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유적지

  • 성주 회연서원, 조선중기 유학자 정구를 모신 서원

    경북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에 있는 회연서원(檜淵書院)이다. 조선중기 유학자이자 문신인 한강 정구(寒岡 鄭逑, 1543~1620)를 모시기 위해 세워진 서원이다. 조선후기 인조 때 그가 후학을 양성하던 회연초당이 있던 자리에 처음 세워졌으며, 숙종 때 사액서원이 되었다. 구한말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가 1974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서원은 강학공간을 동쪽에, 제향공간인 사당을 서쪽에 두고 있는 동학서묘(東學西廟)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조선중기 성리학을 이끌었던 그의…

  • 합천 대야성, 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에 있었던 성

    경남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에 있는 대야성(大耶城)이다. 호남지방에서 경주로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어 삼국시대와 후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로 큰 전투가 있었던 곳이다. 백제 의자왕이 이곳을 함락하여 신라에 큰 타격을 주었다. 삼국통일 이후 군사적인 중요성이 없어졌다가 후삼국시대 견훤이 이곳을 거쳐 경주로 입성했다. 합천지역에는 대야성을 중심으로 신라가 쌓았던 크고 작은 산성이 많이 남아 있으며 군사적 충돌이 빈번했었다. 대야성은…

  • 합천 황매산 영암사지(사적), 석축을 쌓아 조성한 산지사찰을 대표하는 절터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황매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터인 영암사지(사적)이다. 사찰 건립 연대에 대해서 알려진 바는 없지만 고려초(1015년) 적연선사가 이곳에서 입적했다는 기록이 있다. 지리산과 가야산을 연결하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는데 신령스러운 곳으로 여겨졌던 모산재 바위산 아래 전망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사찰 건물배치나 독특한 건축방식 등으로 볼때 통일신라 말에 성행한 밀교와 관련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화엄십찰 중…

  • 울진 평해황씨 시조단

    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에 있는 평해황씨시조단이다. 관동팔경 중 한곳인 울진 월송정 소나무숲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는 평해황씨 시조인 황락의 제단비가 세워져 있으며, 주위에는 재실로 보여는 건물이 여러동 있다. 역사적인 사실이나 오래된 유적지는 아니고 평해황씨 문중에서 시조를 모시는 공간이다. 우리나라 황씨의 시조는 후한의 학사로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가 평해지역으로 흘러들어 신라에 귀화한 황락이라는 인물이다. 실제 문헌 등으로 확인된…

  • 안동 영호루, 공민왕 친필 현판이 걸려 있던 누각

    경북 안동시 정하동 낙동강 남쪽 강변에 있는 영호루(映湖樓)이다.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 남원 광한루와 함께 우리나라 4대 누각으로 불렸던 곳이다. 안동 도호부 관아에서 공식 행사를 위해 경치좋은 곳에 세웠던 누각으로 언제 처음 세워졌는지는 알려져 있지는 않다. 고려말 홍건적 침입때 공민왕이 안동으로 피난했을 때 자주 찾았던 곳으로 ‘영호루’라 적힌 글씨를 현판에 남겨놓았다. 홍수로 여러차례 유실과 중건을…

  • 영덕 운산서원, 영해지방을 대표하는 서원

    경북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에 있던 운산서원이다. 고려말 문신 백문보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영해 출신 유학자 백현룡을 모시기 위해 조선후기에 세워졌던 서원이다. 영해지방은 동해안에서 손꼽히는 넓은 평야가 있는 곳으로 종3품 부사가 고을수령인 도호부가 설치되었던 고장이다. 부근에는 괴시마을, 인량마을 등 양반들이 모여살았던 집성촌이 많으나 서원은 많지 않은 편으로 운산서원이 이 고장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건립 당시에는 사당,…

  • 영덕 괴시마을, 목은 이색 생가터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목은 이색 유적지이다. 이곳은 고려말 정치가이자 대유학자였던 목은 이색(1328 ~ 1396년)이 태어난 곳으로 영양남씨 집성촌인 괴시마을 뒷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그가 태어난 집터가 있는 곳으로 그를 기리는 기념관, 태어난 옛집인 무가정을 복원한 건물, 유허비가 남아 있다. 이색은 이곳에서 태어나 원나라에 유학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는 등 고려말 유학자이자 정치가로 신진사대부 세력을…

  • 영덕 괴시마을 물소와 서당, 남택만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작은 서당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마을에 있는 고택인 물소와 서당이다. 조선후기 좌승지를 지낸 물소와 남택만의 학덕을 기리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지은 서당이다. 19세기에 지어진 건물로 앞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자형 건물이다. 가운데 대청마루가 있으며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영덕 영해면에 있는 영양 남씨 집성촌인 괴시마을이다. 고려말 유학자 목은 이색이 태어난 곳으로 중국 괴시마을과 비슷하여 괴시(槐市)로…

  • 밀양 표충서원, 임진왜란 때 큰 역할을 했던 서산.사명.기허당을 모시는 서원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사찰 경내에 있는 표충서원(表忠書院)이다. 임진왜란 때 큰 역할을 했던 서산.사명.기허당을 모시기 위한 사당으로 처음 세워졌다. 1839년에 옛 절터가 있던 이곳으로 옮기면서 ‘표충(表忠)’이라는 사액을 받고 서원으로 바뀌었다. 구한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고 이후 복원되어 서원으로 유지되었다. 1971년 불교계의 요청으로 옛 서원건물을 사찰 경내로 옮기면서 팔상전으로 바꾸었으며 지금은 새로 지은 사당건물이 그 자리를 지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