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관아

  • 삼군부 총무당과 청헌당, 조선시대 최고 군사기구였던 삼군부 청사

    삼군부 건물은 조선시대 중앙부처 관아 건물 중 하나로 정청인 총무당(總武堂), 그 좌우에 보조건물격인 청헌당(淸憲堂)과 덕의당(德義堂)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한말인 고종때 지어진 삼군부 청사는 약 100년이 조금 넘은 건물로 건축문화재로서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볼 수 있지만, 조선시대 최고 행정기구인 의정부와 함께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관아로서 의정부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어 당시 관아건물 형태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 북한산성 행궁지(사적), 국왕의 임시 거처인 양주행궁 터

    북한산성내 동장대가 바라 보이는 상원봉 아래에는 조선시대 행궁터가 남아 있다. 북한산성은 조선시대 양주목 관할이었기때문에 양주행궁이라 한다. 조선시대 중요한 행궁이었던 강화행궁, 남한산성 광주행궁, 수원 화성행궁은 관아와 행궁을 겸하고 있지만, 양주행궁은 관아와는 별도로 북한산성내에 지어졌다. 양주행궁은 북한산성을 축조한 숙종대에 지어졌는데, 행궁이 험한 산중에 위치하고 있었기때문에 실제로 사용한 적은 없고 숙종과 영조가 잠시 다녀갔다는 기록이 있다. 행궁은 내전…

  • 수원부 관아, 화성행궁(사적) 봉수당과 장락당

    화성행궁은 국왕이 국방을 행차할 때 임시로 거처하던 행궁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이곳은 정조가 사도세자의 현륭원을 참배할 때 머물던 곳이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소를 수원읍치였던 화산 주변으로 이장하면서 수원읍치에 읍치에 있던 관아를 팔달산 아래로 옮기면서 수원화성을 축성하게 된다. 화성행궁은 수원유수가 업무를 보는 관아건물이지만 그 규모가 562칸으로 궁궐의 절반 정도이다. 정조는 화성행궁을 크게 지은 것은 왕위를 순조에게…

  • 광주 남한산성 행궁(사적), 광주부 관아에 설치된 국왕의 임시 거처

    남한산성에 있는 옛 광주부 관아 건물이자 국왕이 임시로 머물수 있는 행궁이 설치된 사적 480호로 지정된 남한산성(南漢山城) 행궁(行宮)이다. 남한산성 행궁은 인조대에 청나라의 침입에 대비하여 남한산성을 축성할때 짓기 시작하여 이듬해 완공되었다. 여러곳에 남아 있는 행궁 중 유일하게 종묘와 사직 역할을 하는 좌전과 우실을 두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행궁은 국왕의 거처로 정전과 편전에 해당하는 하궐과 국왕이 머무는 내전에 해당하는…

  • 경기도 양주목 관아, 동헌인 매학당과 관아터

    경기도 양주(楊州)는 조선시대 한양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었던 큰 고을로 현재 행정구역으로 양주시, 의정부시, 동두천시, 남양주시, 구리시와 서울의 강북구, 노원구, 중랑구, 도봉구 등을 포함하는 현재의 광역시와 비슷한 규모의 고을이었다. 양주에는 외관직 중에서는 정3품 목사가 다스리던 양주목(楊州牧)이 설치되었다. 3번국도변에 있는 양주시청에서 주내방향으로 조금들어가면 4면이 낮은 산으로 둘러싸인 옛 양주관아가 있었던 양주구읍 지역이 나오는데 작은 시골마을처럼 보이는 이…

  • 창덕궁 궐내각사, 국왕을 보필하던 직속 관청들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최근에 복원한 관아 건물인 궐내각사이다. 궐내각사는 의사결정기구인 의정부, 집행기관인 육조와 달리 국왕을 보필하는 직속기관이다. 왕의 정치를 보좌하는 홍문관, 왕의 칙령과 교서를 작성하고 보하던 예문관, 국왕직속 학술기관인 규장각과 장서 발행을 주관하는 검서청, 왕의 건강을 관리하는 내의원 등이 있었고, 그 뒷편으로 역대 국왕의 어진을 모신 선원전이 자리잡고 있다. 궐내각사는 창덕궁 정전 서쪽편을…

  • 서울 광화문 광장, 수도 서울 중심축인 도심 광장

    광화문 광장은 조선시대 의정부, 육조를 비롯하여 주요 관청들이 모여 있었던 육조거리였던 곳으로 최근 광장을 조성하기 이전에는 넓은 대로가 자리잡고 있었다. 육조거리란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에서 한양도성을 동.서로 관통하던 운종가(종로)가 만나는 광화문사거리까지의 넓은 거리로 조선시대에도 비슷한 규모의 큰 길이 있었다. 국왕이 궁궐밖 행차를 할 때 출발하는 지점으로 조선의 수도 한양을 설계할 때 예법에 따라 설치된 길로 주작대로라고도…

  • 강화부 관아, 동헌과 강화행궁

    조선시대 지방에는 8도가 설치되고 그 아래에 지방조직인 부,목,도호부,군,현을 두었다. 이외에 조선초기에는 전조의 도읍인 개성에 중앙조직에 해당하는 유수부를 두어 행정 및 국방을 담당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국방상의 필요성 때문에 유수부는 강화, 광주(남한산성), 수원에 확대.설치되었다. 광주부가 있는 남한산성이나 수원부가 있는 수원화성과 마찬가지로 강화산성내 강화부(江華府)에도 국왕이 임시로 거처할 수 있는 행궁이 설치되었으며, 관아 건물로는 유수부 동헌, 이방청, 국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