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조선시대

  • 아산 신항리마을, 종가댁으로 불리는 윤승구 가옥

    충남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 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인 윤승구 가옥이다. 마을 종가집으로 불리는 고택으로 구한말 중부지방 상류층이 살았던 저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건물은 문간채, 행랑채, 안채,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당시 한양이나 경북 북부지방의 ‘ㅁ’자형 한옥과는 달리 여러동의 건물이 약간씩 떨어져 있어 개방된 느낌을 주고 있다. 앞쪽에는 윤씨일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솟을대문이 있다. 건물 상량문에 따르면…

  • 아산 신항리 마을, 윤일선 가옥

    충남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마을에 남아 있는 윤일선 가옥이다. 대저택에서 분가하기 위히 지은 살림집으로 본가와 공동으로 대문채를 쓰고 있다. 집은 중문이 있는 ‘ㄴ’자형 사랑채와 ‘ㄱ’자형 안채, 안채와 연결되어 있는 별채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개방된 ‘ㅁ’자형 평면구성을 하고 있다. 오늘날 기준으로는 화려하거나 크다는 느낌을 주지는 않지만 당시에는 상당히 크고 짜임새있게 지었던 한옥으로 보인다. 신항리마을은 평택과 안성에서 발원한 안성천이…

  • 아산 충무공 이순신 장군 무덤(사적)

    충남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에 있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무덤(사적)이다. 현충사에서 북쪽으로 6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오랜 세월동안 성역화되었던 무덤답게 울창한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어 왕릉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다. 무덤 앞에는 혼유석과 향로석을 비롯하여 다양한 석물들이 놓여 있어 이충무공 무덤의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무덤 아래에는 정조가 직접 글을 지은 어제신도비가 있으며 묘역 입구에도…

  • 아산 현충사, 이충무공 유허(사적)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에 있는 현충사라 불리는 이충무공 유허(사적)이다. 이충무공 유적지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곳으로 젊은 시절 살았던 집이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이충무공을 모신 사당인 현충사, 이충무공이 결혼한 이후 살았던 고택, 활을 쏘고 무예를 단련하던 활터, 셋째 아들 이면 공의 무덤 등이 있다. 이충무공의 무덤은 이곳에서 9 km 떨어진 아산시 음봉면 어라산에 위치하고 있다.…

  • 아산 현충사, 이순신 장군 옛집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현충사(사적) 경내에 남아 있는 충무공 옛집이다. 이 집은 이순신이 결혼 후 살았던 집으로 종택에 해당하는 집이다. 건물은 ‘ㄷ’자형 안채와 사랑채를 겸한 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 뒷편 언덕에는 불천위 조상을 모시는 사당이 있다. 종손들이 살아왔던 안채만 원래 있던 것이고 문간채는 새로 지은 건물이다. 충무공의 부인은 보성군수를 지낸 방진의 무남독녀였기 때문에 처가집이 자연스럽게…

  • 평택 평택향교, 옛 평택현 관할 중등교육기관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에 있는 평택향교이다. 과아가 있던 팽성읍 객사에서 서쪽으로 600여 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작은 고을이었던 평택현 관할 중등교육기관으로 향교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강당인 대성전과 기숙사인 동.서재가 있는 강학공간을, 뒷쪽에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이 있는 제향공간을 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평택현은 오늘날 팽성읍 주변지역을 관할하던 작은 고을로 오늘날…

  • 충청도 평택현 관아, 팽성읍 객사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에 남아 있는 옛 평택현 관아터에 객사건물이 남아 있다. 객사는 가운데 국왕을 상징하는 ‘궐패(闕牌)’를 모시는 앞면 3칸규모의 중대청을 두고 있으며, 양쪽에 3칸 규모의 동.서헌을 두고 있다. 동.서헌은 이 고장을 방문한 관리들이 머무는 숙소로 방1칸과 연회를 할 수 있는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다. 그 규모와 형태가 평균적이고 조선후기 객사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 아산 공세곶고지, 충청지역 세금으로 걷은 곡식을 보관하던 창고터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있는 공세곶고지이다. 이곳은 충청지역에서 세금으로 걷어들인 곡식을 모아서 보관했던 창고인 공진창이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 조운선을 이용하여 한양으로 운송했는데 세곡선 외에 한양으로 향하는 주요 물자들도 같이 운송했던 교통 중심지였다. 이곳에는 조운을 담당하던 해운판관을 비롯하여 720명의 담당자들이 있었고, 80칸의 창고, 적재량 800석의 큰 배가 15척이 있었다고 하며,민간에서 운용하던 배나 인력 또한 많았을 것으로…

  • 충청도 아산현 관아, 출입문이었던 여민루

    충남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에 있는 옛 아산현 관아터이다. 관아터에 영인초등학교가 들어서 있으며 관아 출입문인 여민루(慮民樓)만이 남아 있다. 객사, 동헌, 내아 등 관아건물들은 모두 초등학교 건물로 바뀌었다가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관아 아문인 여민루는 앞면3칸, 옆면2칸의 2층 문루건물이다. 조선 태종대 처음 세워졌으며, 현재의 건물은 구한말에 새로 지은 것으로 당시의 건축양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아산현(牙山縣)은 아산시 영인면, 인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