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신라

  • 황남대총 남분 금제관식(보물)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황남대총 남분 금제관식'(보물)이다. 황남대총이라 불리는 황남동 고분군 98호 무덤 남분에서 출토되었다. 관모에 끼워 장식하는 것으로, 새 날개를 본떠 만든 것이다. 날개가 달려있어 화려하며 날아갈 듯한 새의 모습을 보여준다. 높이 45 cm, 날개 끝 너비 59 cm 크기로 3매의 금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 山자 모양을 하고 있다. <출처>

  •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국보)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국보)이다. 황남대총이라 불리는 황남동 고분군 98호 무덤 남분에서 출토되었다. 곱은옥 모양의 금 구슬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3개씩의 금 구슬을 연결하였다. 금사슬, 금 구슬, 곱은옥이 비례와 구성이 조화를 잘 이루고 있어 간결하면서도 세련미가 돋보인다. 푸른색의 곱은옥을 사용하지 않고 금으로 곱은옥 모양을 만든것이 특이한 유물이다. <목걸이 금, 삼국시대 5세기, 경주 황남대총, 국보>…

  • 황남대총 북분 은제관식(보물)

    국립 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남대총 북분 은제관식(銀製 冠飾, 보물)이다. 황남대총이라 불리는 황남동 고분군 98호 무덤 북분에서 출토되었다. 은으로 만든 관식으로 날개모양의 조익형관식(鳥翼形冠飾) 1점과 나비모양 접형관식(蝶形冠飾) 2점이 출토되었다. 금제관식에 비해 소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황남대총 북분 은제관식(보물), 접형관식> 접형관식은 2점이 출토되었다. 1장은 은판을 오려서 만들었는데 날개가 날카롭게 솟아 올랐다. 가운데 선을 중심으로 곡옥(曲玉) 모양의 눈이 대칭되게…

  • 천마총 환두대도(보물)

    국립 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천마총 환두대도(보물)이다. 천마총이라 불리는 황남동 고분 155호 무덤에서 1973년 출토되었다. 칼집과 칼자루는 나무로 만들었으며 얇은 금동을 입혔다. 칼 손잡이 끝에 둥그런 고리가 있으며 그 안에 봉황 장식을 하고 있다. 칼집 옆에는 꼭지가 있어 끈을 매어 달았던 것으로 보이며, 갈집 끝은 금판으로 된 작은 돌기가 두개 달려 있다. <천마총 환두대도(보물), 큰칼> 봉황장식…

  • 경주 대릉원(사적), 천마총

    경북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지구에 있는 경주 대릉원 155호 무덤인 천마총(天馬塚)이다. 1973년 황남대총에 앞서 천마총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는데 돌무지덧널무덤의 구조가 파악되었을 뿐만 아니라, 화려한 금관과 관장식, 금제허리띠,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그 중 자작나무 껍질에 천마(天馬)가 그려진 말다래가 출토되어 천마총(天馬塚)이라 부른다. 무덤은 높이 12 m, 바닥지름 47 m으로 대릉원에서 비교적 큰 규모의 무덤이다.…

  • 경주 대릉원(사적) 노동동 고분군, 노서동 고분군

    경북 경주시에 있는 대릉원(大陵園) 중 노동동과 노서동에 있는 고분군이다. 신라의 궁성이었던 월성 북서쪽으로 조성되어 있는 삼국시대 신라 왕과 귀족들을 무덤들로 대릉원 북서쪽 끝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전에는 노동리고분군(사적), 노서리고분군(사적)으로 별도 관리되었지만 주변 고분들은 시기적, 지리적으로 동질성을 갖고 있어 대릉원으로 통합하여 재지정되었다. 노동동과 노서동에 있는 무덤들은 도심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어 일제강점기에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금관을 비롯하여 많은 유물들이…

  • 경주 대릉원(사적) 식리총

    경북 경주시 노동동에 있는 경주 대릉원 126호 무덤인 식리총(飾履塚)이다. 봉황대 앞쪽에 위치한 무덤으로 봉분의 위쪽은 남아 있지 않고 아래쪽 일부만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1924년 금령총과 함께 발굴조사된 것으로 직경 30m, 높이 6m 정도로 중간정도 크기의 무덤이다. 거북등모양 테두리에 중국의 영향을 받은 각종 동물들을 새겨놓은 금동신이 출토되어 식리총(飾履塚)이라 부른다. 각종 금속용기, 칠기, 토기와 무기류 등이…

  • 경주 대릉원(사적) 금관총, 일제강점기 신라 금관이 처음 발견된 곳

    경북 경주시 노서동에 있는 경주 대릉원 128호 무덤인 금관총(金冠塚)이다. 1921년 경주 도심에서 주택공사를 하던 중 금관이 우연히 발견되어 신라고분의 존재를 알렸던 곳이다. 금관총은 돌무지덧널무덤으로 길이 48 m, 높이 13 m 규모로 대릉원 고분 중 중간 정도이다.  금관 및 금제관식(국보)과 금제 허리띠(국보)를 귀걸이.팔찌 등 장신구와 토기류 등 다양한 종류의 껴묻거리가 출토되었다. 2015년에는 금관총에 대한 발굴조사가 다시…

  • 금관총 금관 및 금제관식(국보)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금관총 금관 및 금제관식(국보)이다. 경주시 노서동에 있는  대릉원(사적) 금관총에서 출토된 유물로 금관, 관모, 관모장식을 말하는데 신라 금관 중 가장 먼저 발견되었다. 금관은 가운데에 ‘出’자(또는 나뭇가지 모양), 양쪽에 사슴뿔모양 장식이 있는 전형적인 신라금관이다. 신라금관은 5~7세기 신라 고분에서 발견되는 유물로 서봉총, 천마총 등 5개 이상 발견된 세계적 희귀한 형태의 유물이다. 사슴뿔과 나무가지를 형상화한 시베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