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경기도
-
경기도 안성군 관아, 고려 주심포양식이 남아 있는 안성객사
안성시에는 남아 있는 조선시대 안성군 관아의 중심이 되는 객사(客舍)와 중등교육기관인 향교가 옛 관아의 흔적으로 남아 있다. 객사는 국왕의 궐패를 모시고,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중앙관리가 잠시 머무는 숙소역할을 하는 곳으로 각 지역마다 해당 지역의 규모에 걸맞는 규모의 객사를 갖추고 있었는데, 안성은 전국에서 평균 정도 규모의 객사를 갖추고 있었다. 원래 안성읍내에 있던 것을 이곳저곳 옮겨다니다 1995년 수리.해체를…
-
수원 화령전(사적), 정조대왕 어진을 모신 영전
수원 화성행궁에서 정전에 해당하는 봉수당 오른쪽에는 각종 연회나 행사가 열리던 화성행궁내에서 유일하게 남은 건물인 낙남헌과 오래된 목조 건물을 중심으로 한 건물군인 화령전(華寧殿, 사적)을 볼 수 있다. 이 곳은 수원화성과 행궁을 건설한 정조의 어진(御眞)을 모신 영전(影殿)으로 정조의 아들인 순조가 화성에 모셔진 정조의 건릉(健陵)과 사도세자의 (隆陵)을 참배할 때 문안을 올리기 위해 세었다고 한다. 화령전은 정조의 어진을 모신…
-
수원부 관아, 낙남헌과 득중정
화성행궁에 속해 있던 많은 전각 중에서 원래 있던 건물 중 거의 유일하게 남아 있는 낙남헌(落南軒)이다. 낙남헌은 행궁 북쪽편에 위치한 건물로 화성유수가 손님을 접대하거나 연회가 펼쳐지던 곳으로 관아에서 누각이라 할 수 있다. 화성행궁 누각인 낙남헌은 실제로는 수원유수가 사용하기 위해 세운것이 아니라 국왕이 행차할 때 사용하기 위한 건물이다. 낙남헌은 넓은 마루가 있고 앞 쪽에는 마당이 있어 행사하기…
-
경기도 교동도호부 관아, 교동읍성과 삼도수군통어영
교동도호부(喬桐都護府)는 한강 입구 강화 교동도에 설치된 조선시대 행정구역이다. 교동도는 섬의 규모가 크지 않아 지금은 강화군에 속해 있지만 삼국시대때부터 한강유역을 지키기 위한 군사적 요충지로 강화와는 행정구역이 설치되었다. 교동도는 개화산을 비롯하여 여러 섬으로 되어 있었으나 간척사업으로 넓은 들판이 형성되면서 하나의 섬이 되었다. 삼국시대 고구려가 고목근현이라 불렀으며 신라경덕왕때 교동현이 설치되었다고 한다. 조선후기 경기수영이 남양에서 이 곳으로 옮겨지면서 도호부로…
-
경기도 고양군 관아, 객사인 벽제관(사적) 옛터
조선시대 고양군(高陽郡)은 오늘날 고양시와 서울 서북부지역을 포함하는 행정구역으로 종4품 외관직인 군수(郡守)가 수령으로 있었다. 1413년 고봉과 덕양이 통합되면서 고양현이 되었고 1471년 경릉과 창릉이 들어서면서 고양군으로 승격되었다고 한다. 고양군 읍치(邑治)는 조선시대 중국에서 온 사신들이 마지막으로 예를 갖추면서 숙박을 하던 고양군 역관(驛館) 겸 객사(客舍)인 벽제관(碧蹄館) 옛터가 있는 고양시 고양동에 위치하고 있다. 벽제갈비로 유명한 이 지역은 일산을 포함한 대도시로…
-
경기도 인천도호부 관아, 동헌과 객사
인천도호부 관아는 인천지역을 관할하던 종3품 도호부사가 근무하던 곳이다. 원래의 위치에는 문학초등학교가 있으며 동헌과 객사 일부가 남아 있다. 이 건물들은 인천도호부가 처음 생긴 조선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건물 기와 명문에 숙종대인 1677년에 중수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조선후기에 크게 중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천시에서 최근에 옛 인천도호부 관아건물들을 문학경기장 건너편 인천향교가 있는 언덕에 복원하였는데, 현재…
-
경기도 부평도호부 관아, 초등학교에 남아 있는 내아
옛 부평도호부 청사가 있었던 읍치에는 객사, 동헌을 비롯하여 많은 건물이 있었는데 지금은 내아로 추정되는 건물이 부평초등학교 교정에 남아 있다. 일제가 구한말에 초등학교를 설치하면서 관아 건물 중 평상시 사용하지 않는 객사를 초등학교 건물로 바꾼 경우가 많은데 부평도호부는 대부분의 청사가 허물어지고, 내아 건물만 변형된 채로 학교 운동장 구석에 남아 있다. 부평도호부에서 관장하는 중등교육기관인 부평향교는 계양산 아래에 남아…
-
경기도 안산군 관아, 안산객사와 읍성
안산군(安山郡)은 경기도 안산시와 시흥군 남쪽에 있었던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읍치는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위치하고 있었다. 고을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으로 종3품 군수(郡守)가 고을 수령이었다. 안산은 서해안 시화호 일대에서 서울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서해안 방어와 연안항로의 중요한 요지로 군사적으로 중요했다.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고려말.조선초 대부도 부근 서해안에서 서울로 향하는 길목을 지키는 역할을 했으며, 해안에는 조선중기까지 초지진이…
-
경기도 과천현 관아, 객사인 온온사와 건물터
조선시대 과천현(果川縣)은 오늘날과는 달리 과천시, 안양시, 의왕시 대부분과 서울 동작구와 서초구 등을 관할하던 고을이었다. 이지역에는 고려시대 과주(果州)가 설치되었고 조선초 태종대에 종6품 현감이 고을수령인 과천현이 설치되었다. 조선시대 과천은 강남의 양재동, 사당동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충남, 호남 지역에서 출발한 대부분의 교통로가 서울로 연결되는 관문이었던 곳이다. 조선시대 과천현감은 그 직위는 종6품으로 그리 높지 않지만 남태령을 통해 서울로 입성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