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목조건축

  • 구례 화엄사 보제루, 사찰에서 집회를 가질 수 있는 강당 건물

    전남 구례군 화엄사 강당 건물인 보제루(普劑樓)이다. 화엄사 경내 입구에 누각형식으로 세워졌다. 단청을 하지 않았으며, 목조구조물에 색칠도 하지 않아 절제되면서도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주고 있다. 건물은 앞면 7칸·옆면 4칸 규모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대웅전 쪽 창문은 7칸 모두 큰 두짝의 빗살문을 달고 그 반대쪽 5칸은 널판지문을 달았으며 좌우 양칸은 문을 생략하였다. 대웅전과 각황전이 있는 마당 보다 한단…

  • 구례 화엄사 대웅전(보물), 비로자나여래를 모신 불전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 주불전에 해당하는 대웅전(보물)이다. 조선 인조 때 벽암대사가 화엄사를 중건할 때 세운 불전으로 이 사찰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3칸 규모이다. 지붕을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삼국시대 금당의 모습을 하고 있는 각황전보다는 작지만 일반적인 사찰 불전에 비해서 큰 규모이다. 대웅전은 석가여래를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곳에서는 화엄십찰의…

  • 구례 화엄사 각황전(국보),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웅장한 불전

    전남 구례군 마산면에 위치한 화엄사 주불전인 각황전(覺皇殿, 국보)이다. 조선후기 숙종대 중건하였다. 건물은 2층 건물로 앞면 7칸, 옆면 5칸 규모이다. 지붕은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어 화려하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2층 건물처럼 보이지만 내부는 통으로 되어 있다. 내부에는석가모니여래를 중심으로 한 삼세불과 보현, 문수, 관음, 지적보살을 모시고 있다. 현존하는 불전 중 가장 큰 규모로 건축적으로나…

  •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보물), 17세기 다포계 건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불전

    경북 경주시 양북면 기림로 토함산 동쪽에 위치한 기림사 대적광전(보물)이다. 대적광전은 비로자나불을 모신 곳으로 기림사의 주불전이다. 삼국시대 기림사가 창건된 이래 여러 차례 수리를 거듭한 건물이다. 현재의 건물은 1629년(인조7)에 크게 중수하였다고 한다. 기림사 대적광전에 모신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과 뒷편 탱화인 비로자나삼불회도(보물)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보물)> 기림사의 주불전으로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아미타불, 약사불을 모시고 있다. 건물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

  • 영천 거조사 영산전(국보)

    경북 영천시 청통면 신원리 거조사에 있는 영산전(靈山殿, 국보)이다. 이 건물은 현존하는 목조건축물 중 비교적 이른 시기인 고려말(1375년)에 처음 지어졌다. 자연석과 장대석으로 기단을 높게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소박하고 간결한 건물이지만 사찰 불전 중에서는 큰 규모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 중 하나로 삼국시대 이후 고려시대까지의 목조건축물 양식이 남아 있다. 내부에는 석가여래와 526분의 석조나한상을 모시고 있다.…

  • 대구 동화사 대웅전(보물)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동화사 대웅전(보물)이다. 대구 팔공산(해발1,193m)에서 가장 큰 사찰인 동화사(桐華寺)의 주불전이다. 건물이 언제 처음 지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여러차례 새로 지었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727년 경에 새로 지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여래, 아미타여래,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건물은 잘다듬은 장대석를 쌓은 높은 기단 위에 자연석으로 만든 초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웠다. 앞면3칸, 옆면…

  • 강릉 임영관 삼문(국보), 강릉도호부 객사 정문

    강원도 강릉시 임릉로 옛 강릉도호부 관아에 남아 있는 임영관 삼문이다. 강릉 객사 정문으로 현재까지 남아 있는 관아 건물 중에서 유래가 오래되었고 건축 수법도 뛰어나서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 중 하나이다. 임영관 삼문은 앞면3칸, 옆면 2칸의 작은 건물이지만 고려시대 건축물에서 볼 수 있는 맞배지붕에 주심포양식으로 만들어졌다. 건축의 수법이 고려시대 건축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고, 그 수법도 뛰어나기 때문에…

  • 강릉 해운정(보물), 경포호수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에 위치한 정자인 강릉 해운정(海雲亭)이다. 조선 중기인 1530년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했던 심언광이 지은 주택의 별당 건물로 심상진 가옥 옆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중기에 지어진 건물로 오죽헌과 함께 강릉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이다. 율곡 이이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이 곳에 들러서 글을 남겨 놓고 있으며, 해운정(海雲亭)이라 적힌 현판 글씨는 송시열이 썼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 강릉 오죽헌(烏竹軒, 보물)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에 남아 있는 조선중기 고택인 오죽헌(烏竹軒, 보물)이다.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가 태어난 유서깊은 곳으로 개인이 살았던 저택 중 가장 잘 알려진 곳이기도 하다. 오죽헌은 이 집의 별당 건물로 조선초기 문신이었던 최치운(1390~1440년)이 처음 지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이 건물을 간결하면서 단정한 느낌을 주고 있다. 앞면 3칸 중 2칸은 넓은 대청마루, 1칸은 온돌방으로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