선…
-
백자 철화운죽문 항아리(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철화운죽문 항아리 (白磁 鐵畵雲竹文 壺, 보물)”이다. 높이 33.2cm의 큰 백자 항아리이다. 아가리 둘레가 몸통 아랫부분보다 크고 동체 가운데에 접합 자국이 있다. 몸통에는 구름무늬와 대나무무늬를 산화철 안료를 이용하여 그렸다. 문양을 그린 필치가 주저함이 없어 시원한 느낌을 준다. 청화안료가 부족했던 17세경에 만든 작품으로 추정된다. <백자철화 운죽문 호, 조선 17세기, 개인…
-
진양군 영인정씨묘 출토 유물(국보)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진양군 영인정씨묘 출토 유물 (晋陽郡 令人鄭氏墓 出土 遺物, 국보)”이다. 경남 거창군 북상면에 있는 진양군 영인정씨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편병.접시.대접.잔.묘지 등 10여점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묘지 내용을 통해 1446년에 조성된 사실을 알 수 있다. 편병과 묘지는 고려백자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백자상감 연화문 묘지 일괄, 조선 1466년, 리움미술관, 국보> 편병은 높이…
-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병(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병 (白磁 象嵌蓮花唐草文 甁, 보물)”이다.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높이 29.9cm의 연질백자 병이다. 아가리는 나팔처럼 벌어지고 몸체는 불룩한 전형적인 조선시대 병이다. 몸통에는 연꽃을 배치하고 여백을 충분히 두면서 덩굴무늬를 흑상감하였다. 도안화된 중국식 문양과 구도를 따르고 있다. 15세기 상감백자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백자상감 연화당초문 병, 조선 15세기, 개인 소장,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