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유적지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관청바위 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관청바위 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계곡 중간쯤 저수지 부근에 분포하고 있는 190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계곡 북쪽 언덕을 따라 많은 고인돌들이 밀집하여 규칙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들은 대부분 4각형의 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형태를 하고 있다. 뒷편 언덕에는 떼었던 큰 채석장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전남 화순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모산마을 부근 괴바위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괴바위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화순군 효산리 모산마을 부근에 분포되어 있는 47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유적지 입구에는 고인돌이 조성되었던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를 재현해 놓은 체험장이 있고 춘양면으로 연결되는 길옆 언덕에 고인돌들이 분포되어 있다. 그 중 괴바위 고인돌은은 길이 5.3 m, 폭 3.6 m의 거대한 고인돌로 다른 고인돌에…
-
영월 창절사(彰節祀), 사육신을 비롯하여 10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창절사(彰節祀)이다. 조선전기 단종 복위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육신과 김시습.남효온.박심문.엄홍도 등 10명의 위패를모신 사당이다. 원래는 단종의 장릉 능역 내에 세워졌던 사육신을 모신 육신사에서 시작되었다. 숙종때 단종이 복위되면서 왕릉 밖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이후 ‘창철사’라는 사액을 받으면서 김시습, 남효온, 박심문, 엄홍도가 추가로 배향되었다. 고종 때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국 47개 서원 중…
-
구리 동구릉 경릉(景陵, 사적), 조선 24대 헌종과 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능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사적)에 있는 경릉(景陵)이다. 조선 24대 헌종과 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능이다. 왕과 왕비들의 능이 나란히 배치된 삼연릉이다. 헌종은 구한말 세도정치가 절정에 달했던 시기를 보냈던 왕으로 어린 시절에 왕위에 올라 권문세가에 시달렸던 대표적인 왕이다. 후사가 없어 강화도령이라 불렸던 철종이 왕위를 이었다. 효현왕후 사후 선조의 목릉(穆陵)이 있었던 자리에 별도 능역을 조성하지 않고 이곳에 왕릉을…
-
중국 베이징 명13릉 정릉(Dingling, 定陵), 명나라 13대 신종 만력제의 능
중국 베이징 명13릉에 있는 정릉(Dingling, 定陵)이다. 명나라 13대 신종 만력제(萬曆帝, 1563~1620년)의 능이다. 명13릉은 만리장성이 있는 천수산록 아래 창평구에 위치하고 있는 명나라 13명 황제의 능이 있는 곳이다. 대부분 개방되어 있지 않으며, 영락제의 장릉. 윤경제의 소릉. 만력제의 정릉 만이 일반에 공개되어 있으며 그 중 정릉은 시신이 묻혀 있던 내부 지하궁전도 공개되어 있다. 중국 황제의 능은 조선 왕릉에…
-
남양주 사릉(思陵, 사적), 조선 6대 단종 비 정순왕후의 능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에 있는 사릉(思陵, 사적)이다. 조선 제6대 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능이다. 정순왕후는 1968년(숙종 24)에 단종이 왕으로 복위되면서 ‘정순왕후’라 봉해졌고 평생 단종을 생각하며 일생을 보냈다 하여 능호를 ‘사릉(思陵)’이라 붙였다. 추존왕이나 단종의 장릉과 마찬가로 사릉에는 병풍석과 난간이 설치되지 않았으며, 석물 중 무석인은 생략되었다. 정순왕후는 1440년(세종 22)에 태어나 1454년(단종2)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긴 뒤…
-
구리 동구릉 숭릉(崇陵, 사적),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사적)에 있는 숭릉(崇陵)이다.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이다. 왕과 왕비의 능이 나란히 배치된 쌍릉이다. 숭릉은 산릉제례 공간인 정자각 양쪽에 통로 역할을 하는 익랑을 두고 있으며, 툇간 역할을 하는 배위청도 3칸이다. 이는 효종 영릉 천장과 숭릉 조성 시기가 겹치면서 국장을 간소하게 치르기 위해 임시빈전을 세우지 않고 정자각을 크게 지어 빈전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같은…
-
안성 봉업사지, 고려 태조 진영을 모셨던 사찰 터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인 봉업사지(奉業寺址)이다. 오층석탑(보물)과 당간지주가 남아 있어 옛 절터였음을 알 수 있고, 대부분은 농경지로 사용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고려 태조 진영을 모셨던 비봉산 아래 봉업사’라는 기록과 <고려사>에 ‘공민왕이 죽주에 이르러 봉업사에서 태조의 진영을 알현했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 1966년에 ‘봉업사’라는 사찰이 이름이 적힌 향완과 반자가 발굴되어 문헌에 기록되어 있던 봉업사가 이 곳이라는…
-
고성 건봉사지, 조선 4대 사찰이었던 건봉사 옛 절터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냉천리에 있는 건봉사 옛 절터이다. 건봉사는 북쪽편에 대웅전 영역, 남쪽편에 극락전 영역, 서쪽편에 낙서암과 사리탑을 두고 있는 가람배치를 하고 있었다. 한때는 3,183칸의 규모를 자랑하기도 했으나, 여러차례의 화재로 소실과 중건을 거듭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약 642칸의 전각을 두고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궁궐이 999칸 규모를 였던 것으로 볼 때 엄청난 규모의 사찰이었다. 한국전쟁 때 전각 대부분이 소실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