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세계여행

  • [일본 도쿄] 센소지(浅草寺) 오층탑

    일본 도쿄 센소지浅草寺에 있는 오층탑이다. 942년에 처음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면 1648년에 오층탑으로 중건되었다. 에도시대에 중건되었던 오층목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2차세계대전 때 도쿄대공습으로 소실된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겨 철근 콘크리트조 건물로 재건하였다. 전제 높이는 약 48m 정도이다. 탑의 최상층에는 스리랑카에서 옮겨온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재건된 건물이기는 하지만 도쿄를 대표하는 상징 중 하나로 손꼽힌다. 센소지(浅草寺)는 도쿄에서 가장…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제 3탑문 안뜰, 투트모스 1세 오벨리스크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대열주실을 지나 제3탑문과 제4탑문 사이에 있는 안뜰이다 .제3탑문을 나서면 정면으로 2개의 거대한 오벨리스크를 볼 수 있고 남쪽으로 멀리 여러 탑문들이 보인다. 안뜰은 두 개의 수직 행렬 축, 즉 주요 동서 축과 룩소르신전 방향으로 난 남북 축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다. 안뜰에는 여러개의 오벨리스크가 세워져 있었는데 그중 투트모스 1세의 오벨리스크가 남아 있다. 제4탑문은…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대열주실(Great Hypostyle Hal)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카르나크신전 큰 안뜰 안쪽에 있는 제2탑문(Second Pylon)과 대열주실(Great Hypostyle Hal)이다. 하이포스타일(Hypostyle) 양식은 거대한 기둥이 지붕을 받치고 있는 건축 양식으로 이집트 신전을 비롯하여 파르테논 신전의 기둥, 바티칸의 성베드로 성당, 이슬람 모스크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큰 대열실주실이다. 파피루스 꽃을 표현하고 있는 134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열주실의 기둥들은 규모나…

  • [이집트 신전] 룩소르 카르나크 신전 – 1번째 탑문, 큰 안뜰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이집트 룩소르에 있는 카르나크신전 (The Karnak Temple Complex)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신전으로 일반적으로 카르나크(Karnak)로 잘 알려져 있다. 많은 신전(temple), 탑문(Pylon), 성소, 다양한 용도의 건물 등으로 구성된 복합 신전이다. 기원전 2000년부터 건립되기 시작하여 증축과 개축이 계속되어 왔다. 현재이 신전 건물은 신왕국시대부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걸쳐 건립된 건물이다. 10개의 탑문, 람세스 1세부터 람세스3세 때…

  • [도쿄국립박물관] 에도시대의 우키요에

    우키요에浮世絵에 일본 에도시대에 성립한 회화 장르의 하나이다. 여러 그림 장르 중 에도시대 쇠퇴하였던 풍속화를 서민들이 그리면서 우키요에의 원류가 형석되었다. 우키요에는 붓으로 그린 육필화와 목판화가 있다. 목판화는 기획, 그림, 조각, 인쇄가 분업화되면서 저렴한 가격에 대량생산하게 되었다. 소재는 가부키나 유곽 등의 여자를 소재로 그린 경우가 많았으며 명소를 그린 풍경화 등 다양한 소재가 그려졌다. 19세기 후반 파리만국박람회에 우키요에가…

  • [이집트 신전] 에드푸신전(Temple of Edfu), 호루스신에 바쳐진 신전

    이집트 에드프시에 있는 ‘에드푸신전(Temple of Edfu )’이다. 프톨레마이오스왕조 시기인 기원전 57년에 세워졌다. 1798년 프랑스 원정대가 흙속에 묻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이집트 사원 중에 가장 보존 상태가 좋은 사원 중 하나이다. 덴델, 에스나, 콤옴부, 필레 신전과 프톨레마이오시 왕조시기에 세워진 사원 중 하나로 호루스신에게 바쳐진 대표적인 신전으로 손꼽힌다. 신전 부조벽화는 헬레니즘 시대의 언어, 이집트…

  • [이집트 신전] 콤옴보신전(Kom Ombo Temple), 호루스신과 소베크신의 타협의 산물

    이집트 아스완 지역 콤옴보시에 있는 ‘콤옴보신전(Kom Ombo Temple)’이다. 프톨레마이오스왕조 시기인 기원전 180~ 47년에 세워졌으며, 로마시대에 일부 증축되었다. 콤옴보신전은 ‘악어의 신’ 소베크(Sobek)와 호루스(Horus)를 같이 모시는 신전으로 호루스신과 소베크신의 타협의 산물이다. 안뜰, 홀, 성보와 방이 똑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이중 신전’이다. 현재 신전 대부분은 지진 등으로 파괴되어 ‘원기둥이 있는 큰 홀(열주실)’과 탑문 등 일부만 남아 있다. 아스완에서…

  • [이집트 카이로] 콥트 카이로 성조지 교회

    이집트 카이로에 있는 ‘성조지 교회(The Church of St. George)’이다. 카이로의 콥트 카이로에 바빌론요새와 함께 있는 그리스 정교회 소속 교회이다. 이 교회는 10세기 이전에 세워졌으며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소속 수도원에 속한 교회이다. 현재의 건물은 1904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09년에 재건한 것이다. 성조지 (Saint George)는 기독교 성인으로 칼이나 창으로 용을 찌르는 말을 탄 기사의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 [이집트 카이로] 바빌론 요새(Babylon Fortress)

    이집트 카이로에 있는 ‘바빌론 요새Babylon Fortress이다. 오늘날 올드카이로에 위치하고 있는 요새로 300년 경 나일강과 홍해를 연결하는 고대 운하를 지키기 위해서 세워졌다고 한다. 이곳은 하이집트와 상이집트의 경계였던 곳으로 나일강을 오가는 선박들에게 통행세를 걷었다고 한다. 동로마시대의 반란과 아랍세력을 정복 등 다양한 역사와 콥드쿄 수녀원, 성조지 교회, 콥트 박물관 등 이집트 콥트교 유적 등 많은 유적들이 남아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