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통일신라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보물)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봉암사 경내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옛 주불전인 금색전 앞 마당에 자리잡고 있다.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것으로 기단부가 1층으로 되어 있는 지역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석탑이다. 상륜부 머리장식이 온전히 남아 있어 동시대 석탑의 기준이 된다고 한다. 단층 기단이기는 하지만 기단과 탑신의 비례에서 보여주는 조형미와 조각수법이 뛰어난 석탑이다. 김천 직지사로 옮겨진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직지사 대웅전 앞으로 옮겨온 두개의 탑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대웅전 경내 서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문경시 산북면 웅창마을 도천사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비로전 앞 삼층석탑과 함께 3기의 석탑이 모두 같은 양식을 하고 있다. 기단을 받치는 넓직한 바닥돌이 기단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단과 탑신 1층 몸돌을 높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보물), 직지사로 옮겨온 통일신라 삼층석탑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비로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문경시 산북면 웅창마을 도천사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을 받치는 넓직한 바닥돌이 기단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단과 탑신 1층 몸돌을 높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경쾌한 느낌을 주고 있다. 상륜부는 직지사로 옮겨올 때 옛 모습을 추정하여…

  •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경내에 있는 강락사지 삼층석탑(보물)이다. 이 석탑은 구미시 선산읍 낙동강변 강락사 절터에 남아 있던 것으로 현재의 위치로 옮겨 놓은 것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과 탑신에 기둥장식 외 특별한 장식은 없다. 일제강점기에 도굴되면서 무너져 있던 것을 수리하여 다시 세웠으며 상륜부는 옛 모습을 추정하여 복원하였다. 불국사 삼층석탑과는…

  • 경주 사천왕사지, 문무왕 비(碑) 거북받침돌

    경주시 배반동 낭산 남쪽 사천왕사 절터에 남아 있는 2기의 비석받침돌이다. 문무왕이 삼국을 통일한 후 당나라의 침략을 막기 위해 세웠다는 사천왕사 입구에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웠던 것으로 보인다. 절터에는 목이 없는 거북받침돌만 있고, 비석은 없어졌다가 조선후기 정조 때(1796년) 비석편이 일부 발견되었가, 2009년에도 경주 도심 주택에서도 일부 비석편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거북받침돌은 거북모양을 하고 있는…

  • 경주 석굴암 석굴(국보), 대표적인 석굴사원이자 불교미술의 걸작

    동해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토함산 동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석굴암 석굴(국보)이다. ‘석불사’라고 불린 이 석굴암은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 김대성이 불국사와 함께 건립한 것으로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세웠다고 전해진다. 석굴의 구조는 앞쪽은 전실은 사각형을, 본존불이 모셔진 주실은 원형을 하고 있다. 이는 동양의 천원지방(天圓地方,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 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주실에는 그 존재에 대해서 여러 의견이…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불상

    신라가 불교를 받아 들인 이후 많은 사찰들이 세워졌으며, 사찰에는 사리를 모신 불탑과 함께 부처를 표현한 불상을 모신 금당이 세웠졌다. 신라의 대표적인 불상으로는 삼국시대 황룡사 금당에 모셔진 신라삼보 중 하나였던 장륜존상을 들 수 있으나, 지금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현재하는 대표적인 불상으로는 2점이 남아 있는 석가모니가가 고민하는 모습을 표현한 반가사유상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석굴암에 모셔진 본존불을 들 수…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불탑과 사리갖춤

    불교에서의 탑은 석가모니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한 축조물이며, 부처가 깃든 성스러운 곳으로 예배와 수행의 대상이다. 탑을 세우는 것은 부처의 진리를 널리 세상에 보이는 과정이기에 불교의 융성과 함께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전해져 불교미술 조형품의 백미로 자리잡았다. 특히, 통일신라 때 조성된 많은 석탑들은 상당히 높은 수준 조각수법과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어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자리잡고 있다. 발굴당시 사천왕사 서탑터…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왕경인의 생활

    신라가 불교를 받아 들인 이후 조성된 불국사, 석굴암 등을 비롯하여 많은 사찰들에서 그들의 뛰어난 예술 감각과 경제력 등을 보여주고 있다. 신라삼보 중 장륙존상과 구층목탑을 보유했던 황룡사는 신라 제일의 사찰로 여겨졌다. 고려시대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린 황룡사에 대한 발굴.조사가 70년대 이후에 이루어졌는데, 당시 사찰의 규모와 신라인의 종교생활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절터의 규모와 가람배치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