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유적지
-
강화 충렬사, 병자호란 때 순절한 인물들을 모신 곳
강화군 선원면 선행리에 위치한 충렬사(忠烈祠)이다. 이 서원은 1641년(인조19)에 김상용을 비롯하여 병자호란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인물들을 모시기 위해 강화부(江華府)의 지원을 받아 건립된 사당이다. 건립 당시에는 ‘현충사(顯忠祠)’라 하였으며, 효종대에 국왕으로 ‘충렬사(忠烈祠)’라는 이름과 현판을 하사받은 사액서원이 되었다. 강화도에 남아 있는 유일한 서원으로 원래는 유생들이 공부하는 교육기관의 역할을 했으나, 지금은 제사기능만 남아 있다.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가 없고 사당, 외삼문, 수직방과…
-
경기도 통진도호부, 통진이청과 비석군
통진(通津)은 한강하구에 위치하고 있던 작은 고을로 강화도를 건너는 나루터가 있던 곳으로 오늘날 김포시의 서쪽편에 위치한 지역으로 월곶면, 통진면, 하성면 등을 포함한다. 조선초기에는 종6품 현감이 고을 수령인 통진현(通津縣)이 설치되었다. 병자호란 이후 숙종대에 강화도에 읍성과 돈대를 쌓고 행궁을 설치하였으며, 강화부는 종2품 유수부로 승격되었다. 이때 강화도 입구에 위치한 통진현에는 문수산성를 쌓으면서 종3품 도호부사가 고을수령인 통진도호부(通津都護府)로 승격되었다. <통진도호부 관아터>…
-
[종묘] 영녕전(보물), 정전에서 옮겨온 신주를 모신 별묘
영녕전(永寧殿)은 정전과 더불어 종묘의 중심이 되는 영역으로 정전에 모셔졌던 신위를 옮기거나 새로이 추존되는 왕의 신위를 모신 곳이다. 세종대인 1421년에 정전의 신실이 부족하게 되어 정전 서쪽에 새로 지었다. 원래는 6칸 규모였으나, 여라 차례 좌우 협실을 늘려 현재 신실은 모두 16칸으로 1836년(현종2)에 증축한 것이라 한다. 영녕전은 ‘왕가의 조상과 자손이 함께 길이 평안하라’는 뜻이다. 역대 국왕의 신위는 창업주인…
-
[종묘] 정전(국보),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곳
종묘의 정전(正殿)은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으로 종묘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공간이다. 정전(正殿)에는 태조와 현 국왕의 4대조, 사대부 가문의 불천위 조상에 해당하는 공덕이 큰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는 공간이다. 현재는 19위의 신위가 모셔져 있으며 신실 한 칸에는 한분의 왕과 그 왕비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원래는 정전(正殿)을 종묘라고 불렀으나 지금은 영녕전을 포함하여 종묘영역…
-
[종묘(宗廟)] 전사청(典祀廳)과 수복방(守僕房), 제향을 위한 준비 공간
조선시대 국가를 상징하는 제향 공간인 종묘(宗廟) 정전 동쪽에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이 주로 배치되어 있다. 종묘에서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으로는 음식을 준비하는 전사청(典祀廳), 종묘 관리인들이 사용하는 수복방(守僕房), 국왕과 세자, 제관들이 목욕재개하는 재궁(齋宮), 향(香)과 축문(祝文)을 보관하는 향대청, 악공들이 대기하는 악공청(樂工廳)이 있다. 그 중 전사청과 수복방이 정전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신의 부엌이라 할 수 있는 전사청은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
[종묘] 재궁, 국왕과 세자가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
종묘 정전 동남쪽에 위치한 재궁(齋宮)은 국왕이 세자와 함께 목욕재계를 하고 제사를 준비하던 공간이다. 재궁은 북쪽에 국왕이 머물던 어재실(御齋室), 동쪽에는 세자재실(世子齋室), 서쪽에는 어목욕청(御沐浴廳)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사 하루전부터 국왕과 세자는 이 곳에 머물면서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한 후 정전의 동문을 통해서 들어간다. 재궁은 태조가 종묘를 처음 창건할 때부터 5칸 규모로 지어졌으며, 정전의 증측으로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규모는…
-
[종묘] 공민당 신당, 공민왕과 노국공주 영정이 모셔진 사당
서울 종묘의 망묘루(望廟樓) 안쪽에는 고려 31대 공민왕을 위하여 종묘와 함께 창건된 공민왕 신당(恭愍王 神堂)이 있다. 신당 내부에는 특이하게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가 함께 있는 영정이 가운데 있고 벽에는 준마도가 걸려 있다. 이 신당은 태조가 종묘를 창건할 때 같이 세웠다고 한다. 앞면 1칸에 영정을 모신 작은 건물로 임진왜란때 종묘와 함께 불타버린 것을 중건한 것이다. 공민당 신당이 뜻하는 의미는…
-
[종묘] 선대 국왕을 돌아보던 망묘루와 관리들이 머물던 향대청
종묘(宗廟, 사적)는 사직과 함께 왕실과 국가를 상징하는 곳으로 조선시대 역대 국왕과 왕비들이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올리는 사당이다. 종묘는 동궐에 해당하는 창덕궁과 창경궁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종묘는 태조가 수도를 한양으로 천도한 1394년에 처음 지어졌으며,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광해군대(1608년)에 다시 지어졌다. 종묘에는 태조와 왕비, 국왕의 4대조, 사대부 가문의 불천위 조상에 해당하는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정전(正殿), 추존왕이나…
-
안성 덕봉서원, 오두인을 모신 서원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에 소재한 덕봉서원(德峰書院)이다. 이 곳은 숙종대에 정치적 사건인 기사환국으로 죽은 양곡 오두인(陽谷 吳斗寅, 1624~1689년)을 모시는 서원이다. 숙종대인 1695년 창건되었으며, 창건된 해에 숙종으로부터 이름을 하사받은 사액서원이다. 강당과 사당이 일렬로 배치된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으며, 경기지역의 서원들과 마찬가지로 규모는 단촐하지만 짜임새가 있는 서원이다. 강당인 정의당(正義堂)은 정조18년(1794)에 중수된 것이라고 하며, 나머지는 최근에 지어졌다. 교육기관 역할보다는 제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