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회화
-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 화첩(국보)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풍속화 화첩(국보)이다. 조선후기 화가 신윤복(1758~ ?)이 그린 풍속화로 <주사거배(酒肆擧杯)>, <홍루대주(紅樓待酒)> 등 30여점으로 구성된 화첩이다. 한량과 기녀를 중심으로 남녀간의 애정, 낭만, 양반사회의 풍류 등을 표현하고 있는데, 섬세한 필선과 아름다운 색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등장인물들은 선정적인 느낌을 주고 있으며 주위 배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016년 가을 중앙박물관에서 기획한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20세기초 근대 미술을 이끌었던 화가들
개항과 함께 서구의 문물이 급격하게 들어오면서 미술가들도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일부는 서양화라는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였으며, 전통 미술을 계승했던 화가들도 서구의 새로운 기법을 적용하는 등 시대의 흐름를 따르게 된다. 마지막 도화서 화원인 조석진과 안중식은 새루운 경향을 받아들였으며 당시 미술가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구한말 새로운 문화를 이끌었던 한양의 중인층들은 도시의 경제적 여유를 바탕으로, 근대 문물을 수용하는…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19세기 대표 화가 장승업, 조희룡, 유숙
19세기 한양의 중인들은 전분 분야에서 역량을 바탕으로 그 활동 영역을 넓혀 나갔고 새로운 문물에 대한 안목을 높혀 나갔다. 소박하면서도 절제된 미를 강조했던 양반 계층과는 달리 대담하면서도 감각적이며 세련된 조형미를 과시합니다. 19세기를 대표하는 화가로는 조선 3대 화가로 불리는 장승업을 비롯하여 매화 그림을 잘 그렸던 조희룡, 도화서 화원이었던 유숙이 있다. 그중 조희룡과 유숙은 중인들의 시사 모임인 ‘벽오사’에서…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풍류, 문인들의 모임
조선후기 영.정조대 이후에는 양반들의 전유물이었던 시모임이 신진세력을 자리잡은 중인들에게도 확대되었으며, 이를 통해 그들의 문화적 역량을 드러내었다. 중인들은 통역을 하던 역관이나 의관, 중앙부처의 서리들로 오늘날 의사,중앙부처 공무원, 외교관 등 상당히 높은 수준의 지식을 요하는 전문직이다. 이들은 조선후기에 들어서면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경제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던 것으로 보이며, 시사 이외에도 이들의 계모임이 상당히 활성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화원들이…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이번 전시에는 우리나라 회화를 대표하는 장르 중 하나인 풍속화를 대표하는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의 작품이 전시되었다. 정조 때 활동했던 김홍도는 풍속화뿐 아니라 산수화를 비롯하여 거의 모든 장르의 그림을 그렸던 화가로 그의 작품 《단원풍속도첩》에는 당시 서민들이 살았던 모습을 생생하면서도 해악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반면에 풍속화를 잘 그렸던 신윤복은 《미인도》, 《혜원전신첩》 등에서 당시 상류사회 사람들의 풍류와 세련된 도시적인…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 봉안공간, 진전
진전(眞殿)은 국왕의 초상화를 모시는 공간으로, 사찰의 조사당(祖師堂), 일반 사대부 가문의 사당인 영당(影堂)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이다. 진전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고려시대에는 고려태조와 선대 왕 4대의 모신 경령전을 도성내 두었으며 역대 국왕들을 위해 세워진 원찰에 국왕과 가족의 초상화를 모시는 진전을 두었다고 한다. 조선은 개국 초기에 전조의 수도였던 경주, 개성, 평양과 이씨 왕조의 본향이라 할…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또 한분의 왕, 어진
어진(御眞)은 국왕의 모습을 그린 초상화로 국왕과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존재로 국가적으로 소중하게 다루어졌다. 어진을 제작할 때는 도감을 설치하거나 담당관리를 임명하여 전체적인 일을 주관하도록 했으며, 당대 최고의 문인화가나 궁중화원들이 어진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어진은 당대 미술 중 인물화를 대표하는 걸작이라할 수 있으며, 선원전이나 영희전 같은 진전에 모셔져 특별히 관리되었다. 하지만 전쟁이나 화재 등을 피하지 못하고 실제로 남아 있는…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과 진전의 역사
2015년 겨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조선 왕실의 어진과 진전”이라는 제목의 특별전이 열렸다. 전시에서는 조선시대 왕의 초상화가 가지는 상징성, 어진 제작과정, 어진 제작에 참여했던 대표적인 화원 및 문인화가, 어진을 모셨던 다양한 진전들, 어진과 관련된 의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내용이었다. 조선시대 왕의 초상화가 가지는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전시회였다.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를 지칭하는 말이다. 왕의…
-
[산동성박물관 한대화상석(漢代画像石)] 화려한 건축, 화상석묘(畵像石墓)
화상석묘(畵像石墓)는 석재와 벽돌을 이용하여 방을 만들고 기둥과 벽면 등에 다양한 장면을 표현한 화상석으로 장식한 고분이다. 한무제때 장건이 실크로드를 개척한 이후 서역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주로 전한 말기부터 후한때까지 크게 유행하였다. 중국에서 화상석묘가 발굴되는 곳은 하남성 남양(南陽), 산동성 소북(蘇北), 사천성, 협서성 진서(晋西) 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산업이 크게 발전했거나, 지리적으로 서역과의 교역창구였던 지역으로 부호들이나 고관들이 조성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