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유적지
-
평택 평택향교, 옛 평택현 관할 중등교육기관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에 있는 평택향교이다. 과아가 있던 팽성읍 객사에서 서쪽으로 600여 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작은 고을이었던 평택현 관할 중등교육기관으로 향교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강당인 대성전과 기숙사인 동.서재가 있는 강학공간을, 뒷쪽에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이 있는 제향공간을 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평택현은 오늘날 팽성읍 주변지역을 관할하던 작은 고을로 오늘날…
-
충청도 평택현 관아, 팽성읍 객사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에 남아 있는 옛 평택현 관아터에 객사건물이 남아 있다. 객사는 가운데 국왕을 상징하는 ‘궐패(闕牌)’를 모시는 앞면 3칸규모의 중대청을 두고 있으며, 양쪽에 3칸 규모의 동.서헌을 두고 있다. 동.서헌은 이 고장을 방문한 관리들이 머무는 숙소로 방1칸과 연회를 할 수 있는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다. 그 규모와 형태가 평균적이고 조선후기 객사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
아산 공세곶고지, 충청지역 세금으로 걷은 곡식을 보관하던 창고터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있는 공세곶고지이다. 이곳은 충청지역에서 세금으로 걷어들인 곡식을 모아서 보관했던 창고인 공진창이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 조운선을 이용하여 한양으로 운송했는데 세곡선 외에 한양으로 향하는 주요 물자들도 같이 운송했던 교통 중심지였다. 이곳에는 조운을 담당하던 해운판관을 비롯하여 720명의 담당자들이 있었고, 80칸의 창고, 적재량 800석의 큰 배가 15척이 있었다고 하며,민간에서 운용하던 배나 인력 또한 많았을 것으로…
-
아산 김옥균 유허, 그가 묻힌 무덤
충남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에 있는 김옥균 유허이다. 이곳에는 그의 무덤과 그를 기리는 작은 사당이 세워져 있다. 그의 양자였던 김영진이 194년 아산군수로 재임할 때 일본 도쿄 청산외인무덤에 있었던 그의 무덤을 이곳으로 옮겨와 부인 유씨와 합장하였다. 무덤이 있는 곳은 옛 아산현 읍치 뒷편 작은 동산에 위치하고 있다. 일본과 협력하여 개화운동을 했던 까닭에 일제강점기에 그의 양자가 아산군수를 지내면서…
-
충청도 아산현 관아, 출입문이었던 여민루
충남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에 있는 옛 아산현 관아터이다. 관아터에 영인초등학교가 들어서 있으며 관아 출입문인 여민루(慮民樓)만이 남아 있다. 객사, 동헌, 내아 등 관아건물들은 모두 초등학교 건물로 바뀌었다가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관아 아문인 여민루는 앞면3칸, 옆면2칸의 2층 문루건물이다. 조선 태종대 처음 세워졌으며, 현재의 건물은 구한말에 새로 지은 것으로 당시의 건축양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아산현(牙山縣)은 아산시 영인면, 인주면,…
-
아산 온양향교, 옛 온양군 중등교육기관
충남 아산시 읍내동에 있는 조선시대 지방 중등교육기관인 온양향교이다. 온양군 읍치 관아에서 약 200 m 정도 떨어진 나즈막한 산자락 아래 양지 바른 곳에 자리잡다. 조선중기 광해군 때 현재의 위치에 자리잡은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으며, 명륜당은 앞면 5칸, 대성전은 앞면 3칸 규모를 하고 있는 평균적인 규모의 향교이다. 유생들이 기숙사로 동재만 있었는데 최근에…
-
충청도 온양군 관아, 동헌과 온주아문
충남 아산시 읍내동에 옛 온양군 읍치에 남아 있는 관아 건물이다. 건물로는 온양군수가 근무하던 동헌과 관아 출입문인 온주아문이 남아 있으며, 아문 앞에는 온양군수와 충청도 관찰사를 지냈던 인물들의 송덕비 등이 세워져 있다. 동헌은 앞면 6칸 규모 건물로 가운데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온돌방과 마루방을 두고 있다. ‘온주아문’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 아문은 앞면 3칸의 2층 문루이다. 건물들은 구한말에 새로…
-
홍성 성삼문 유허, 성삼문 태어난 외가 마을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상리마을에 있는 성삼문 유허이다. 그의 외가가 있던 마을로 “아이를 낳았느냐”고 하늘에서 세번 물었다는 출생에 얽힌 이야기가 남아 있는 장소이다. 단종복위를 꾀하다 처형되어 그가 태어난 집은 없고 그 터만 남아 있다. 조선 숙종때 그를 기리기 위해 노은서원이 세워졌으며, 송시열이 비문을 지은 휴허비가 세워졌다. 구한말 서원철폐령으로 노은서원은 없어지고 대신 위패를 묻은 노은단이 세워졌으며,…
-
홍성 홍주향교, 홍주목 중등교육기관
충남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에 있는 홍주향교이다. 홍주목 관아에서 운영했던 조선시대 중등교유기관으로 읍치였던 홍주읍성에서 북쪽으로 약 1 km 정도 떨어진 낮은 구릉에 위치하고 있다. 홍주향교는 고려말에 처음 세워졌다고 전해지며, 현재의 건물들은 구한말 구한말 목사 한응필이 읍성을 비롯하여 대대적인 수리공사를 할 때 같이 수리한 건물들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교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