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관아
-
전라도 여산도호부 관아, 여산 동헌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옛 여산도호부 관아 건물터이다. 다른 지방의 옛 관아터와 마찬가지로 시골마을 면소재지에 자리하고 있다. 관아건물 중에는 고을 수령이 근무하던 동헌 건물과 수령이 수백년이 지난 느티나무들이 이곳에 관아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헌건물은 계단식으로 조성된 건물터에 자리잡고 있는데 구한말에 중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헌 옆에는 객사가 있었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에 초등학교 건물이 들어서 있다.…
-
전라도 능주목 관아
능주목(綾州牧)은 전남 화순지역에 있던 옛 행정구역으로 화순군 능주면과 주변 지역이 관할지역이었다. 화순 고인돌유적이 있는 지역으로 선사시대 이래 많은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이다. 통일신라때는 능성군이 설치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능성현으로 격하되었다. 조선시대에도 능성현이 유지되었다가 인조의 어머니 인헌왕후의 관향이라 하여 인조때 (1632년) 능주목으로 승격되었다. 능주목의 읍치는 현 능주면 소재지로 옛 관아건물 중에는 동헌 출입문인 죽수절제아문과 관아에 심어졌던 오래된 고목이 남아…
-
화순 영벽정, 능주목 관아에서 세운 정자.
전남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지석천변에 세워진 정자인 영벽정(映碧亭)이다. 능주목 관아에서 설치한 정자로 읍치에서 멀지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양팽손과 김종직의 시에 영벽정이 언급되어 있어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정자는 구한말 고종 때인 1873년에 새로 고쳐 지은 것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2층 누각형 건물이다. 영산강 지류인 지석천 강물의 경치가…
-
화순 죽수절제아문, 옛 능주목 관아 동헌 출입문.
전남 화순군 능주면 면소재지에 옛 능주목 관아터에 남아 있는 죽수절제아문이다. 옛 능성현 동헌인 녹의당 출입하는 관아 아문(衙門)이다. 조선중기에 수리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며, 현재의 건물은 그때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죽수절제아문”이라 적힌 현판은 당대 명필이었던 정이가 쓴 글씨라고 한다. 능주목(綾州牧)은 전남 화순지역에 있던 옛 행정구역으로 화순군 능주면과 주변 지역이…
-
충청도 보은군 관아, 군수가 근무했던 동헌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옛 보은군 관아터에는 군수(현감)가 공식 업무를 보던 건물이 동헌이 남아 있다. 건물이 세워진 처음 세워진 연대는 기록에 없으나 순조 때 크게 고쳐 지었다고 한다. 앞면 7칸, 옆면 3칸의 비교적 큰 규모의 건물이다. 오른쪽 4칸은 대청마루이며, 왼쪽 3칸에는 온돌방을 두고 있다. 대청마루 동쪽 1칸과, 안쪽을 높게 만들어 누마루 형태를 하고 있다. 대청마루…
-
남원 광한루원(명승), 신선이 사는 삼신산을 구현해 놓은 인공정원
전북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광한루원(廣寒樓苑, 명승)이다. 남원도호부 관아에서 지은 광한루(보물)를 중심으로 조성한 인공정원이다. 선조때 정철이 전라관찰사로 재임할 때 조성한 정원을 근간으로 해서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원은 신선의 세계와 우주관을 잘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송강 정철의 개인적인 취향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관아에서 조성한 정원은 그리 많지 않으며, 개인이 조성한 정원은…
-
남원 광한루(보물), 호남을 대표하는 관아 누각
전북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광한루(廣寒樓, 보물)이다. 남원도호부 관아에서 공식적인 연회를 베푸는 장소로 사용하기 위에 경치가 좋은 곳에 세운 누각이다. 조선 세종 때 황희가 처음 세웠으며 현재의 건물은 인조 4년(1626)에 고쳐 지었으며, 부속건물은 정조 때 세웠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4칸으로 지방 관아에서 운영했던 누각 중에서도 상당히 큰 규모이다. 소설 『춘향전』에서 이몽룡이 광한루에 올라 멀리 그네를 타고…
-
함양 안의 광풍루(光風樓), 옛 안의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누각
경남 함양군 암의면 금천리 금호강변에 세워져 있는 2층 누각인 광풍루(光風樓)이다. 조선 초인 1421년에 선화루라는 이름으로 처음 세워진 여러차례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안의현 관아에서 공식적인 연회나 회의를 위해서 세운 누각으로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로 비교적 큰 규모를 하고 있다. 연회 등을 목적으로 세워졌기 때문에 내부는 넓은 마루로 되어 있으며, 사방이 뚫려 있다. 시골이지만…
-
강릉대도호부 관아(사적)
강원도 강릉시 임영로에 있는 강릉대도호부관아(사적)이다. 이곳은 고려시대부터 강릉지역 관아가 있었던 곳으로 936년(고려 태조19)에 강릉을 동원경이라 칭하고 임영관을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강릉은 조선초에는 대도호부였으며 각종 정치지적인 이유로 현으로 강등되기도 했으나, 대부분 대도호부가 구한말까지 이어져 왔다고 한다. 강릉은 영동지방에서 평야가 가장 넓은 곳으로 선사시대 이래로 중심이 되었던 도시이다. 강릉대도호부 관아는 고려 태조대에 임영관이 세워졌을 때 83칸에 이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