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비석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국보), 당대 문장가 최치원이 비문을 지은 탑비
경북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 경내에 있는 지증대사탑비(국보)이다. 봉암사를 세운 신라말의 고승 지증대사를 기리기 위해 승탑 옆에 세워진 탑비이다. 탑비의 머릿돌과 받침돌은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으며 그 조각 역시 뛰어난 편이다. 받침돌은 머리가 용이고 몸은 거북모양으로 머리 위에는 뿔이 솟아 있고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비문위에 올려진 머릿돌에는 연꽃무늬와 8마리 용이 얽힌 형태로 장식되어 있다. <문경…
-
경주 사천왕사지, 문무왕 비(碑) 거북받침돌
경주시 배반동 낭산 남쪽 사천왕사 절터에 남아 있는 2기의 비석받침돌이다. 문무왕이 삼국을 통일한 후 당나라의 침략을 막기 위해 세웠다는 사천왕사 입구에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웠던 것으로 보인다. 절터에는 목이 없는 거북받침돌만 있고, 비석은 없어졌다가 조선후기 정조 때(1796년) 비석편이 일부 발견되었가, 2009년에도 경주 도심 주택에서도 일부 비석편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거북받침돌은 거북모양을 하고 있는…
-
구례 화엄사 벽암국일도대선사비, 화엄사를 크게 중건한 벽암선사의 비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 금강문 앞에 세워져 있는 ‘벽암국일도대선사비’이다. 조선중기 승려인 벽암선사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이다. 비석은 거북받침돌, 비몸, 머릿돌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전통적인 탑비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머리받침돌이나 머릿돌의 조각수법 등은 양호한 편이나 돌의 재질이 좋지 못해 마모가 심한편이다. 통일신라나 고려말에 세워진 비석보다 오래된 느낌을 준다. 비문은 당시 영의정이었던 이경석이 글을 짓고 형조판서를…
-
구례 연곡사 동승탑비(보물)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 동 승탑 옆에 있는 탑비(보물)이다. 글이 새겨진 비몸은 없어지고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거북받침돌은 용의 머리를 하고 있으며, 등에는 육각형의 거북등껍질 대신 새 날개 모양의 무늬를 새겨놓고 있다. 비몸을 올리는 비좌에는 구름무늬과 연꽃무늬로 장식하고 있다. 머릿돌에는 용무늬는 없고 구름무늬만 새겨 놓고 있으며, 꼭대기에는 연꽃봉우리 모양을 조각해 놓았다. 웅장한 느낌을 주기는 하지만…
-
남원 황산대첩비지(사적), 태조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물리친 곳
전북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에 있는 황산대첩비지(사적)이다. 이곳은 고려말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무찌른 황산대첩이 있었던 지역이다. 황산대첩비는 선조 10년(1577)에 황산대첩 승리를 후손에게 전하기 위해 호조판서 김귀영이 글을 짓고 송인의 글씨를 새긴 승전비이다. 당시에는 비각, 별장청 등 부속건물도 함께 지어 비를 지키도록 했다. 일제강점기 2차세계대전 막바지로 치달은 1945년 1월에 남원 경찰이 비를 폭파하고 비문에 새겨진 글자를 없애버렸다.…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보물)
전북 남원시 실상사 수철화상탑 앞에 세워진 탑비(보물)이다. 탑비에는 수철화상의 행적과 탑의 조성경위 등을 기록하고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글자를 거의 판독할 수 없다. 탑비는 거북받침돌이 있는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와는 달리 직사각형의 받침돌 위에 탑비가 세워져 있다. 머릿돌에는 구름속에 두마리 용이 여의주를 다투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가운데 ‘능가보월탑비’라는 승탑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조각수법이나 조형미가 뛰어난 편은 아니다.…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보물), 통일신라 비석의 원형을 보여주는 탑비
남원 실상사에 증각대사탑과 함께 세워져 있는 탑비(보물)이다.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洪陟)국사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비몸은 남아 있지 않고,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받침돌은 무열왕릉비처럼 거북 형상을 하고 있다. 조각수법이 섬세한 편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비석받침돌을 고전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반면, 머릿돌은 조각수법이 뛰어난 편으로 앞쪽에 ‘응료탑비(凝蓼塔碑)’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비교적 이른 시기인 9세기 중엽에 만들어 졌다.…
-
단양 신라적성비(국보), 진흥왕이 한강유역 장악을 기념하여 세운 비(碑)
단양군 단성면 성재산 적성산성 내에 위치한 신라 적성비이다. 1978년에 땅속에 묻힌 채 발견되었다. 자연석 형태를 하고 있으며 윗부분은 잘려나가고 없지만 양 측면이 거의 원형으로 남아 있다. 비석에 새겨진 글자가 뚜렷하게 남아있는데 그 내용을 거의 판독할 수 있다. 진흥왕대인 6세기의 글씨를 볼 수 있는 좋은 예가 되는데 예서(隸書)에서 해서(楷書)로 옮겨가는 과정의 율동적인 필법을 보여주고 있다. 비문의…
-
안동 송제비(松堤碑), 임하댐 아래 반변천에 제방을 쌓은 내력이 적힌 비석
안동 도심에서 반변천을 따라 영양과 영덕을 연결하는 34번 국도변에 있는 송제(松堤) 사적비이다. 이곳은 안동 도심에서 4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동댐이 있는 낙동강 본류와 임하댐이 있는 반변천이 만나는 지점에서 멀지 않은 곳이다. 주변 지역은 백두대간의 물이 한곳에 모이는 곳으로 예로부터 홍수의 피해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주택가에서 약간 떨어진 도로변 경치좋은 곳에 작은 정자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