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한옥
-
영덕 관어대마을 대은종택, 마을 뒷편 높은 곳에 위치한 종택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고택인 대은 종택이다. 조선후기 유학자 권경이 살았던 종택으로 17세기에 처음 지어진 집이다. 건물은 ‘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앞쪽에 사랑채와 중문이, 뒷편에 안채를 두고 있다. 사랑채는 앞면 3칸 규모로 왼쪽으로 사랑마루를 1칸 돌출시켰으며, 앞쪽에 난간이 있는 툇마루를 두고 있다. 종택은 마을에서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랑채 마루에서는 영해읍치와 주변 마을, 넓은…
-
영덕 관어대마을 번호댁, 고래불 해안 남쪽 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관어대마을에 있는 고택인 번호댁이다. 이 마을에 터를 잡은 안동 권씨 후손이 분가하면서 18세기말에 지은 전통 한옥이다. 건물은 폐쇄적인 ‘ㅁ’자형 평면 배치를 하고 있으며, 앞쪽에 사랑채와 중문이, 뒷편에 안채를 두고 있다. 건물 모퉁이에 사랑마루를 1칸 돌출시키고 팔작지붕을 두고 있어 사랑채의 격을 높여 주고 있다. 마을은 고래볼해안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관어대 아래에 위치하고…
-
고성 어명기 고택, 강원도 동해안 북부지방을 대표하는 고택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삼포리에 있는 어명기 고택이다. 18세기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새로 지었는데 16세기에 지어진 원래 모습대로 복원하였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3칸 규모의 ‘ㄱ’자형 몸채를 중심으로 방앗간, 행랑채, 헛간채를 두고 있다. 몸채에 안채와 사랑채가 같이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지역의 다른 가옥과 마찬가지로 외양간을 부엌 앞에 붙여 지어 호랑이로부터 가축을 보호하고 있다.…
-
아산 신항리마을,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충남 아산시 둔포면 신랑리 마을에 남아 있는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이다. 해평 윤씨 집성촌인 이 마을에 남아 있는 여러채의 고택 중에 가장 큰 규모이다. 건물은 솟을대문, 바깥사랑채, 안사랑채, 행랑채, 안채로 구성로 구성되어 있는 상당히 큰 규모의 대저택이다. 붉은 벽돌과 유리창문을 사용하는 등 개량한옥의 특징들이 반영되어 있다. 건물들 약간씩 떨어져 있고, 넓은 마당에 ‘ㄱ’자 또는 ‘ㄴ’형 건물이…
-
아산 신항리마을, 종가댁으로 불리는 윤승구 가옥
충남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 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인 윤승구 가옥이다. 마을 종가집으로 불리는 고택으로 구한말 중부지방 상류층이 살았던 저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건물은 문간채, 행랑채, 안채,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당시 한양이나 경북 북부지방의 ‘ㅁ’자형 한옥과는 달리 여러동의 건물이 약간씩 떨어져 있어 개방된 느낌을 주고 있다. 앞쪽에는 윤씨일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솟을대문이 있다. 건물 상량문에 따르면…
-
아산 신항리 마을, 윤일선 가옥
충남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마을에 남아 있는 윤일선 가옥이다. 대저택에서 분가하기 위히 지은 살림집으로 본가와 공동으로 대문채를 쓰고 있다. 집은 중문이 있는 ‘ㄴ’자형 사랑채와 ‘ㄱ’자형 안채, 안채와 연결되어 있는 별채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개방된 ‘ㅁ’자형 평면구성을 하고 있다. 오늘날 기준으로는 화려하거나 크다는 느낌을 주지는 않지만 당시에는 상당히 크고 짜임새있게 지었던 한옥으로 보인다. 신항리마을은 평택과 안성에서 발원한 안성천이…
-
아산 현충사, 이순신 장군 옛집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현충사(사적) 경내에 남아 있는 충무공 옛집이다. 이 집은 이순신이 결혼 후 살았던 집으로 종택에 해당하는 집이다. 건물은 ‘ㄷ’자형 안채와 사랑채를 겸한 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 뒷편 언덕에는 불천위 조상을 모시는 사당이 있다. 종손들이 살아왔던 안채만 원래 있던 것이고 문간채는 새로 지은 건물이다. 충무공의 부인은 보성군수를 지낸 방진의 무남독녀였기 때문에 처가집이 자연스럽게…
-
예산 수덕여관, 이응로 화백이 살았던 옛 집.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에 있는 이응로(1904~1989년) 화백 사적지이다. 수덕여관으로 잘 알려진 이곳은 수덕사 입구에 있는 초가집으로 된 여관건물이다. 이응로 화백이 이 건물을 구입하여 한국전쟁 당시 머물면서 작업을 했던 곳이자, 1969년 동백림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 요양하면서 남긴 암각화가 있다. 또한 최초의 여류 서양화가인 라혜석이 3년간 이곳에 머물면서 작품활동을 했다. 수덕여관은 수덕사 앞을 흐르는 작은 개울 건너편…
-
홍성 엄찬 고택, 사육신 성삼문 후손이 살았던 집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에 남아 있는 엄찬 고택이다. 대지는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원래는 문간채와 안채가 갖추진 큰 집이었으나 지금은 안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ㅁ’자형 건물배치를 하고 있는데 조선후기의 ‘ㅁ’자형 가옥과 구조가 약간 다르다. 17세기에 지었다고 전해지며, 조선전기 주택 양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고 건물만 있다. 후손의 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