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탑/승탑
-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보물)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봉인사 부도암에 있던 사리탑과 사리엄장구이다. 사리탑은 조선중기 광해군대 왕실의 안녕을 빌기 위하여 세웠다. 승려의 사리를 안치하는 승탑 형태를 하고 있지만 부처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운 사리탑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1987년 우리나라로 돌아왔다고 한다. 사리탑은 경복궁에서 전시되고 있다가 지금은 별도로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사리엄장구는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사리탑에서는 놋쇠그릇 3점과 은그릇…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국보), 고려시대 모전석탑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함백산 정암사에 있는 수마노탑(국보)이다. 전탑을 모방해서 돌을 벽돌처럼 깎아서 쌓아 올린 7층 모전석탑이다. 화강암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탑신을 받치기 위 받침을 올려 놓았다. 탑신은 석회암을 깎아 벽돌처럼 만들어 쌓아 올렸다. 탑신 1층 몸돌에는 불상을 안치하는 감실을 두고 있다. 탑 앞에 있는 연꽃무늬, 안상(眼象) 등이 새겨진 배례석 등을 고려할 때 고려시대에…
-
춘천 청평사 삼층석탑, 공주탑 설화가 남아 있는 고려 석탑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청평사를 들어가는 고갯길에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이다. 탑은 통일신라때가지는 신앙의 중심이 되었던 대상으로 주로 사찰 경내 금당 앞에 세워졌는데, 이 탑은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길목에 자리잡고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통일신라 석탑에 비해 조각수법은 떨어지는 편이나 전체적으로 아담하면서도 안정감이 있다. 중국 당나라(원나라?) 공주가 이곳에서 상사뱀을 떼어냈다는 설화가 남아…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국보),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塼塔)
안동시 법흥동 법흥사(法興寺)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칠증전탑(국보)이다. 현존하는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이다. 탑은 1층의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쌓아 올렸다. 높이 17m, 기단너비 7.75m의 거대한 규모에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탑의 기단부에는 화강암으로 조각된 사천왕상과 팔부중상이 새겨져 있다. 탑의 중앙에는 계단을 설치하여 1층 몸돌에 설치된 감실과 연결하고 있다. 탑의 지붕에는 기와를 얹은 흔적이 있어…
-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마을에 있는 임하동동삼층석탑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전형적인 삼층석탑이다. 조각수법이 투박하며, 각부분의 비례 또한 미(美)적으로 뛰어나지는 않다. 마을 논밭 한가운데 있는 위치하고 있는데, 도굴로 기단부가 크게 파손되었던 것을 1979년에 해체.보수하였다고 한다. 불교에서 신앙 대상의 중심이 탑에서 불상으로 바뀌고, 조각수법 또한 크게 쇠퇴한 고려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
[산동성박물관 불교조각실] 산동지방의 탑과 사리함
산동성박물관에는 불교관련 유물로 불상 외에 불교 관련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불교 유물들은 대부분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소리를 내는 범음구, 부처님께 공양을 드리는데 사용되는 공양구, 부처의 세계를 표현하는 장엄구 등이 있다. 그 중 부처의 세계를 표현하는 장엄구는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탑(Stupa), 사리를 모시는 석관 등을 포함한 사리엄장구, 불상을 모시는 불전 건축 등 다양한 형태들이 있다. 서역에서 전래된 불교유물들은 남북조시대…
-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국보), 고려시대 대표 석탑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 계곡 월정사 경내에 남아 있는 월정사팔각구층석탑(국보)이다. 경천사지석탑과 함께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석탑이다. 고려시대 다각다층석탑은 평면형태가 육각 또는 팔각이며, 층수은 5,7,9,13층을 하고 있다. 다각다층석탑은 고구려나 중국의 다층목탑 형태를 계승한 것으로 보이며, 주로 북부지방에 많이 조성되었다. 사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통일신라석탑이 안정적이고 균형미를 강조하고 있는데 반해 다각다층석탑은 수직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체적인 비례와 조각수법이 뛰어나며, 고려초…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보물), 정림사지오층석탑을 모방한 고려시대 석탑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충청, 전라지역에는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한 고려시대 석탑들이 남아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석탑이다. 전체적으로 탑신의 몸돌이 높고 지붕돌이 지나치게 넓어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옛 백제의 향수를 자극하고자 지역 호족세력이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석탑으로 정림사지 석탑에 비해서 조형미나 조각수법이 많이 떨어진다. 기단은 넓은 판석을 3층으로 쌓아 만들었으며, 그 위에 삼층으로…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후대 석탑의 전형이 된 백제 석탑
삼국시대 백제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성 중심부 정림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이다. 부여로 도읍을 옮긴 직후인 6세기 말에 세워졌는데, 정돈된 형태나 장중하고도 세련된 아름다움이 백제인의 뛰어난 솜씨를 보여준다. 익산 미륵사지석탑과 함께 백제를 대표하는 석탑으로 고려초 이를 본 뜬 탑이 충남과 전라지역에 만들어졌다. 1층 몸돌에는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멸망시킨 다음 그 공적을 새겨 넣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