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목조건축
-
제천 청풍 한벽루(보물), 대표적인 조선시대 관아 누각
충북 제천시 청풍면 읍리 청풍문화재단지에 있는 한벽루(寒碧樓, 보물)이다. 고려말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한 것을 기념하기 하여 관아 객사 옆에 처음 세워졌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후기 인조 때 다시 세운 것이다. 관아가 있던 지역이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남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으로 옮겨졌다. 관동팔경 유람길 마지막 행선지 중 한곳으로 죽령을 넘어 단양군을 지나 이 곳에 묵으면서 남한강 경치를 감상했던…
-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국보),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지은 전각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에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藏經板殿, 국보)이다. 고려 팔만대장경(국보)를 비롯한 불경 목판을 보관하고 있는 전각으로 해인사에서도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많은 불경 목판을 보관하고 있어 해인사를 법보사찰이라 불리우며 이로 인해 해인사는 전국 3대 사찰로 손꼽힌다. 장경판전은 해인사에 가장 오래된 건물로 언제 처음 지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 세조 때 크게…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비로자나여래를 모신 주불전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에 있는 해인사 대적광전이다. 통일신라 화엄십찰 중 한곳이자 법보사찰인 해인사의 주불전이다. 해인사는 화엄경을 중시하는 사찰로 비로자나여래을 모시고 있어 대적광전이라 부른다. 원래 있던 불전은 여러 화재로 인한 소실과 중수를 거듭하였으며, 현재 건물은 구한말 순조때 새로 지은 것을 1971년에 크게 수리한 것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5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건물 정면에는 대적광전, 동쪽에는…
-
합천 해인사 국사단, 가람을 수호하는 국사대신을 모신 작은 전각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해인사에 국사단(局司壇)이다. 해인사 봉황문과 해탈문 사이 공간에 있는 작은 전각으로 해인사 도량을 관장하는 산신이자 토지의 신인 국사대신을 모신 곳이다. 내부에는 가야산신과 관련된 불화가 모셔져 있다. 산신각이 사찰 뒷편에 있는 다른 사찰과는 달리 가람을 수호하는 의미를 갖고 있어 사찰 입구에 배치되어 있다. 민속신앙과 불교가 융합된 독특한 전각이다. <합천 해인사 국사단> 가람을…
-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 사당 담장(보물), 조선중기를 대표하는 서원 건축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에 있는 도동서원 중정당.사당.담장(보물)이다. 도동서원 강당인 중정당과 사당은 조선중기에 중건된 건물의 잘 보존되어 있으며, 간결하면서 검소한 분위기를 주는 조선중기 서원건축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손꼽힌다. 중정당은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축대를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는데 앞면 5칸 규모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사당은 앞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앞면에 판문을 달았고 있다. 강당과 사당은 사당건축의 모범을…
-
양산 통도사 대웅전(국보), 상로전 영역 주불전
경남 양산시 영축산 통도사 경내에 있는 대웅전(국보)이다. 상로전 영역이 주불전이자, 통도사에서도 중심이 되는 공간이다. 건물 뒷편에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두고 있어 대웅전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는다. 삼국시대 신라 선덕여왕 때 처음 지어졌다고 하며, 여러차례 중수와 중건을 거듭해 왔다. 현재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조선후기 인조 때 새로 지은 것이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보물),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전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신흥사 주불전인 극락보전(보물)이다. 아미타여래(보물)를 중심으로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모셔져 있다.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건물은 앞면 3칸 규모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화려한 다포계 공포, 문에 사용한 꽃살 문양과 빗살문양, 조각상이 새겨진 돌계단 등 화려하면서 장식적인 면을 강조한 조선후기 불전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조선후기 인조 때 처음 지어졌으며, 인조…
-
구례 화엄사 보제루, 사찰에서 집회를 가질 수 있는 강당 건물
전남 구례군 화엄사 강당 건물인 보제루(普劑樓)이다. 화엄사 경내 입구에 누각형식으로 세워졌다. 단청을 하지 않았으며, 목조구조물에 색칠도 하지 않아 절제되면서도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주고 있다. 건물은 앞면 7칸·옆면 4칸 규모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대웅전 쪽 창문은 7칸 모두 큰 두짝의 빗살문을 달고 그 반대쪽 5칸은 널판지문을 달았으며 좌우 양칸은 문을 생략하였다. 대웅전과 각황전이 있는 마당 보다 한단…
-
구례 화엄사 각황전(국보),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웅장한 불전
전남 구례군 마산면에 위치한 화엄사 주불전인 각황전(覺皇殿, 국보)이다. 조선후기 숙종대 중건하였다. 건물은 2층 건물로 앞면 7칸, 옆면 5칸 규모이다. 지붕은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어 화려하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2층 건물처럼 보이지만 내부는 통으로 되어 있다. 내부에는석가모니여래를 중심으로 한 삼세불과 보현, 문수, 관음, 지적보살을 모시고 있다. 현존하는 불전 중 가장 큰 규모로 건축적으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