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사당
-
아산 현충사, 이충무공 유허(사적)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에 있는 현충사라 불리는 이충무공 유허(사적)이다. 이충무공 유적지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곳으로 젊은 시절 살았던 집이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이충무공을 모신 사당인 현충사, 이충무공이 결혼한 이후 살았던 고택, 활을 쏘고 무예를 단련하던 활터, 셋째 아들 이면 공의 무덤 등이 있다. 이충무공의 무덤은 이곳에서 9 km 떨어진 아산시 음봉면 어라산에 위치하고 있다.…
-
화순 학포선생부조묘, 조선중기 문신 양팽손을 모신 사당
전남 화순군 도곡면 월곡리 마을에 있는 학포선생부조묘이다. 조선중기 문신인 학포 양팽손(1488~1545년)을 모신 사당이다. 조선중기 인조 때 처음 세워졌으며 구한말 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으로 없어졌다가 해방 이후 복원하였다. 건물은 일반적인 서원과 비슷한 강당과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곳에서 “학포문집”과 “정암문집”을 만들었다고 한다. 사당이 있는 월곡리마을은 그의 후손의 터를 잡고 살고 있는 전형적인 집성촌인 것으로 보인다. 사당앞에 19세기에 지어진 2동의…
-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사적), 정유재란때 의병을 일으킨 7인의 유적
전남 구례군 토지면 송정리 섬진강변 석주관성에 있는 칠의사묘(사적)이다. 칠의사는 정유재란 때 호남지방 관문이었던 석주관을 끝까지 지키다가 숨진 구례출신 의산 7명과 당시 구례 현감의 무덤이다. 정유재란 당시 진주에서 섬진강을 따라 호남지방으로 진격할때 구례 출신 왕득인이 의병을 일으켰으나 전사하였다. 이후 그의 아들이 구례 지역인사들과 함께 의병을 모으고, 화엄사 승병들의 지원을 받아 석주관에서 왜군과 접전을 벌였으며, 이듬해 왜군이…
-
서울 단군성전(檀君聖殿), 단군 영정을 모신 대표적인 사당
사직공원 뒷편 황학정이 있는 언덕에 위치한 단군성전(檀君聖殿)이다. 우리 민족의 시조인 단군을 모신 대표적인 사당이다. 이 사당은 원래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니고 해방 이후인 1968년에 처음 세워졌다. 이후 1990년대 쌍용그룹의 지원으로 개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당은 단군 영정과 단군상을 모시고 있으며 단군성전 또는 백악전(百惡殿)이라 부른다. 역사적인 배경이 있거나 국가적인 지원을 받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단군사당은…
-
연천 숭의전(崇義殿, 사적), 태조 왕건을 비롯한 고려 왕과 공신들을 모신 곳 – 2010년
연천군 미산면 임진강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숭의전(崇義殿)이다. 숭의전은 고려태조를 비롯한 4왕과 16 공신들을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고려가 멸망한 후 태조는 전조(前朝)에 대한 예우와 민심을 고려하여 이 곳에 고려 태조 왕건을 모시는 사당(廟殿)을 세운 이래 문종대에 ‘숭의전’이라 이름 짓고 고려 공신 16명을 함께 모시도록 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고려 왕씨 후손으로 하여금 전각의…
-
서울 국사당, 남산 목멱대왕을 모시는 민속신앙 사당
서울 종로구 무악동 인왕산 자락에 위치한 국사당(國師堂)이다. 전통신앙과 관련된 사당인 인왕산 국사당은 원래 남산 팔각정 자리에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남산을 목멱대왕(木覓大王)으로 봉하고, 호국의 신으로 삼았으며, 개인적인 제사는 금하고 국가의 공식행사로 기우제(祈雨祭)와 기청제(祈晴祭)를 지냈다고 한다. 국사당에는 고려 공민왕, 무학대사, 나옹선사를 비롯한 여러 신상이 걸려 있었으며, 민간신앙에서 숭상하는 다양한 신상을 걸어놓고 기도를 올렸다고 하며, 국가적으로도 이를 억제할…
-
서울 와룡묘, 삼국지 영웅 제갈량과 관우를 모신 민속사당
서울 중구 예장동 남산 북쪽 계곡에 위치한 와룡묘(臥龍廟)이다. 이곳은 삼국지의 영웅 제갈량(諸葛亮)을 모시는 사당이다. 건물 내부에는 제량과 함꼐 관우상이 모셔져 있다. 관우를 비롯한 역사의 영웅들을 숭배하는 민간신앙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에서 파견된 군사들에 의해 전해졌다고 한다. 민간에서도 관우신앙이 널리 퍼져나갔는데 관우는 병을 다스리고 복을 내리며, 재물을 관장하는 영험한 신으로 받들어 졌다. 동관왕묘가 세워졌던 선조대에 처음 제갈량을…
-
서울 동관왕묘(보물), 삼국지 영웅 관공(關公, 관우)을 모신 사당
서울 종로구 숭인동에 위치한 동관왕묘(東關王廟, 보물)이다. 동묘(東廟)라고도 불리는 동관왕묘는 삼국지의 영웅인 관공(關公, 관우)과 최측근인 관평(關平), 주창(周倉) 등 4명의 상을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한양도성 동대문에 해당하는 흥인지문(興仁之門) 바깥에 위치하고 있다. 관왕묘(關王廟)는 중국에서는 공자의 위패를 모신 문묘(文廟)만큼이나 인기가 많다. 이곳에 동관왕묘가 들어선 것은 임진왜란 때 조선과 명나라가 왜군을 물리치게 된 까닭이 성스러운 관우 장군께 덕을 입었기 때문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