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경복궁
-
경복궁 외조 – 광화문과 궁궐담장, 망루인 동십자각과 출입문들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法宮)으로 조선을 개국한 태조가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처음 지은 궁궐이다. 경복궁은 궁궐배치의 기준이 되는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의 원칙을 제대로 따르고 있다. ’3문3조(三門三朝)’의 원칙에 따라 국왕의 생활공간인 연조(燕朝), 국왕 집무공간인 치조(治朝), 신하들이 집무공간인 외조(外朝)가 담장으로 분리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경복궁 궁궐 경계에는 높은 담장을 쌓고 동서남북 네곳에 대문을 만들었다. 네곳의 대문은 음양오행설에 따라 봄-여름-가을-겨울과, 나무-불-쇠-물 등을…
-
경복궁 외조, 흥례문과 근정문(보물) 영역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으로 궁궐배치의 기준이 되는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의 원칙을 제대로 따르고 있다. 경복궁 ‘궁궐의 앞쪽에 정치를 하는 조정(朝廷)을 두고 뒷쪽에 국왕의 생활공간을 둔다.’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원칙에 따라 건물을 배치하고 있으며, ‘3문3조(三門三朝)’의 원칙에 따라 국왕의 생활공간인 연조(燕朝), 국왕 집무공간인 치조(治朝), 신하들이 집무공간인 외조(外朝)가 담장으로 분리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외조(外朝)는 신하들이 집무를 보는 영역을 말하는데, 법궁인 경복궁에서 외조는…
-
경복궁 외조 – 궐내각사와 수정전(보물)
궐내각사는 국왕을 직접 보필하는 기관으로 궁궐안에 설치된 관청을 말한다. 조선시대 궁궐내 설치된 관청으로는 국왕의 정치를 보좌하는 정책 연구기관인 홍문관, 국왕의 건강을 보살피는 내의원, 학술연구기관이자 서적을 출판을 관장하는 규장각, 왕의 칙령과 교서를 보관하는 예문관,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오늘날 비서실에 해당하는 승정원 등이 있다. 이들 관청들은 대부분 정전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수정전은 세종대의 전례를 본받고자 경복궁을…
-
경복궁 치조, 정전인 근정전과 조정
치조(治朝)는 궁궐에서 국왕이 신하들과 함께 공식적인 업무를 보는 공간으로 국가적인 행사기 치러지는 정전(正殿), 국왕이 일상적으로 업무를 보는 편전(便殿)을 일컫는다. 그 중 정전은 궁궐내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국가와 국왕의 권위를 상징한다. 유교국가였던 조선은 오례(五禮)라 일컫는 각종 의식을 중요시 여겼으며, 정전은 국가적인 행사가 거행되는 장소이다. 궁궐을 구성하는 다른 영역들은 궁궐마다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정전영역은 정전건물과 품계석이…
-
경복궁 편전, 국왕의 집무공간인 사정전 일원
경복궁 편전 영역인 사정전(思政殿) 일원은 정전인 근정전(勤政殿) 뒷편에 자리잡고 있다. 이궁(離宮)으로 처음 세워졌다가 임진왜란 이후 법궁(法宮) 역할을 했던 창덕궁은 편전인 선정전(宣政殿)이 협소하여 침전이었던 희정당(熙政堂)을 편전으로 같이 사용했던 반면, 경복궁은 법궁으로 국왕의 집무공간인 편전을 제대로 갖추고 있다. 경복궁 편전은 중앙에 사정전을 두고 양쪽에 부속건물이 온돌방이 있는 만춘전과 춘추전을 두고 있다. 사정전(보물)은 태조가 경복궁을 창건할 때 편전…
-
경복궁 침전(寢殿) 강녕전과 교태전, 국왕과 왕비의 생활공간
조선시대 궁궐은 삼조제도(三朝制度)에 따라 신하들이 업무를 보는 공간인 외조(外組), 국왕이 정무를 보는 공간인 정전(正殿)을 중심으로 한 치조(治朝), 국왕과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연조(燕朝)로 나눈다. 상왕이 거처할 이궁(離宮)으로 세웠던 창덕궁이 자연지세에 순응하여 유연한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면,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法宮)으로 삼조제도를 엄격히 따르고 있는 궁궐이다. 정문인 광화문에서 출발하여 정전인 근정전, 집무공간인 사정전(思政殿), 국왕의 침전이 강녕전(康寧殿), 왕비의 처소인 교태전(交泰殿)이 일렬로…
-
경복궁 경회루(국보)와 연못, 국왕이 개최하는 연회가 열렸던 공간
경복궁 경회루(慶會樓, 국보) 일대는 경복궁내에서 국왕의 업무공간인 편전과 생활공간인 침전 서쪽편에 있는 누각과 연못이다. 사신을 접대하거나 국가적으로 큰 행사가 있을 때 연회를 베푸는 공간으로 국왕이 자신의 집으로 손님을 초대한다는 의미가 있는 곳이다. 주위에는 사각형의 넓은 연못을 파고 인공섬을 조성하였는데, 천원지방(天圓地方)의 형식을 따르지 않고 사각형의 인공섬을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북경 자금성 서쪽편에 있는 북해공원의 엄청난 규모의…
-
경복궁, 흠경각과 함원전
국왕부부의 생활공간이었던 경복궁 침전이었던 강녕전과 교태전 서쪽편에는 행각으로 둘러싸여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2동의 전각이 자리잡고 있다. 앞쪽에는 세종이 장영실에게 명하여 설치한 천문시계인 옥루(玉漏)가 있었던 흠경각이 위치하고 있으며, 뒷편에는 세종 때 불상을 모셔두고 불교행사을 열기 위해 마련한 전각이 함원전이 있다. 하늘의 움직임을 관측하고 그 변화를 예측하는 천문학은 하늘과 소통하는 국왕의 권위를 보여주는 제왕의 학문으로 여겨졌다.…
-
경복궁 동궁 영역, 세자가 거처했던 자선당과 비현각
조선시대 궁궐은 왕권의 상징이자 정치의 중심인 정전을 궁궐 중심에 두고, 동쪽에는 차기 왕권을 상징하는 세자의 거처인 동궁을, 서쪽에는 국왕을 보필하는 관청인 궐내각사를, 뒷편에는 업무공간인 편전과 생활공간인 침전을 두고 있다. 동궁은 조선시대 법궁이었던 경복궁과 창덕궁에만 정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궁(離宮)이었던 창경궁과 경희궁에는 동궁을 별도로 배치하지 않고 당시 여건에 따라서 국왕의 거처로 마련했던 전각을 사용하기도 했다. <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