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고구려 산성, 고구려는 북방유목민들과 투쟁을 통해 효과적인 방어체제로 많은 산성을 쌓았다. 한반도에서도 한강유역을 다투던 시기에 크고 작은 산성과 보루(요새)들이 세워졌으며, 고구려의 산성은 신라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고려, 조선을 거치면서 대표적인 군사방어체제가 되었다.

  1. 사적  연천 호로고루
  2. 사적  연천 당포성
  3. 사적  연천 은대리성
  4. 사적  충주 장미산성
  5. 사적  용마산 보루
  6. 사적  아차산 4 보루, 
  7. 사적  아차산 1,3, 5 보루

백제 토성과 산성. 백제는 중국,일본과의 해상무역을 통해서 성장한 국가이다. 삼한시대나 가야연맹체와 마찬가지로 백제는 큰 강 주변 늪지에 토성을 쌓고 교역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성백제기 왕성으로 추정되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대표적이다. 이후 고구려의 압박을 받아 공주와 부여로 천도한 이후에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아 왕성 주변에 산성을 쌓아 방어력을 보완했던 것으로 보인다.

  1. 사적 서울 풍납동 토성, 남쪽과 동쪽 성벽
  2. 사적 서울 풍납동 토성, 북쪽 성벽
  3. 사적 서울 몽촌토성
  4. 사적 공주 공산성
  5. 사적 고양 행주산성
  6. 파주 육계토성, 임진강 남쪽에 위치한 백제계 토성
  7. 사적 파주 오두산성
  8. 사적 부여 부소산성 (사적), 사비 왕성 배후 산성
  9. 부여 나성 (사적), 백제 수도 사비를 둘러싸고 있는 도성
  10. 사적 부여 가림성 
  11. 사적 부여 청산성, 부여 나성의 방어를 보완하기 위해 쌓은 산성
  12. 사적 예산 임존성
  13. 사적 익산 토성
  14. 사적  논산 노성산성
  15. 나주 자미산성, 삼한시대 마한 유력세력 근거지에 남아 있는 산성

신라.통일신라, 신라 초기는 백제와 마찬가지로 경주 월성이나 대구 달성 같은 교통요지의 낮은 구릉에 읍성 성격의 토성을 주로 쌓았다. 삼국이 패권을 다투던 시기 신라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아 경주 주변을 중심으로 산성을 쌓기 시작했으며, 삼국통일 후 나당전쟁의 과정에서 전국의 주요 거점에 산성을 쌓아 북방민족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신라가 쌓은 산성은 고려시대까지 사용되었다. 몽골과의 전쟁 이후 많은 산성들이 허물어지고 사용되지 않다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일부는 보수하여 사용하였다.

  1. 사적 경주 월성
  2. 사적 대구 달성 
  3. 경산 임당토성과 저습지 유적
  4. 사적경주 명활성 
  5. 사적 관문성
  6. 사적 보은 삼년산성
  7. 사적  포천 반월성
  8. 사적  파주 칠중성
  9. 강화 교동도 화개산과 화개산성 터
  10. 강화 정족산성(삼랑성), 서문에서 동남쪽 치성(雉城)까지
  11. 강화 정족산성(삼랑성), 남문인 종해루와 주변 성벽
  12. 강화 정족산성(삼랑성), 정족산(해발220m) 정상 부근 성벽
  13. 강화 정족산성(삼랑성), 강화해협(염하)가 내려다 보이는 동문에서 북문까지
  14. 인천 문학산성과 문학산(해발 312m)
  15. 사적  서울 양천고성지
  16. 사적  아차산성
  17. 사적  서울 호암산성
  18. 사적  하남 이성산성
  19. 사적 여주 파사성
  20. 제천 청풍 망월산성, 삼국시대 남한강변에 쌓은 산성
  21. 사적  단양 적성
  22. 사적  단양 온달산성
  23. 사적 이천 설봉산성
  24. 사적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25. 사적  화성 당성
  26. 사적  양주 대모산성
  27. 평택 농성, 지방 호족세력이 터를 잡았던 작은 토성
  28. 문경 고모산성, 계립령 고갯길을 지키기 위해 신라가 쌓은 산성
  29. 사적  제152호 함양 사근산성
  30. 합천 대야성, 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에 있었던 성
  31. 사적  제308호 완도 청해진 유적
  32. 사적 둔덕기성, 견내량을 지키는 통일신라 산성