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고려시대
-
순천 송광사 혜심고신제서(국보), 고려시대 송광사에 내려진 고문서
순천 송광사에 전해 내려오는 고문서인 혜심고신제서(국보)이다. 고려중기 1216년(고종 2)에 송광사 제2세 진각국사 혜심에게 대선사의 호를 내린다는 내용이 적혀있는 고문서이다. 비단 7장을 이어만든 두루마리에 글씨를 쓴 것이다. 당시 공문서의 양식, 제도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혜심고진제서(국보).> 고려 고종이 송광사의 제2세 국사인 진각국사 혜심에게 대선사의 호를 내린다는 내용이다. 주로 국사의 학문과 덕망을 높이 찬양하는 내용으로…
-
순천 송광사 국사전(국보), 고려말 주심포계열 건축을 잘 보여주는 건물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 불전인 국사전(국보)이다. 불교역사에 큰 역할을 했던 고승 16명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곳이다. 고려말 공민왕 때(1369년)에 처음 지어졌는데 원래는 참선을 하던 승방이었다.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주심포 양식의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여러차례 수리를 했던 건물이지만 건물안 천장과 용무늬가 있는 들보는 창건당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
영주 부석사 조사당(국보), 고려 이전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는 전각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부석사 경내에 있는 조사당(국보)이다.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대사 초상을 모시는 건물로 무량수전 뒷편 언덕 숲길을 따라서 조금 걸어가면 볼 수 있다. 조사당 앞에는 의상대사 지팡이를 꽂은 것이라 전해지는 어사화가 있고, 동쪽에는 사명대사가 수도했다고 전해지는 취현암이 자리잡고 있다. 건물 내부에는 사천왕상 등이 그려진 고려시대 벽화(국보)가 있다. 조사당은 고려 말 (1377년)에 세워졌으며, 여러차례 수리를…
-
제천 물태리 석조여래입상(보물), 통일신라 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초기 불상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단지에 있는 석조여래입상(보물)이다. 청풍도호부 관아가 있던 읍리에 있었는데,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고려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당시의 서민적 미륵불상과는 달리 통일신라 말의 세련면서도 힘이 있는 조각수법이 남아 있다. 반면에 비사실적인 손의 표현, 형식적의 주름 등 고려초의 쇠퇴한 불상 조각수법도 같이 보여주고 있다. 삼국시대 이래 영남지방의 관문인 죽령에서 가까운 곳에…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보물)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 입구에 세워져 있는 반야사지 원경왕사비(보물)이다. 고려초승려 원경왕사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으로 인근 반야사 절터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옯겼다. 비석은 거북받침돌, 비몸, 지붕돌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 얇고 조각수법도 약간 떨어지는 등 고려중기 비석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원경왕사는 고려초에 활동했던 승려로 대각국사와 함께 송나라를 다녀왔으며, 예종의 스승이 되기도 했다. 귀법사에 머물다 입적했는데…
-
영덕 괴시마을, 목은 이색 생가터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목은 이색 유적지이다. 이곳은 고려말 정치가이자 대유학자였던 목은 이색(1328 ~ 1396년)이 태어난 곳으로 영양남씨 집성촌인 괴시마을 뒷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그가 태어난 집터가 있는 곳으로 그를 기리는 기념관, 태어난 옛집인 무가정을 복원한 건물, 유허비가 남아 있다. 이색은 이곳에서 태어나 원나라에 유학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는 등 고려말 유학자이자 정치가로 신진사대부 세력을…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선상생활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배에 탄 사람들은 선원, 상인, 승려, 화물주들이었으며 일본인과 중국인이 대부분이며, 일부 고려인도 포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안해저선에서는 장기, 바둑 등 오락기구들과 선원들이 물자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문방구,…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배에 실렸던 화물 – 향신료, 기타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신안선에서는 계피, 산수유 등 약재로 쓰이는 것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목간에는 진피(귤껍질), 감초 등의 기록이 있어 각종 향료 및 약재가 실려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향신료와 약재에는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주산지인 것이 많으며 중국을 거쳐 일본으로 수입되었음을 알…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배에 실렸던 화물 – 금속으로 만든 물품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신안해저선에서 1,000여 점의 금속으로 만든 물품이 출토되었다. 솥, 냄비, 국자, 깔때기와 같은 조리도구와 저울추, 자와 같은 도량기구는 선원이나 상인이 사용했던 일상 생활용품과 상자에 담긴 채 발견된 물품들이 있었다. 상자에 담긴 금속품은 송대에 유행한 복고풍 문화를 보여주는 고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