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유적지
-
여주 영릉(英陵,사적), 조선 4대 세종과 소헌왕후 합장릉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에 있는 영릉(英陵, 사적)이다. 조선 4대 세종과 정비 소헌왕후 심씨의 능으로 조선 최초의 합장릉이다. 1469년 여주로 이장하면서 예종 때 반포된 <국조오례의>에 따라 병풍석과 석실제도를 폐지하고 회격으로 하는 조선 전기 능제의 기본을 이루었다. 석물은 난간석 영저(靈杵), 영탁(靈鐸), 지초문양(芝草紋樣)을 배제하고 구름 문양과 십이지신상만 조각해 조선 왕릉 난간석의 기본을 확정하였으며, 혼유석을 받치는 북모양의 석물인 고석을 기존의…
-
서울 헌릉(獻陵, 사적),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의 능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를 모신 헌릉(獻陵, 사적)이다. 한강 이남 대모산 남쪽편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태종과 원경왕후의 봉분이 같은 언덕에 조선된 쌍릉으로 태종의 명에 따라서 고려왕릉의 불교적 요소를 제거하였다. <국조오례의>에 따라 조성된 조선중기 이후 정형화된 왕릉과는 달리 고려왕릉의 형태가 일부 남아 있다. 봉분 앞에 혼유석,장명등 등 석물이 따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
-
서울 정릉(貞陵, 사적),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
서울 성북동 정릉2동 북악산 동쪽편 자락에 위치한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인 정릉(貞陵, 사적)이다. 태조는 신덕왕후가 죽자 능을 덕수궁 부근(현 영국대사관부지)에 자신의 능역과 함께 조성하고 원찰로 부근에 흥천사를 세웠다. 조선이 건국하면서 처음으로 조성한 왕릉으로 고려의 왕릉제도를 참조하였다. 태종은 정릉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석재 일부를 청계천 광통교를 보수하는데 사용하고 목재들을 태평관 건축에 사용하는 등 홀대하였다고 한다. 태종…
-
구리 동구릉 건원릉(健元陵, 사적),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능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사적)에 있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1335~1408년, 재위 1392~1398년)의 무덤인 건원릉(健元陵)이다. 조선을 건국한 이후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정릉에 이어 두번째로 조성되었다. 태조가 승하한 이후 풍수지리 등을 고려하여 명당자리를 찾아 6천여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조성되었다. 건원릉은 고려 왕릉의 제도를 받아 들이면서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공민왕의 헌정릉 양식을 많이 따랐으며 내부는 석실로 만들었다. 하지만 봉분 주위에 곡장으로 두르고…
-
보은 삼년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산성
충북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에 있는 삼년산성(사적)이다. 삼국시대 신라가 쌓은 산성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인 5세기 소지왕 때(470년) 쌓았다. 삼년산성이 위치한 보은읍은 상주와 청주,대전를 연결하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백두대간을 통과하는 중요한 교통로 중 한곳이며 삼국이 한강유역 패권을 다투던 시기에 백제 도읍이었던 공주와 부여를 직접 공략하기 위해 지나가야 하는 길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주변에는 1,600여기에 이르는 많은 고분들이…
-
충청도 보은군 관아, 군수가 근무했던 동헌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옛 보은군 관아터에는 군수(현감)가 공식 업무를 보던 건물이 동헌이 남아 있다. 건물이 세워진 처음 세워진 연대는 기록에 없으나 순조 때 크게 고쳐 지었다고 한다. 앞면 7칸, 옆면 3칸의 비교적 큰 규모의 건물이다. 오른쪽 4칸은 대청마루이며, 왼쪽 3칸에는 온돌방을 두고 있다. 대청마루 동쪽 1칸과, 안쪽을 높게 만들어 누마루 형태를 하고 있다. 대청마루…
-
양양 진전사지,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가 수행했던 진전사 절터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에 있는 진전사(陳田寺) 절터이다. 낙산사 북쪽 해안으로 흘러 내려오는 물치천 상류 설악산 계곡에 자리잡고 있다. 진전사는 우리나라에 선종을 들여온 도의선사가 수행했던 곳으로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절터에는 삼층석탑(국보), 도의선사탑(보물)가 남아 있는데, 삼층석탑을 중심으로 한 아래 공간과 도의선사탑을 중심으로 한 위쪽 공간에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선종계열의 사찰이어서 그런지 인상적인…
-
원주 법천사지(사적), 남한강변 교통요지에 남아 있는 절터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에 남아 있는 절터인 법천사지(法泉寺址, 사적)이다. 법천사는 통일신라말에 처음 세워졌으며 고려시대 법상종 사찰로 크게 번창하였다. 특히 고려중기 문벌귀족이었던 인주이씨와 연결되어 있던 지광국사가 은퇴한 후 이곳에 머물면서 크게 융성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사찰이 불에 타 버린 후 폐사되었다고 한다. 절터에는 지광국사탑비(국보), 부도전지, 당간지주 등이 남아 있으며, 이곳에 있던 고려시대 승탑 중 걸작으로 평가받는…
-
장성 고산서원, 구한말 유학자 기정진을 모신 서원
전남 장선군 진원면 진원리에 있는 고산서원이다. 구한말 대표적인 유학자였던 기정진을 모신 서원이다.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서원으로 모셔진 인물 또한 기정진과 그의 제자들이다. 고산서원이 조선후기 명망있는 유학자나 고위관리를 지낸 인사들이 세웠던 서당들과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일제강점기에 서당을 임의로 서원으로 탈바꿈한 것으로 보인다. 서원의 규모가 비교적 큰 편으로 강당, 사당, 동.서재, 장서각 등 7동의 건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