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유적지

  • 서울 선릉 정릉(사적) 재실

    서울 강남구 삼성동 선릉.정릉(사적) 능역에 있는 재실이다. 원래 선릉과 정릉에 재실이 따로 있었으나 구한말 새로 재실건물을 지으면서 2개의 재실을 합쳤다. 건물은 산릉제례를 준비하는 제관이 머무는 제방과 행랑채로 간략하게 구성되어 있다. 원래 재실은 왕릉 입구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나 이 곳을 침수피해가 많은 곳이라서 언덕 위에 조성해 놓고 있다. 재실은 원래 무덤이나 사당옆에 제사를 준비하기…

  • 여주 세종 영릉(사적) 재실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 세종 영릉(사적) 능역에 있는 재실이다. 이곳에 영릉을 조성할 때 지어진 재실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 현재의 재실은 1970년대 세종대왕 영릉 성역화 사업 때 다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산릉제례 때 제관이 머무는 공간이자 능참봉이 집무를 보는 공간인 재방과 능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머무는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향청과 제기고는 별도로 두고 있지 않다.…

  • 여주 효종 영릉 재실(보물), 왕릉 재실의 모습을 잘 보존되어 있는 곳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 효종 영릉(사적) 능역에 있는 재실(보물)이다. 1673년 구리 동구릉에 있는 효종의 영릉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재실도 같이 옮겨왔다. 17세기에 지어진 건축물로 조선왕릉 재실 중 유릴하게 기본형태가 잘 남아 있으며, 공간구성과 건물배치가 잘 되어 있다. 건물은 산릉제례때 제관이 머무는 공간이자 능참봉이 집무를 보는 공간인 재방을 중심으로 향과 축을 보관하는 안향청,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

  • 서울 헌릉.인릉(사적) 재실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헌릉.인릉(사적) 능역 입구에 있는 재실이다. 원래 왕릉에는 각 능마다 재실을 별도로 두었으나, 구한말을 거치면서 입구의 재실을 두고 그 기능을 통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는 조선 3대 태종과 23대 순조의 능이 있으며, 조선 3대 세종의 영릉도 원래 이곳에 있었는데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주로 옮겼으며, 문종 또한 이곳에 능을 마련할려고 했으나 같은 이유로…

  • 구리 동구릉(사적) 재실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 능역 입구에 있는 재실이다. 동구릉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건원릉을 중심으로 9기의 왕릉이 모여있는 조선 최대의 능역이다. 동구릉에는 능역 입구에 하나의 재실만 있다. 원래 왕릉에는 각 능마다 재실을 별도로 두었으나, 구한말을 거치면서 입구의 재실을 두고 그 기능을 통합했던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집무실인 재실, 향과 축을 보관하는 안향청,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 행랑채 등이 있었으며,…

  • 예산 남연군묘,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묘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에 있는 남연군묘이다. 남연군은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이자 고종의 할아버지이다. 원래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6대손이나 사도세자 서자 은신군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구한말 풍운아인 흥선대원군이 아버지 남연군을 이장할 명당자리를 찾다가, 이 곳 가야사 자리가 ‘2대에 걸쳐서 왕이 나올 자리’라고 하여 절을 불을 질러 없애버리고 그 부친의 묘소를 이장했다고 전하고 있다. 이후 독일산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를…

  • 포천 인평대군 묘, 인조의 셋째 아들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신평리에 위치하고 있는 인평대군 묘이다. 인평대군은 인조의 셋째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으로 병자호란 후 청나라 심양에 인질로 갔다고 돌아왔으며, 효종때에는 4차에 걸쳐서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오는 등 병자호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많은 헌신을 한 인물이다. 왕자의 신분이지만 묘역은 규모있게 잘 정비되어 있고, 지금까지도 묘역에 재실과 관리인이 남아 있다. 능(陵)이나 원(園)과는 달리 정자각 같은 제향시설은 두고 있지…

  • 영월 장릉(莊陵, 사적), 조선 6대 단종의 능

    강원도 영월군 영흥리에 있는 조선 6대 단종의 장릉(莊陵, 사적)이다.  단종은 계유정난으로 왕위에 물러난 후 집현전 학사들을 중심으로 한 복위운동으로 인해 노산군으로 강등되고 영월로 유배되었다가 사약을 받고 죽었다. 시신은 영월호장 엄흥도가 장사를 지내고 묻었다. 중종 때 무덤을 찾았으며 그 이후 석물 등을 갖추게 되었다. 숙종 때 단종으로 복위되면서 장릉으로 승격되었다. 단종비 정순왕후는 부인으로 강봉되어 서민으로 살다가…

  • 서울 숭인원(崇仁園, 사적), 영친왕 아들 이진의 묘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있는 숭인원(崇仁園, 사적)이다. 고종의 손자이자 영친왕과 이방자의 장남인 이진의 무덤이다. 바로 옆에는 고종의 후궁 순헌황귀비의 묘인 영희원이 있다. 이곳은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이 있었던 자리로 1919년 고종이 죽으면서 남양주 금곡동에 고종의 홍릉이 조성되면서 이장하였다. 1922년 홍릉이 있던 빈자리에 영친왕의 맏아들인 이진의 묘소가 조성되었다. 영휘원이 있는 이곳은 명성황후의 홍릉이 있었던 능역이며, 고종도 이 곳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