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중국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중국 고대문화(하,상,주,춘추전국,진,한)

    기원전 3,000 ~ 5,000 년 전 황하 유역에 번성했던 신석기 앙소문화(仰韶文化) 동아시아에서 가장 앞섰던 선사문화로 여겨진다. 중국에서 확인된 앙소문화유적의 2/5 정도인 2,000 여개의 유적이 섬서성에 분포하고 있는데, 바닥이 뾰족한 항아리와 도기가 유명하다. 섬서지역은 앙소문화의 중심지에 있었으며 인근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상호 작용을 통해 지역 간의 통일을 촉진했다. 앙소문화(仰韶文化)는 황하 중상류에서 발생한 신석기 문화이며, 이…

  • [중앙박물관특별전 중국고대청동기] 일상 속 청동기

    춘추전국시대를 지나면서 천자를 중심으로 한 신분질서는 느슨해지고 신분에 따른 사용을 규정한 열정제도도 지켜지지 않으면서 청동예기의 제작이 크게 줄어든다. 또한 철기가 대량생산되면서 무기나 공구 등은 철기로 대체된다. 반면에 일상 생활용품은 여전히 청동기로 제작되었다. 서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향로나 등잔, 사치품으로 사용된 거울이나 허리띠 등이 새로이 청동기로 만들어진다. 예기로 사용되었던 세발솥(鼎)이나 술통(壺) 등 여러 기물들도 일상생활…

  • [중앙박물관특별전 중국고대청동기] 신분에 따른 예기 사용

    청동예기는 하나라 때 고대국가의 형성과 함께 출현하였으며 하나라와 서주 이후 정치권력의 상징물이 되었다. <예기(禮記)>에 의하면 신분 계급에 따라 청동기의 매장 수량을 달리했는데 이를 열정제도(列鼎制度)라 한다. 천자는 9개의 정과 8개의 궤를, 제후는 7개의 정과 6개의 궤를, 경대부는 5개의 정과 4개의 궤를, 사는 3개의 정과 2개의 궤를 사용한다. 문헌에 따르면 천자는 9개의 정(鼎) 소, 양, 돼지, 생선,…

  • [중앙박물관특별전, 중국고대청동기] 청동기 문화의 시작

    고대 중국에서 지배층이 신분을 나타내거나 종묘와 궁궐 등에서 의식을 거행할 때 사용하는 도구를 예기(禮器)라 한다. 청동으로 만든 예기로는 곡식 등을 담는 그릇, 술잔, 솥 등이 있으며 신분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었다. 중국 역사와 문화를 관통하는 종묘와 왕실 의식의 유물인 예기는 중국은 물론 한반도에서도 고대국가에서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의 청동예기는 기원전 20세기 하나라 때부터…

  • 중국 둔황(敦煌), 서역으로 출발하는 실크로드 도시

    중국 간쑤성(甘肃省) 둔황(敦煌)은 간쑤성, 청해성(青海省), 신장 위구르자치구가 만나는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는 인구 19만의 지방소도시이다. 고대 실크로드에서 중국 밖(外地)으로 떠나는 출발지이자, 시안(長安)에서 옥문관까지 이어지는 길이 900 km 하서주랑(河西走廊) 서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기원전 111년 한무제가 실크로드를 개척하면서 둔황현(敦煌縣)을 설치하였으며 명나라 때 해상교역로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실크로드 관문도시로서 물자와 문화 교류의 중심지였다. 지금은 철도를 비롯한 주요 교통로에서 소외되어…

  • 중국 투루판(吐鲁番), 실크로드를 대표하는 도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투루판시(吐鲁番市)이다. 타틀라마칸 사막과 천산산맥 사이에 있는  투루판분지에 자리잡고 있다. 동서교역로였던 실크로도 북도에서 가장 큰 도시였으며, 북쪽 만년설이 쌓여 있는 천산산맥 흐르는 풍부한 수량에 의존해 살고 있다. 전한(前漢) 이후 차사전국(車師前國)이 자호허고성(交河故城)에, 당대에는 고창국(高昌國)이 가오창고성에 자리 잡았다. 당대 이후에는 위구르족이 터를 잡고 살아오고 있다. 투루판분지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여름에는 매우 더운…

  • 중국 우루무치(乌鲁木齐),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심도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심도시인 우루무치(乌鲁木齐, Ürümqi)이다. 중국 서부지역을 남북으로 가르는 천산산맥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업과 교통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고대 이래 동서교역로인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으로 문화적으로 중앙아시아 국가의 도시와 비슷하다. 인구는 350만 정로 한족(75%), 위구르족(13%), 후이족(8%)이 주를 이루며 카자흐족, 만주족, 몽골족, 우주벡족 등 다양한 소수민족들이 모여살고 있다. 바다에서 2,300 km 이상…

  • 우루무치 천산 천지(天山 天池), 천산산맥을 대표하는 풍경

    중국 신강 푸강시(阜康市)에 있는 천산 천지(天山 天池)이다. 신강 위구르 자치구 중심인 우루무치 일대에서 제일 유명한 명소로 세계자연유산, 국가AAAAA급 관광명소, 국가지질공원, 국가주요명승지 등 다양한 타이틀이 붙어 있는 곳이다. 천산산맥 보거다봉(博格达峰. 해발 5445 m) 북쪽에 위치한 천연호수로 울창한 숲, 눈덮힌 산과 빙하, 고산호수가 빼어난 경치를 만들고 있다. 호수는 해발 1,910 m의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3.5…

  • 우루무치 철와사(鐵瓦寺), 천산산맥 천지(天池)에 있는 도교사원

    중국 신강 푸강시(阜康市) 천지경광지구에 있는 도교사원인 철와사(鐵瓦寺)이다. 천산산맥 북쪽 중턱 해발 1990 m 천지(天池)호수가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실크로르에 있는 천산산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신성시되었던 장소에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몽골의 서역 원정 때 협조했단 지역 유력가 처음 세워졌다고 한다. 원래 복수사(福寿寺)라 불렸는데 청나라 때 청자벽돌과 철와를 사용하여 수리하면서 철와사리 불리게 되었다. 중국 문화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