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목조건축

  • 양산 통도사 대웅전(국보), 상로전 영역 주불전

    경남 양산시 영축산 통도사 경내에 있는 대웅전(국보)이다. 상로전 영역이 주불전이자, 통도사에서도 중심이 되는 공간이다. 건물 뒷편에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두고 있어 대웅전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는다. 삼국시대 신라 선덕여왕 때 처음 지어졌다고 하며, 여러차례 중수와 중건을 거듭해 왔다. 현재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조선후기 인조 때 새로 지은 것이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 양산 통도사 명부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명부전이다. 지장보살과 시왕들을 모시고 있는 불전으로 상로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고려말 처음 지어졌다고 전하여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다. 현재의 건물은 19세기말에 완성된 것으로 당시의 불전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고 에 있다. 건물은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간략하게 만들어진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벽면에는 수궁도를 비롯하여 당시…

  • 양산 통도사 응진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응진전이다. 석가모니와 제자들을 모시는 불전으로 상로전 서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의 내력에 대해서 기록은 많지 않으나 조선후기 숙종 때 처음 창건된 이후 여러차례 수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앞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데, 규모가 약간 큰 편이다. 내부와 외부 벽면에 많은 벽화들이 그려져 있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보물), 중로전 영역 중심 불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대광명전이다. 비로자나여래를 모시는 불전으로 중로전 영역에 있는 3개의 불전 중 뒷편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조선후기 영조 때 중건한 것으로 앞면 5칸 규모,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상당히 큰 규모이다. 가운데 출입문은 3분합문이며, 나머지는 2분합문이다. 또한 가운데 기둥에서 용머리를 조각해 놓았다. 내부에는 비로자나여래상이 단독으로 모셔져 있으며 그 뒷편에 비로자나여래, 노사나여래,…

  • 양산 통도사 용화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용화전이다. 미륵보살을 모시는 불전으로 통도사 두번째 영역인 중로전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개의 불전 중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조선후기 영조 때 중건한 것으로 앞면 3칸 규모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내부에는 석조미륵불상이 모셔져 있으며, 벽면에는 서유기의 주요 내용이 벽화로 그려져 있다. 용화전 앞에는 봉발탑(보물)이 세워져 있는데, 석가모니의 옷과 밥그릇을…

  • 양산 통도사 관음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관음전이다.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중로전 영역 3개의 불전 중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후기 영조 때 중건한 건물로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이다. 건물내부에 기둥을 세우지 않아 공간을 넓게 쓰고 있다. 관세음보살상을 모셨으며, 여러 형태의 관세음보살상을 표현한 벽화들이 있다. 불전 앞에는 큰 석등이 세워져 있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 양산 통도사 불이문, 중로전 영역 출입문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불이문이다. 통도사 두번째 영역인 중로전 줄입문이다. ‘불이(不二)’는 모든것이 평등하고 차별이 없음을 말하며, 불이문은 규모가 큰 사찰에서 주로 볼 수 있는데 대부분 천왕문 안쪽에 위치한다. 이는 통도사의 가람배치를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고려말에 처음 지어졌다고 전하나, 현재의 건물은 조선후기에 새로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사찰…

  • 양산 통도사 만세루, 법회 등이 열렸던 큰 규모의 건물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만세루이다. 통도사 첫번째 영역인 하로전 영역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법회같은 사찰 주요 행사에 사용하는 강당에 해당하는 건물로 조선후기 영조때 크게 중건하였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기둥사이가 넓은 상당히 큰 규모의 건물이다. 원래 사찰 누각은 2층 건물로 지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건물은 낮은 돌기단 위에 세워졌다. 조선시대 향교나…

  • 양산 통도사 약사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약사전이다. 약사여래를 모신 불전으로 하로전 영역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영산전, 극락보전과 함께 19세기 초에 크게 중건한 건물이다. 앞면 3칸, 옆면 1칸의 작은 건물로 다포계공포에 맞배지붕을 사용하고 있다. 공포를 앞면과 뒷면에만 사용하고 있다. 내부에는 약사여래불상만 모셔져 있으며, 뒷면에 약사후불탱화가 있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손꼽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