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궁궐

  • 경복궁 동궁 영역, 세자가 거처했던 자선당과 비현각

    조선시대 궁궐은 왕권의 상징이자 정치의 중심인 정전을 궁궐 중심에 두고, 동쪽에는 차기 왕권을 상징하는 세자의 거처인 동궁을, 서쪽에는 국왕을 보필하는 관청인 궐내각사를, 뒷편에는 업무공간인 편전과 생활공간인 침전을 두고 있다. 동궁은 조선시대 법궁이었던 경복궁과 창덕궁에만 정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궁(離宮)이었던 창경궁과 경희궁에는 동궁을 별도로 배치하지 않고 당시 여건에 따라서 국왕의 거처로 마련했던 전각을 사용하기도 했다. <세자…

  • 경복궁 아미산굴뚝(보물)과 자경전 십장생굴뚝(보물)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法宮)으로 조선을 개국하고 새로운을 도성을 세울때 창건한 궁궐이다. 경복궁은 중국 주례와 역대 왕조의 궁궐을 참조하여 법도에 맞게 질서 정연하게 세워졌다. 자연지세와 풍수사상을 적절히 반영하여 이궁(離宮)으로 세운 동궐(東闕)과는 달리 경복궁에는 큰 연못인 경회루가 있기는 하지만 정원이 많지 않다. 중국 자금성 또한 경복궁과 마찬가지로 정원이 많지 않은 편으로 역대 왕조은 법궁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 경복궁 자경전(보물), 대비의 침전

    경복궁 자경전(慈慶殿, 보물)은 궁궐에서 대비가 거처했던 침전으로 왕비의 거처인 교태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자경전은 고종 옹립에 큰 역할을 했던 신정왕후 조대비를 위해 지은 건물로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는 과정에서 세심한 관심과 정성을 들여서 지은 전각이다. 현재의 건물은 화재로 소실된 것을 1888년에 중건한 것이라 한다.  자경전 앞쪽으로는 세자의 거처인 동궁전이 있다. 원래는 상당히 많은 건물과 출입문이 있었으나 대부분…

  • 경복궁 함화당과 집경당, 후궁들이 거처하는 영역

    경복궁 교태전과 향원정 사이에는 후궁들이 거처하던 영역으로 동궐에서 창경궁 명정전 북쪽 지역과 비슷한 성격을 갖는 공간이다. 창경궁에는 영춘헌과 집복헌이 남아 있다면, 경복궁에는 함화당(咸和堂)과 집경당(緝敬堂)을 대표적인 전각으로 최근에 복원하였다. 함하당과 집경당은 같은 울타리안에 붙어 있는 건물로 후궁 영역에 있지만 그 용도는 확실하지 않다. 아마도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건물을 만들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동궐 창경궁에 많은 전각들이 있어서 실제로…

  • 경복궁 후원, 향원정과 열상진원 샘

    건청궁이 들어서 있는 경복궁 후원은 옛 경복궁의 배치나 법도에 따라서 경복궁을 중건할 때 조성한 공간이 아니다. 고종은 경복궁 중건 이후 자신의 취향에 따라 사대부 저택처럼 지은 이궁(離宮)인 건청궁과 서재인 집옥재(集玉齋) 등을 짓고, 연못인 향원지(香遠池)를 조성했다. 엄숙하고 위압적인 면이 보이는 법궁인 경복궁의 답답함과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그늘을 벗어나고 하는 고종의 바램이 반영된 공간이다. 옛 경복궁 후원인 서현정…

  • 경복궁 건청궁, 후원에 세운 이궁

    경복궁 북쪽편 향원정이 있는 곳에 위치한 건청궁은 경복궁 중건 후 고종이 휴식을 취할 목적으로 지은 이궁(離宮)이다. 고종은 건청궁 옆 서재로 사용할 목적으로 지었던 집옥재, 협길당, 팔우정, 연못인 향원지와 함께 번잡한 궁궐을 떠나 이곳에 머물기를 좋았했던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사대부 저택처럼 지었는데, 창덕궁 낙선재, 연경당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궁궐 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상을…

  • 경복궁 집옥재 일원, 고종이 서재로 지은 건물

    경복궁 향원정 연못 뒷편으로는 고종이 서재로 지은 집옥재(集玉齋), 협길당(協吉堂), 팔우정(八隅亭)이 있다. 이 건물들은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전통적인 궁궐 건물 배치에 따라서 지은 건물은 아니고, 20여년이 지난 1888년에 지은 건물이다. 구한말에 중국풍으로 창덕궁의 국왕 침전인 희정당을 지을 때 같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원래 창덕궁에 있었던 건물을 건청궁을 지을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이 건물들은…

  • 경복궁 태원전 일원, 태조의 어진을 모신 전각

    경복궁 제일 뒷편으로 걸어들어가면 새로 복원한 궁궐 전각을 볼 수 있는데,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셨던 태원전이다. 구한말 경복궁을 중건할 때 국왕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태원전을 지었다고 한다. 태원전은 평상시에는 태조의 어진을 모시는 곳이지만, 실제로는 국장이 있을때 빈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건물이다. 실제로는 태안전을 세워진 후 그 목적에 맞게 사용한 기간은 많지 않았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왕실가족이 거주하지…

  • 경희궁 태령전과 서암바위

    태령전은 경희궁에 있던 많은 전각들 중 하나로 국왕의 집무장소였던 편전인 자정전 서쪽편 언덕에 자리잡고 있던 건물이다. 정문에 삼문형식으로 만들어진 태령문이 있고 편전인 자정전과 협문으로 연결되어 있다. 원래는 특별한 용도가 없었던 건물인데 영조대에 영조자신의 어진을 모시는 건물로 사용하면서 태령전이라 불렀다. 태령전에는 원래 영조가 연잉군 시절에 제작한 초상화를 모셨었다고 한다. 이 건물 또한 일제강점기에 없어졌던 것인데, 경희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