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향교

  • 나주 나주향교(사적), 교육기능을 제대로 갖춘 큰 규모의 향교

    전남 나주시 교동에 있는 옛 나주목 중등교육기관이었던 나주향교(사적)이다. 나주향교는 조선초 태종 7년(1407)에 처음 창건되었다. 조선시대 설치된 향교 중 전주향교, 강릉향교 등과 함께 가장 큰 규모를 하고 있다. 공자 아버지 위치를 봉안한 계성사가 있어 앞쪽에 제향공간이, 뒷편에 강학공간이 있는 전묘후학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제향공간에는 공자를 비롯한 5성, 송조 4현, 우리나라 18현을 모시고 있는데 대성전과 동.서무를 제대로…

  • 나주 나주향교 대성전(보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묘 건축물

    전남 나주시 교동에 있는 나주향교 대성전(보물)이다. 대상전은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제사를 지내는 제향공간 중심 건물로 문묘라고도 부른다. 나주향교는 전묘후학의 공간배치로 성균관 문묘처럼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데 성균관 문묘와 비슷한 규모이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주심포 양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바닥에는 마루를 깔았다. 서울 문묘, 강릉향교, 장수향교와 더불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묘…

  • 남원 남원향교, 남원도호부 중등교육기관

    전북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조선시대 남원도호부 중등교육인 남원향교이다. 남원향교는 조선초 태종 때(1410년)에 처음 창건되었으며, 세종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정유재란 남원전투 때 소실되었다가 복원하였으며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성전을 비롯하여 동.서무, 강당인 명륜당과 동.서재, 문루인 진강루와 고직사 등을 두고 있다. 남원향교는 고을규모에 걸맞게 건물의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며 오랫동안 교육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

  • 김제 김제향교(사적)

    전북 김제시 교동에 있는 옛 김제군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인 김제향교(사적)이다. 주로 읍치 바깥에 있던 다른 지역과는 달리 관아에서 130 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김제향교는 조선초 태종 때(1404)에 처음 세워졌으며, 여러차례 중수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공자와 선현들을 모시는 대성전은 원래부터 있던 건물이고 명륜당을 비롯한 부속건물들은 일제강점기에 다시 지어진 것들이다. 규모는 비교적 큰 편이며…

  • 정읍 태인향교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에 있는 태인향교이다. 조선시대 태인현 관아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으로 관아에서 서쪽으로 약 500 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초 세종 때(1421)에 처음 창건되었으며 중종 때(1510)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공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강당인 명륜당, 출입문인 만화루, 유생들의 기숙사인 장수재 등 여러 부속건물들을 두고 있다. 작은 지방 관아에서 설치한 향교 중에는 그…

  • 성주 성주향교, 명륜당과 대성전이 보물로 지정된 유서깊은 향교

    경북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에 있는 성주향교 있다. 조선시대 성주목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으로 읍치 북쪽 낮은 구릉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 초(태조 7년)에 처음 세워졌는데 세워졌으며 현재 남아 있는 건물들은 조선후기에 다시 지어졌다. 동쪽에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서쪽에 강학공간이 명륜당이 있는 동묘서학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경우이다. 명륜당과 대성전은 문화재(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전국의 향교 건축물이 보물로…

  • 성주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보물),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향교 건축

    경북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에 있는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보물)이다. 대성전은 공자와 선현들의 위패를 모시는 공간으로 17세기에 지어졌다. 앞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향교 대성전 건물로는 드물게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명륜당은 앞면 5칸규모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이다.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를,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는 전형적인 강당 건물의 형태를 하고 있다. 대청마루 천장은 서까래가…

  • 고성 간성향교, 옛 간성군 중등교육기관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교동에 위치하고 있는 간성향교이다. 간성읍에서 약간 떨어져 있으며, 건봉사와 진부령으로 연결되는 교통로에 자리잡고 있다. 조선 세종 때 처음 세워졌으며, 여러 차례 소실과 중건이 있었으며, 한국전쟁 후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금강산과 관동팔경 유람길에 위치하고 있어 이곳을 찾는 손님이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고을 규모에 비해서 기숙사인 동.서재와 강당인 명륜당이 큰 편이다. 간성군(杆城郡)은 강원도…

  • 평택 평택향교, 옛 평택현 관할 중등교육기관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에 있는 평택향교이다. 과아가 있던 팽성읍 객사에서 서쪽으로 600여 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작은 고을이었던 평택현 관할 중등교육기관으로 향교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강당인 대성전과 기숙사인 동.서재가 있는 강학공간을, 뒷쪽에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이 있는 제향공간을 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평택현은 오늘날 팽성읍 주변지역을 관할하던 작은 고을로 오늘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