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유적지
-
화순 대곡리 유적지, 청동팔령구을 비롯하여 청동기 시대 유물(국보)이 출토된 곳
전남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에 있는 청동기, 초기철기시대 유적지이다. 이곳에는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은 쌍두령, 팔두령 등 여러점의 청동기유물(국보)이 출토된 곳이다. 1971년 마을주민이 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두차례의 발굴.조사과정에서 통나무관을 사용한 적석목관묘로 추정되는 무덤을 확인하였다. 1971년에 세형동검 3점, 청동도끼 1점, 청동손칼 1점, 잔무늬거울 2점, 청동팔령구 2점, 청동쌍령구 2점이 출토되었으며, 2008년에 세형동검 2점이 추가로 출토되었다. 대곡리유적지는 화순…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대산리마을 부근 감태바위 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감태바위 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고인돌 중 보검재 고개를 넘어 춘양면 대산리마을 인근에 흩어져 있는 140기의 고인돌이다. 그중 마당바위 고인돌은 길이 6.5 m로 넓은 덮개돌로 고갯길을 지나가던 사람들이 잠시 쉬어갔던 곳을 보인다. 마을 뒷편 감태바위 주변에는 바둑판식 고인돌을 비롯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고인돌들이 좁은 지역에 밀집해 있으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핑매바위 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사적) 중 핑매바위 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고인돌 중 보검재 고개를 지나 핑매바위까지 주변에 흩어져 있는 133기의 고인돌군을 말한다. 핑매바위는 길이 7 m, 높이 4 m의 거대한 고인돌로 오래세원 이 고갯길의 이정표가 되어왔다. 주변에는 많은 고인돌들이 흩어져 있으며 뒷편에는 돌을 채취했던 채석장이 보인다.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은 화순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달바위 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달바위 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대산리로 넘어가는 보검재 고개 아래에 있는 40기의 고인돌들이다. 주변에 있는 고인돌군 중에서는 그 규모가 작은편이다. 고갯길 아래쪽에 큰 규모의 고인돌인 달바위가 있고 주변에 작은 고인돌들이 줄지어 있다. 맞은편 높은 언덕에는 고인돌 채석장이 보인다.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은 화순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관청바위 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관청바위 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계곡 중간쯤 저수지 부근에 분포하고 있는 190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계곡 북쪽 언덕을 따라 많은 고인돌들이 밀집하여 규칙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들은 대부분 4각형의 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형태를 하고 있다. 뒷편 언덕에는 떼었던 큰 채석장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전남 화순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모산마을 부근 괴바위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괴바위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화순군 효산리 모산마을 부근에 분포되어 있는 47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유적지 입구에는 고인돌이 조성되었던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를 재현해 놓은 체험장이 있고 춘양면으로 연결되는 길옆 언덕에 고인돌들이 분포되어 있다. 그 중 괴바위 고인돌은은 길이 5.3 m, 폭 3.6 m의 거대한 고인돌로 다른 고인돌에…
-
영월 창절사(彰節祀), 사육신을 비롯하여 10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창절사(彰節祀)이다. 조선전기 단종 복위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육신과 김시습.남효온.박심문.엄홍도 등 10명의 위패를모신 사당이다. 원래는 단종의 장릉 능역 내에 세워졌던 사육신을 모신 육신사에서 시작되었다. 숙종때 단종이 복위되면서 왕릉 밖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이후 ‘창철사’라는 사액을 받으면서 김시습, 남효온, 박심문, 엄홍도가 추가로 배향되었다. 고종 때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국 47개 서원 중…
-
구리 동구릉 경릉(景陵, 사적), 조선 24대 헌종과 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능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사적)에 있는 경릉(景陵)이다. 조선 24대 헌종과 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능이다. 왕과 왕비들의 능이 나란히 배치된 삼연릉이다. 헌종은 구한말 세도정치가 절정에 달했던 시기를 보냈던 왕으로 어린 시절에 왕위에 올라 권문세가에 시달렸던 대표적인 왕이다. 후사가 없어 강화도령이라 불렸던 철종이 왕위를 이었다. 효현왕후 사후 선조의 목릉(穆陵)이 있었던 자리에 별도 능역을 조성하지 않고 이곳에 왕릉을…
-
중국 베이징 명13릉 정릉(Dingling, 定陵), 명나라 13대 신종 만력제의 능
중국 베이징 명13릉에 있는 정릉(Dingling, 定陵)이다. 명나라 13대 신종 만력제(萬曆帝, 1563~1620년)의 능이다. 명13릉은 만리장성이 있는 천수산록 아래 창평구에 위치하고 있는 명나라 13명 황제의 능이 있는 곳이다. 대부분 개방되어 있지 않으며, 영락제의 장릉. 윤경제의 소릉. 만력제의 정릉 만이 일반에 공개되어 있으며 그 중 정릉은 시신이 묻혀 있던 내부 지하궁전도 공개되어 있다. 중국 황제의 능은 조선 왕릉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