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유적지
-
김포향교, 옛 김포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김포시 읍내 김포동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 중등교육기관인 김포향교이다. 원래는 김포시청이 있는 김포 장릉 부근에 있었는데, 인조의 아버지인 정원군(추존왕 원종)의 무덤이 장릉을 조성하면서 걸포동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건물들은 그 내력이 적혀 있지 않는 것으로 볼 때 구한말에 이곳으로 옮기면서 새로 지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건물들은 1980년대에 원래의 건물을 크게 수리하였다.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쪽에, 제향공간인…
-
서울 양천향교, 양천현 관아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양천향교(陽川鄕校)는 서울에 있는 유일한 향교이다. 현재의 건물은 옛터에 1981년에 복원한 것이다. 양천현 관아가 있었던 궁산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양천향교는 강학공간을 앞에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두고 있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수도인 한양의 동.서.남.중에 설치한 성균관의 부속기관인 사부학당이 있었고, 서울 주변 토지는 서울의 권문세가의 땅이었기때문에 향교에 대한 수요는 별로 많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래고 법령에 정한바가…
-
성균관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 비천당
성균관 강학공간은 강당인 명륜당을 중심으로 유생들이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를 강당 앞 마당에 두고 있다. 강학공간 부속 건물로는 장서를 보관하는 대학도서관의 효시에 해당하는 존경각(尊經閣)과 심신을 단련하는 활과 화살을 보관하는 보관하는 육일각(六一閣)을 강당 뒷편에 두고 있다. 그리고 성균관 관리들이 근무하는 정록청(正錄廳,), 서리들이 근무하는 서리청(書吏廳), 식당 등 성균관 유생들을 지원하는 사람들이 근무하는 건물들은 동재 바깥쪽에 배치하고 있다. 한편…
-
성균관 전사청과 수복청,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
성균관(成均館)은 중앙정부에서 운영했던 문묘(文廟)답게 사당을 관리하고 제사를 준비하던 공간이 대성전 서쪽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이는 향교나 서원에서 볼 수 없는 공간배치이다. 성균관에서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으로 전사청(典祀廳), 수복청(守僕廳), 제기고(祭器庫)가 있다. 전사청은 1년에 2번 제사를 올리는 석전대제(釋奠大祭)을 준비하는 공간이다. 수복청은 대성전을 관리하는 노비들이 숙식하는 공간이고, 제기고는 제사에 필요한 제기들을 보관하는 창고이다. 전사청이나 수복청같은 시설들은 일반 향교나 서원에서도…
-
서울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제기동에 있던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이다. 1900년대 초에 지어진 한옥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등지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건물 뒷편에 사당이 있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한건물로 이어저 ‘-‘자형을 이루고 그 앞에 행랑채가 연결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왼쪽은 여자들이 생활공간인 안채, 오른쪽은 남자들의 공간인 사랑채 영역이다. 중앙에는 가운데 마당과 대청으로 통하는 문이 있다. 이 가옥은 전통 한옥에서는 찾아볼 수…
-
경기도 안성군 관아, 고려 주심포양식이 남아 있는 안성객사
안성시에는 남아 있는 조선시대 안성군 관아의 중심이 되는 객사(客舍)와 중등교육기관인 향교가 옛 관아의 흔적으로 남아 있다. 객사는 국왕의 궐패를 모시고,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중앙관리가 잠시 머무는 숙소역할을 하는 곳으로 각 지역마다 해당 지역의 규모에 걸맞는 규모의 객사를 갖추고 있었는데, 안성은 전국에서 평균 정도 규모의 객사를 갖추고 있었다. 원래 안성읍내에 있던 것을 이곳저곳 옮겨다니다 1995년 수리.해체를…
-
수원 화령전(사적), 정조대왕 어진을 모신 영전
수원 화성행궁에서 정전에 해당하는 봉수당 오른쪽에는 각종 연회나 행사가 열리던 화성행궁내에서 유일하게 남은 건물인 낙남헌과 오래된 목조 건물을 중심으로 한 건물군인 화령전(華寧殿, 사적)을 볼 수 있다. 이 곳은 수원화성과 행궁을 건설한 정조의 어진(御眞)을 모신 영전(影殿)으로 정조의 아들인 순조가 화성에 모셔진 정조의 건릉(健陵)과 사도세자의 (隆陵)을 참배할 때 문안을 올리기 위해 세었다고 한다. 화령전은 정조의 어진을 모신…
-
수원부 관아, 낙남헌과 득중정
화성행궁에 속해 있던 많은 전각 중에서 원래 있던 건물 중 거의 유일하게 남아 있는 낙남헌(落南軒)이다. 낙남헌은 행궁 북쪽편에 위치한 건물로 화성유수가 손님을 접대하거나 연회가 펼쳐지던 곳으로 관아에서 누각이라 할 수 있다. 화성행궁 누각인 낙남헌은 실제로는 수원유수가 사용하기 위해 세운것이 아니라 국왕이 행차할 때 사용하기 위한 건물이다. 낙남헌은 넓은 마루가 있고 앞 쪽에는 마당이 있어 행사하기…
-
수원부, 부속관청과 장용외영
화성행궁은 정조가 현륭원 행차시 임시로 머물던 행궁으로 전국에서 가장 규모가 컸던 곳이다. 이곳은 국왕 행차시 머무는 행궁과 수원유수가 근무하던 수원부 관아, 그리고 정조의 친위부대라 할 수 있는 장용영 군사들이 머물던 군영의 역할을 같이 하던 곳이다. 정조가 화성축성을 끝냈을 무렵에는 전체 430칸으로 궁궐에 버금가는 규모의 행궁이 완성되었다. 화성행궁은 일제강점기에 낙남헌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이 허물어졌다. 현재의 건물들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