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탑/승탑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보물), 고려시대 팔각석탑을 계승한 조선초기 석탑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운길산 수종사에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조선전기에 조성된 석탑으로 중국의 영향을 받은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을 축소한 형태를 하고 있다. 탑의 기단부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불상 대좌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탑신은 팔각모서리에 기둥을 새겨놓은 것 외 특별한 장식은 없다. 조각수법은 세밀하거나 정교하지 않으며, 장식적인 용도로 바뀐 조선전기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원래 수종사 동쪽…

  •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보물)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봉업사지 절터에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고려초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며 ‘봉업사’라 적힌 청동제 반자가 발견되어 봉업사지 오층석탑이라 부른다. 이 석탑은 단층 기단위에 5층 탑신이 올려져 있는 정형화된 고려시대 오층석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을 크게 만들어져 기단의 역할을 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나 탑신 몸돌에 특별한 장식이 없으며,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겨 놓고…

  •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보물), 고려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조선초기 다층석탑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낙산사에 있는 칠층석탑(보물)이다. 낙산사를 창건한 통일신라 때 삼층석탑을 조선초 세조가 중건하면서 칠층석탑으로 만들었다. 중국의 영향을 받은 고려 석탑 양식이 적용된 석탑이다. 기단부는 정사각형으로 지대석이 놓여 있는데 윗면에 겹연꽃 무늬를 장식하고 있으며, 탑신부는 조선시대 다층석탑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상륜부에는 청동 복발.보륜 등을 장식하고 있다. 상륜부 형식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라마탑과 닮은 장식들의…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보물), 고려말 승려 나옹선사 승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보제존자 석종(보물)이다. 고려말을 대표하는 승려로 신륵사를 크게 중창시킨 나옹선사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이다. 통일신라 이래로 정형화된 목조 건물 형태 승탑과는 달리 인도의 승탑인 스투파와 비슷한 형태이다. 종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석종형부도’라 불리며 사각형으로 생긴 넓은 기단 위에 화강석으로 만든 승탑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 정면과 좌.우에 계단이 놓여 있다. 장식성이 강하고 화려한…

  •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남한강변 바위에 올려진 작은 석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남한강변 바위에 단층기단과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탑으로서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기 보다는 남한강을 오가는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장식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형적인 고려 석탑으로 크기도 작고,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긴것 외에는 장식을 거의 하지 않았다. 크기는 작지만 남한강을 배경으로 바위에 올려진 작은 이 탑은 신륵사를…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남한강 나룻터에서 이정표가 되었던 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다층전탑(보물)이다. 이 탑은 화강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벽돌로 몸돌을 쌓고 그 위에 화강암으로 만든 복발, 보개, 보주 등이 얹혀 있다. 기단부를 비교적 높게 쌓아 남한강을 비롯하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탑신 벽돌에는 연주문과 당초문을 조각해 놓고 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벽돌로 쌓은 전탑으로 조형미가 뛰어나지는 않다. 남한강 옆…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대리석으로 만든 화려했던 석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다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극락보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는 높이 3m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다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석탑이나 고려시대 경천사지 석탑 등에 비하면 아담해 보인다. 중국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도교풍의 장식이 많은 경천사지 석탑의 특징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세종대왕 영릉의 원찰 역할을 부여받으면서 불전들을 새로 지었던 성종 때 같이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서울 탑골공원에…

  • 양주 회암사지 나옹선사탑과 석등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지에 있는 나옹선사탑과 석등이다. 무학대사탑, 지공선사탑과는 달리 탑비는 옆쪽 언덕에 세워져 있다. 명성에 비해서 승탑은 단촐하면서도 소박한 느낌을 주고 있다. 팔각형을 기본으로 목조건축물을 모방한 전형적인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몸돌과 받침돌에 조각을 새겨놓지 않는 등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다. 석등은 4각형을 기본으로 장식이 없는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다. 고려초기 승탑과 석등에 비해서…

  • 양주 회암사지 지공선사탑, 석등, 탑비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지에 있는 지공선사탑과 석등, 탑비이다. 회암사를 창건한 인도인 승려 지공선사의 사리를 모신 것으로 탑, 제단, 석등, 탑비가 제대로 구성되어 있다. 8각을 기본으로 한 전형적인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화려한 조각이 새겨져 있는 고려초기 승탑과는 달리 장식 없이 돌을 쌓아 놓은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다. 석등은 4각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장식이 없고, 석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