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보물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남한강 나룻터에서 이정표가 되었던 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다층전탑(보물)이다. 이 탑은 화강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벽돌로 몸돌을 쌓고 그 위에 화강암으로 만든 복발, 보개, 보주 등이 얹혀 있다. 기단부를 비교적 높게 쌓아 남한강을 비롯하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탑신 벽돌에는 연주문과 당초문을 조각해 놓고 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벽돌로 쌓은 전탑으로 조형미가 뛰어나지는 않다. 남한강 옆…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대리석으로 만든 화려했던 석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다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극락보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는 높이 3m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다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석탑이나 고려시대 경천사지 석탑 등에 비하면 아담해 보인다. 중국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도교풍의 장식이 많은 경천사지 석탑의 특징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세종대왕 영릉의 원찰 역할을 부여받으면서 불전들을 새로 지었던 성종 때 같이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서울 탑골공원에…

  • 고성 건봉사 능파교(보물)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건봉사 입구에 있는 능파교(보물)이다. 건봉사 경내 개천을 건너는 아치형 돌다리인 홍예교이다. 건봉사 불이문 옆 능파교신창기비에 적혀 있는 기록에 의하면 숙종 30년인 1707년 경에 지어졌다.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수차례에 걸쳐서 파손되어 중수가 이루어졌다. 2005년 10월에 복원된 것으로 너무 깨끗하게 복원되어 원래의 다리가 아닌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폭 3m에, 길이 14.3m이고 홍예…

  • 고성 육송정 홍교(보물), 건봉사 가는길에 있는 아치형 돌다리.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에 위치한 육송정 홍교(보물)이다. 홍예교(虹霓橋)라고도 부르는 아치형으로 쌓은 조선시대 돌다리이다.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와 탑현리 경계에 위치한 이 다리는강릉 이북 동해안 일대에서 가장 큰 고을이었던 간성군 관아에서 조선 4대 사찰이었던 금강산 건봉사로 들어가는 길에 세워졌다. 다리를 건립한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비슷한 형태인 건봉사 홍파교와 비슷한 시기인 숙종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육송정…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보물)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지에 쌍사자 석등(보물)이다. 이 석등은 무학대사의 사리를 모신 탑 앞에 세워져 있다. 두마리 사자상이 있어 석등을 받치고 있는 통일신라 석등 양식을 따르고 있다. 사각형을 하고 있는 화사석은 팔각형을 하고 있는 기존 석등과는 형식면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고려말 이후 볼 수 있는 석등의 양식 중 하나이다.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팔각형 석등에 비해서 조각수법이나 전체적인…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보물)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 절터 뒤편 언덕에 있는 무학대사탑(보물)이다. 태조 이성계의 조선 건국과 한양천도에 큰 역할을 했던 무학대사(1327~1405년)의 승탑이다. 탑은 팔각형으로 된 석탑위에 세워져 있다. 탑은 8각형의 기단위 탑신과 머리장식이 올려져 있다. 기단은 연꽃모양을 하고 있으며, 탑신 몸돌은 둥근 북모양을 하고 있는데 용과 구름이 입체감있게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목조건축물을 모방한 전형적인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 서울 흥천사명 동종(보물), 중국종 특징이 반영된 조선초기 동종

    서울 중구 정동 덕수궁 내에 있는 흥천사명 동종(興天寺銘銅鍾, 보물)이다. 덕수궁 광명문으로 사용했던 건물 안에 자격루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  세조 때 (1462년) 왕실에서 발원하여 조성한 것으로 덕수궁 부근에 있던 흥천사에 걸려 있던 것이다. 조선전기 왕실에서 발원하여 각분야의 기술자들이 대거 참여하여 만든 것으로 ‘흥천사’라는 명문이 있어 흥천사명 동종이라 부른다. 고려말 중국으로 부터 수용된 중국종의 특징이 한국 전통…

  • 여주 효종 영릉 재실(보물), 왕릉 재실의 모습을 잘 보존되어 있는 곳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 효종 영릉(사적) 능역에 있는 재실(보물)이다. 1673년 구리 동구릉에 있는 효종의 영릉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재실도 같이 옮겨왔다. 17세기에 지어진 건축물로 조선왕릉 재실 중 유릴하게 기본형태가 잘 남아 있으며, 공간구성과 건물배치가 잘 되어 있다. 건물은 산릉제례때 제관이 머무는 공간이자 능참봉이 집무를 보는 공간인 재방을 중심으로 향과 축을 보관하는 안향청,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

  •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보물)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건원릉에 있는 태조의 신도비(보물)이다. 이 비석은 태조 이성계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원릉을 조성한 이듬해 (1409년)에 세워졌다. 글자가 새겨진 비몸, 비석을 받치는 거북받침돌, 머릿돌이 잘 보존되어 있다. 비문은 개국공신인 권근이 짓고 음기는 변계량이 지었으며, 글씨는 정구와 성석린이 썼다. 명나라 석비의 전통을 받아 들여서 세원 비석으로 고려시대 비석의 다른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당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