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보물

  • 백자 병(보물)

    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병'(보물)이다. 희고 단단한 경질 백자로 순수한 흰색의 무늬가 없는 순백자이다. 아가리에서 긴 목을 지나 몸통까자 유연하면서 풍만한 몸체를 이루고 있다. 단정한 형태와 고르게 입혀진 맑은 백자 유약이 잘 어울린다. 단정하면서도 절제된 미(美)를 추구했던 조선전기 사회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백자로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백자이다. 이런 형태의 백자는 관요(官窯)가 설치되었던 경기도 광주에서 15~1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 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보물)이다. 매병 전체에 인화무늬를 촘촘하게 넣었다. 높이 30cm의 매병으로 고려청자 매병 형태를 따르고 있지만 흰흙으로 꾸며진 부분이 많아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바뀌는 과도기적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양이 복잡하고 변형된 구름, 연꽃무늬 등 분청사기에서 볼 수 있는 문양들이 주로 사용되었다. 몸통의 4면에는 동심원을 그리고 그 안에 2마리의 물고기가 있는 ‘쌍어문(雙魚紋)’을 표현하고…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흑백상감기법으로 앞.뒷면 매와와 대나무를 큼직하게 배치고 그 사이 새와 학, 풀을 표현하고 있다. 붓으로 그린듯한 회화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매화.대나무.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서정적이고 우아한 분위기가 돋보인다. 여유로운 공간…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크기는 작은편이지만 각부분의 비례가 적절하고 안정적인 조형미가 돋보인다. 간결한 흑백상강기법으로 구름 사이로 나르는 학을 표현하고 이다. 고려시대 12~13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유려한 곡선미와 비색 하늘을 배경으로 무늬들이 베풀어졌다. 고려청자에…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93)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바람에 흔들리는 매화와 대나무, 그 사이에 3마리의 학들을 그렸다. 흑백상감기법으로 대상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매화.대나무.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경남 하동군 출토, 보물 추위를 견뎌내고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매화와 사계절…

  •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보물)이다. 상감기법으로 위쪽에 보자기무늬가 새겨져 있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아가리 주위로 정사각형 보자기를 엎어두고 있는 것처럼 상감양식으로 보자지무늬를 장식하고 있다. 몸통에은 4면에 모란꽃과 모란잎, 구름무늬를 음각으로 새겨 놓고 있다. 비교적 고른 태토에 청회색계통의 유약을 입혔는데, 전북 부안군 가마터에서…

  •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보물)”이다. 목이 짧고 각진 아가리를 가졌으며, 직선적인 느낌의 곡선미를 주고 있는 매병이다. 퇴화(堆花)기법으로 인삼잎 무늬를 그렸다. 검은색에 가까운 철채와 흰색으로 표현인 인삼잎이 대비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철채퇴화기법으로 만든 자기는 그 수가 많지 않으나, 전남 강진에서 일부 발견되는 것으로 볼 때 그곳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시대 12세기 작품이다. 퇴화청자(堆花靑磁,…

  •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보물)이다. 고려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 34.6cm의 매병이다. 몸통의 3면에 모란을 크게 상감한 후 꽃잎에 구리 안료를 덧칠하여 불게 피어나는 느낌을 주고 있다. 어깨가 풍만하고 허리곡선이 매끄러운 고려청자 매병의 조형미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전체를 3부분으로 나누고 밑부분에 연꽃잎을 두르는 것은 12세기 전반 순청자 매병의 특징이다. 청자 상감.동화 모란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보물)”이다.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퇴화기법으로 초화문(草花文)이 그려진 주자(注子)와 장식분양이 있는 승반이다. 흰흙(白土泥)과 붉은흙(赭土泥)을 이용해서 그린 초화문은 자유로운 필치와 강렬한 느낌이 살아 있다. 간결하면서 세밀하게 그려진 퇴화기법의 특징이 잘 나타난 작품이다. 청자 퇴화 주자와 병, 고려 12~13세기, 경기도 개성 출토, 보물(주자) 퇴화 기법은 흰 흙과 붉은 흙을 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