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삼국시대
-
무령왕비 베개(국보)와 무령왕 발받침(국보)
무령왕릉에 출토된 무령왕비 베개(국보)와 무령왕 발받침(국보)이다. 무령왕릉 발굴 당시 머리부분과 발부분에 놓여 있었다. 무령왕 베개는 크게 손실되어 그 형체를 알 수 없었으며 왕비 베개는 그 형체를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남아 있었다. 발받침은 왕과 왕비의 것이 온전히 남아 있었다. 왕비 베개는 나무에 주칠을 한뒤 금박등으로 구획을 나누어 그 속에 비천상, 봉황, 어룡 등 각종 그림을…
-
무령왕비 은팔찌(국보), 제작수법과 디자인이 매우 뛰어난 작품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비 은팔찌(국보)이다. 무령왕릉에서는 5쌍의 팔찌가 출토되었는 그 중 왼쪽 팔목 위치에 놓여 있던 것이다. 이 팔찌는 타출기법을 이용해 두마리의 용을 입체적으로 생감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평면으로 처리된 팔찌 안쪽에는 제작 내력을 말해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글자의 내용은 왕비가 죽기 6년전인 520년에 다리라는 사람이 왕비를 위해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용무늬가 새겨진 비슷한 형태의 것으로 경주…
-
무령왕비 금목걸이(국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비 금목걸이(국보)이다. 무령왕릉 발굴 당시 왕비 머리 부근에서 2점이 함께 출토되었으며 주변에는 금구슬이나 금제 장식들이 있었다고 한다. 하는 9마디, 다른 하나는 7마디로 되어 있다.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된 금막대마다 고리를 만들고 마무리를 하였다. 몸에 걸기 위한 고리 외에는 다른 장식을 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를 하고 있다. 단순한 형태이기는 하지만 상당히 세련된 디자인을 하고 있다.…
-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
무령왕릉에 출토된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이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5쌍의 금귀걸이 중 무령왕비 머리 부근에서 발견된 2쌍의 귀걸이다. 그 중 1쌍은 2개의 장식이 달려 있는데 하나는 탄환모양을 하고 있고, 다른 하나는 하트모양을 하고 있다. 다른 1쌍은 하트모양의 장식만 달려 있다.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 2개의 장식이 달려 있는 귀걸이> 하트모양에는 옥이 달려 있다.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하트모양 장식> <무령왕릉 발굴 당시 모습을…
-
무령왕 금제뒤꽂이(국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 금제뒤꽂이(국보)이다. 무령왕 관장식과 머리부분에서 발견된 유물로 관모를 장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뒤꽂이는 머리에 꽂아 머리모양을 흐트러지지 않게 해주는 실용적인 기능과 함께 뒤꽂이 자체의 장식으로 머리를 더욱 화려하게 꾸며주는 장신구이다. 전체적으로 새가 날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위쪽에는 2개의 꽃무늬가 있고, 아래쪽에는 당초문이 새겨져 있어 사산조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관모에 새의 깃털로…
-
무령왕 금귀걸이(국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 금귀걸이(국보)이다. 가는 고리에 두개의 장식을 늘어뜨린 형태이다. 하나는 금판으로 하트 모양의 나뭇잎 장식을 달았고, 다른 하나는 곱은옥에 모자를 씌운 형태의 장식을 달았다. 무령왕릉에서는 5쌍의 금제 귀걸이가 출토되었는데 무령왕 머리부근에는 1쌍만 발견되었다. 나뭇잎 모양의 장식에는 누금세공기법이 사용되었는데 고구려, 신라의 영향을 받은 것을 추정하고 있다. 경주 금령총에서 비슷한 형태의 귀걸이가 출토되었다고 한다. <무령왕 금귀걸이(국보)>…
-
무령왕비 금제관식(국보), 연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공주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비 관장식(국보)이다. 왕관을 꾸미는 장식으로 머리 양쪽에 꽂을 수 있도록 1쌍으로 되어 있다. 금판을 뚫어서 덩굴무늬를 장식하고 있다. 중간에는 꽃무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연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을 하고 있다. 무령왕 관장식에 비해서 간결한 느낌을 주고 있다. 웅진기 백제에서는 왕비도 관장식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무령왕 관장식과는 달리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무령왕 관장식과 마찬가지로 덩굴무늬와…
-
무령왕 금제관식(국보), 불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웅진기 백제를 대표하는 유물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 관장식(국보)이다. 왕관을 꾸미는 장식으로 머리 양쪽에 꽂을 수 있도록 1쌍으로 되어 있다. 금판을 뚫어서 덩굴무늬를 장식하고 있다. 중간에는 꽃무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불꽃이 타오르는 형상을 하고 있다. 금판을 뚫어 장식을 하는 기법은 한성기 백제때 중앙에서 지방세력에게 보내준 공주 수촌리고분, 서산 부장리고분 등에서 출토된 금동관에서도 볼 수 있다. 덩굴무늬와 연꽃무늬는…
-
무령왕릉 지석(국보), 무덤주인을 밝혀준 중요한 유물
국립공주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무령왕릉 지석(국보)이다. 1970년대 무령왕릉이 처음 발굴되었을 때 무덤 널길에 놓여 있던 것으로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려주는 아주 중요한 유물이다.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 2매로 되어 있다. 묘지석에는 죽은 날자와 무덤에 안장한 날짜가 적혀 있는데, 무령왕은 1년상, 왕비는 3년상을 지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왕비가 죽은 후 서쪽에 모셨다고 기록되어 있어 공주 정지산에 빈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